• 제목/요약/키워드: 염분 변화

검색결과 690건 처리시간 0.03초

동갈돗돔, Hapalogenys nitens 난과 자치어의 생존 및 성장에 미치는 저염분 및 저수온의 영향 (Influence of Low Salinity and Cold Water Temperature on the Hatching, Survival and Growth of the Offspring of Grunt, Hapalogenys nitens)

  • 강희웅;전제천;강덕영;조기채;최기호;김규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58-166
    • /
    • 2009
  • 본 연구는 동갈돗돔의 양식생물학적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염분의 영향과 수온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염분의 경우 수정란의 부화와 부상률, 자어의 부상률 및 생존율, 치어의 성장과 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수온의 경우 일간 수온 변화 정도, 급성 저수온 충격, 완만한 수온 감소에 따른 생존, 먹이섭식 및 유영능력을 조사하였다. 염분의 영향에서 수정란의 부화율과 부상률 및 자어의 부상률과 생존율은 자연 해수 염분(32 psu)에 가까울수록 높게 나타났다. 치어의 성장과 생존의 경우에는 기수의 염분(5~20 psu)의 경우 해수 염분(25~32 psu)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다만 담수의 경우만 유의하게 낮았다. 수온의 영향에 관한 3가지 실험 모두에서 급성이던 만성이던 수온의 하락폭이 클수록 생존율, 먹이섭식 및 유영활동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실험을 통해 동갈돗돔은 성장과 생존은 일반 해수염분에서 가장 좋았고, 월동의 임계수온은 $8^{\circ}C$로 나타났다.

염분 수준이 육계 병아리의 생산성과 생리적인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alt Contents in Diet and Water on Performance and Physiological Changes in Broiler Chicks)

  • 황보종;홍의철;이병석;이현정;조성백;배해득;이성재;노환국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59-164
    • /
    • 2006
  • 본 연구는 사료와 음수에 함유된 염분 수준이 육계 초기 병아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1일령 초생추(Hubbard)를 공시하여 14일 동안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 1에서, 사료내 염분 함량은 0, 0.25, 0.5, 0.75, 1.0, 2.0, 3.0, 4.0%로 조절하여 8처리구 처리구당 3반복, 반복당 12수씩 총 288수에 급여하였고, 시험 2에서, 음수내 염분 함 량은 0, 0.1, 0.2, 0.5, 1.0%로 조절하여 5처리구 처리구당 3반복, 반복당 12수씩 총 180수에 공급하였다. 시험 1의 경우에, 사료 섭취량과 증체량은 사료내 염분 함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특히 4% 처리구에서 각각 481 g과 168 g으로 가장 낮았으며, 폐사율은 75%로 가장 높았다. 시험 2의 경우에는, 음수 1% 처리구에서 사료 섭취량과 증체량은 각각 427 g과 162 g이었고, 폐사율은 77.8%로 가장 높았다. 염 중독 증상을 나타낸 닭들은 갈증, 식욕부진, 기립불능, 졸림, 경련 등을 나타내었고, 부검 소견에서는 복수증, 심낭수종, 심비대, 각종 장기의 출혈 등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육계 초기에서 사료내 염분 함량이 3%, 음수내 염분 함량은 1% 이상에서 뚜렷한 생산성의 저하는 물론 생리 해부학적인 염분중독 증상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이매패의 질소배설 2. 굴 (NITROGEN EXCRETION IN THE BIVALVE MOLLUSCS)

  • 진평;이복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93-296
    • /
    • 1979
  • 굴(Crassostrea gigas)의 질소배설과 산소소비에 미치는 수온 및 염분의 상호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굴은 수온과 염분변화에 따라 질소배설율과 배설암모니아 및 아미노산간의 배설비에 현저한 변동을 보였으며 산소소비량에도 역시 많은 변동을 보였다. 2. 질소배설율과 산소소비율은 염분이 증가함에 따라 특히 고염분일 때 고수온$(29^{\circ}C)$의 경우에 현저히 감소하였으나 저온분에서는 상당히 증가하였다. 이것은 생리적 내성의 고온단계와 저염분에 대한 포상작용에 기인한 결과라고 생가된다. 3. 암모니아를 주로 배설하였으나 상당한 량의 아미노-질소도 배설하였으며, 특히 상염분-온난온도대$(32.5\%_{\circ}-22^{\circ}C$에서는 아미노산의 배설량이 우세하였다. 그리고 어느 실험온도에서나 고염분에서 아미노-질소의 배설량은 감소하였고 저염분에서는 증가하였다. 4. 배설암모니아-질소에 대한 소비산소의 원자비 (O: N비)는 저온$(15^{\circ}C)$에서는 현저히 낮고 상온 및 고온($22^{\circ}$$29^{\circ}C$)에서는 높았다. 그러나 저온분의 경우 고온에서는 현저히 감소되었다.

