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염분분포

Search Result 490,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Estimation of Salinity Distribution Using Spatial Information at the Bay (공간정보를 이용한 만에서의 염분분포 추정)

  • Lee, Hyun-Seok;Ishikawa, Tadaharu;Koh, Deuk-Koo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11a
    • /
    • pp.251-256
    • /
    • 2005
  • 담수와 염수가 적절히 혼합되어있는 만에서는 굴과 가리비 미역 등의 양식업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바다생물 특히, 미역의 경우는 염분농도가 13psu 이하의 상태가 장시간 유지될 경우 심한 피해를 입는다는 보고가 있다. 그러므로 만에서의 염분분포 파악은 자연환경의 적절한 활용 및 자연재해의 예방적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사료되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만에서의 염분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위성영상을 활용하였다. 위성영상은 현지관측이 어려운 홍수기에도 데이터 취득이 가능하며, 대상 지역 전체를 한눈에 볼 수 있는 면분포를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위성영상과 탁도와의 높은 상관을 이용하여 위성영상을 탁도 분포로 변환하였다. 둘째, 현지 관측으로부터 얻은 염분과 탁도와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탁도 분포를 염분 분포로 변환하였다. 끝으로, 본 추정수법은 현지관측결과와의 검증을 통하여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수법은 현지관측에 드는 비용절감과, 관측 데이터가 부족한 홍수기의 자연현상 파악등에 그 활용 가치가 있다고 확인되었다.

  • PDF

동중국해 북부해역 수온, 염분의 분포 변동 특성

  • Jang, Lee-Hyeon;Kim, Sang-U;Go, U-Jin;Geleekko, Yamada;Seo, Yeong-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331-335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장기간의 현장관측 수온, 염분자료를 분석하여 동중국해 북부해역에서 계절별 수온, 염분의 변동 특성을 조사하였다. 표층의 경우 춘계 수온상승에는 공간적인 차이가 있다. 또한 서부해역($125^{\circ}E$ 이서)에서는 32 psu 이하의 저염 분포가 나타나고 제주 남서해역에서 33psu 이하의 저염수가 춘계부터 제주 주변해역으로 확장한다. 하계 표층염분은 $28.0{\sim}32.4$ psu로 연중 최저값은 보이며, 전해역 표층 염분이 33psu 이하로 저염의 양자강 희석수가 하계에 동중국해 북부해역 표층 전체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추계의 표층수온과 염분은 동고서저형의 수평분포를 나타낸다. 수온 하강은 서부해역인 대륙 연안수역이 동부의 대마난류수역에 비해 크고, 서부해역에서 33psu 이하의 설상형 저염분포가 이시기에 남동쪽으로 관입되는 형태로 나타나 동계의 남북방향의 염분전선과 이어지게 된다. 연직해황의 경우 동계 수온과 염분은 활발한 대륙작용에 의해 전수층에서 균일한 분포를 나타내며, 대륙연안수역에서는 저온, 저염($12^{\circ}C$, 33psu 이하)의 분포를, 대마난류수역에서는 고온, 고염($16^{\circ}C$, 34.4psu 이상)분포의 지역적인 특성으로 구별된다. 춘계에는 수온약층이 형성되며, 저층에는 동계에 형성되어 대륙연안수와 외양수 사이에 고립된 $13^{\circ}C$ 이하의 냉수괴가 분포한다. 염분은 표층 저염화가 시작된다. 하계에는 양자강 유출수의 영향으로 전해역 표층에서는 30psu 이하로 전해역에서 저염화 양상이 나타나며, 표층에서 30m 층까지 매우 강한 염분약층이 형성된다. 추계 수온 엽문은 균일한 연직수온분포가 나타나며, 동부해역에서는 수심 $75{\sim}100m$사이에서 수온, 염분약층이 형성된다. 동중국해의 수괴는 뚜렷한 계절 변동을 보이며, 대마난류수역인 동부해역에서는 수괴 계절변동의 요인으로 계절 수온변동이 지배적이고, 수온변동은 춘계와 하계 사이에 가장 크다. 중앙부와 대륙연안역인 서부해역에서는 수괴 계절변동에 수온외에 염분 변화가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며, 염분은 하계와 추계 사이에 가장 변동이 크게 나타난다. 즉, 동중국해의 수괴변동에는 변동요인에 따른 공간적인 차이가 있으며, 수괴변화 특성으로 동중국해는 수온변화가 수괴변동에 직접요인이 되는 동부 대마난류수역과 염분변화가 수괴변동의 직접요인인 서부의 대륙연안수역으로 구분된다.

  • PDF

Evaluation of Accuracy for the Simulation of Salinity using SWASH model (SWASH모형을 이용한 염분분포모의