  • PDF

호주 Queensland 남서부 지역의 염분작용 조사 (The role of geophysics in understanding salinisation in Southwestern Queensland)

  • Wilkinson Kate;Chamberlain Tessa;Grundy Mike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8권1호
    • /
    • pp.78-85
    • /
    • 2005
  • 이 연구에서는 지구물리 및 환경공학적 방법을 동원하여 호주 Queensland 남서부 Goondoola Basin 에서의 2차 염분작용의 원인을 조사하였다. 지표 및 지하 물질과 지하수에 대한 정보와 함께 항공 방사능 및 전자탐사 그리고 지표 전자탐사 자료가 얻어졌다. 방사능과 고도자료 및 측정된 물성간에 얻어진 상관관계로부터 지표 물질 및 지하수 유입 포텐샬의 예측도를 만들 수 있었는데, 가장 큰 지하수 유입은 분지를 둘러싼 풍화 기반암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전자탐사자료(항공, 지표 및 시추공)는 토양 및 시추자료와 함께 천부 소금층의 크기와 지하 구조를 규명하는데 사용되었다. 전기전도도 측정자료는 토양 염분의 분포를 반영하고 있다. 그러나 표토 깊은 곳에서는 염분함량이 상대적으로 일정하여, 항공전자탐사 신호는 공극률 또는 물성의 변화에 따라 영향을 받았으며, 이러한 결과로부터 기반암 풍화대의 수평적인 분포를 탐지할 수 있었다. 이 지역의 염분 작용은 표층 구조에 의해 강하게 좌우되는 국부적 및 중간 크기 과정의 결과로 발생하며, 현재의 지표 현상은 사면의 균열에서 유출되는 천부 염분 지하수 상부에서의 증발 농축의 결과이다. 표층과 지하 자료의 종합으로부터 지하수위 상승에 따른 염분도 증가로 야기되는 유사한 산사태 구조의 규명이 가능하였다. 이 정보는 현재 지방 토지 관리자가 과도한 지하수 유입과 더 이상의 염분 이동을 막는 관리방법의 개선에 이용되고 있다.

GOCI를 이용한 동중국해 표층 염분 산출 알고리즘 개발 (A Development for Sea Surface Salinity Algorithm Using GOCI in the East China Sea)

  • 김대원;김소현;조영헌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7권5_2호
    • /
    • pp.1307-1315
    • /
    • 2021
  • 매년 여름철 양자강에서 유출되는 저염분수는 동중국해 뿐만 아니라 제주도 주변 해역의 염분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며 때때로 그 영향은 한반도 연안에 국한되지 않고 대한해협을 통과하여 동해 외해 까지 확장되기도 한다. 한반도 주변으로 확장된 양자강 유출수는 해양 물리 및 생태학적으로 많은 영향을 끼치며 어업 및 양식업에 큰 피해를 유발하기도 한다. 그러나 현장조사의 한계점 때문에 동중국해에서 확산되는 저염분수를 지속적으로 관측하기에는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양자강 유출수의 확산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해 인공위성을 활용한 표층 염분 산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시간 및 공간 해상도가 상대적으로 좋은 GOCI(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r)를 활용한 동중국해 표층 염분 산출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알고리즘 개발을 위해 기계학습 기법 중 하나인 MPNN(Multilayer Perceptron Neural Network)을 이용하였으며, 출력층에는 SMAP(Soil Moisture Active Passive) 위성의 표층 염분 자료를 활용하였다. 이전 연구에서 2016년 자료를 이용한 표층 염분 산출 알고리즘이 개발되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연구 기간을 2015년 부터 2020년까지로 확장하여 알고리즘 성능을 개선하였다. 2011년부터 2019년까지 동중국해에서 관측된 국립수산과학원의 정선조사자료를 이용하여 알고리즘 성능을 검증한 결과로 R2는 0.61과 RMSE는 1.08 psu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GOCI를 이용한 동중국해 표층 염분 모니터링 알고리즘 개발을 위해 수행되었으며, 향후 GOCI-II의 표층 염분 산출 알고리즘 개발에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수온과 염분 조건에 따른 동죽의 여수율과 먹이섭취 (Clearance rate and feeding according to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condition in the surf clam, Mactra veneriformis)

  • 강종욱;이선식;한경남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01-106
    • /
    • 2014
  • 인공종묘로 생산된 동죽, Mactra veneriformis의 크기, 수온, 염분 변화에 대한 여수율과 먹이섭이량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수온의 경우 소형, 대형그룹의 여수율은 $5^{\circ}C$에서 최소값을 보였으며 $20^{\circ}C$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나, $25^{\circ}C$에서 급격한 감소 경향을 보였다. 염분에 대한 소형그룹의 여수율은 26‰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8‰에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대형그룹은 32‰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8‰에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동죽의 최적 수온, 염분 환경은 $20^{\circ}C$, 27-32‰이며, $10^{\circ}C$ 이하 또는 $25^{\circ}C$ 이상의 수온과 20‰ 이하의 저염분에서 여수율이 낮아진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농업용수 재이용에 따른 토양염분 추정를 위한 SWAP 모형의 보정과 검정 (Calibration and Validation of SWAP Model to Estimate the Soil Salinity of Reclaimed Wastewater Irrigation on Paddy Fields)

  • 장태일;성충현;박승우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9년도 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608-61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하수재이용에 따른 토양에서의 염분변화를 추정하기 위하여 SWAP(Soil-Water-Atmosphere-Plant) 모형을 선정하여 경기도 화성시 수원환경사업소 인근에 위치한 병점지구를 대상으로 모형의 적용성을 분석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관개용수는 1) 지하수(TR#1), 2) 하수처리장 방류수+여과+UV (TR#3)로 분류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영농기간 동안 논으로 유입되는 총 유입수는 $1,724.2^{\sim}1,733.7$ mm 범위였으며, 이 중 약 64%가 강우에 의해 공급되었고, 나머지는 관개에 의하여 유입되었다. 유입관개수의 EC는 지하수 관개수인 TR#1이 다른 처리구에 비해 작았고, TR#3의 경우 $0.442{\sim}0.698$ dS/cm의 범위를 보였다. 모형의 보정과 검정을 위해서 대상지구에 FDR(Frequency Domain Reflection)을 설치하여 토양수분함유량과 염분농도를 토심에 따라 일단위로 모니터링 하였다. 토양함수량의 보정기간 중 토심별(50, 100, 140 cm) RMSE는 TR#1에서 $0.001^{\sim}0.002$ $cm^3cm^{-3}$, TR#3에서 $0.002^{\sim}0.006$ $cm^3cm^{-3}$으로 나타났으며, 검정기간 중 토심별 RMSE는 TR#1에서 $0.003^{\sim}0.064$ $cm^3cm^{-3}$, TR#3에서 0.001$cm^3cm^{-3}$로 나타났다. 토양염분의 보정기간 중 토심별 RMSE는 TR#1에서 $0.001^{\sim}0.023{\times}10^{-3}$ dS $m^{-1}$, TR#3에서 $0.028^{\sim}0.045{\times}10^{-3}$ dS$m^{-1}$로 나타났으며, 검정기간의 토심별 RMSE는 TR#1에서 $0.018^{\sim}0.037{\times}10^{-3}$ dS$m^{-1}$, TR#3에서 $0.004^{\sim}0.014{\times}10^{-3}$ dS$m^{-1}$로 적용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유독와편모조류 Alexandrium catenella (Group I)의 마비성패독 생산에 미치는 수온과 염분의 영향 (Influence of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on the Production of Paralytic Shellfish Poisoning by Toxic Dinoflagellate Alexandrium catenella (Group I))

  • 남기택;오석진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19-126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실내에서 다양한 수온과 염분 조건에서 유독와편모조류 Alexandrium catenella(Group I)의 생장과 함께 마비성패독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A. catenella의 수온과 염분 최적생장은 각각 20~30℃과 20~30 psu였으며, 광온성과 광염성종으로 나타났다. A. catenella는 낮은 수온 구간(10℃와 15℃)에서 독함량과 독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염분에 따라서는 차이가 크지 않았다. 따라서 15℃이하의 수온에서 본 종주와 같은 생리적인 특성을 가진 유독와편모조류가 우점한다면, 이매패류는 빠르게 독화될 가능성이 있다. 향후 A. catenella의 출현에 따른 마비성패독 예찰·예보를 위해 다양한 환경변화에 따른 A. catenella의 다른 종주와 상업적인 이매패류 독화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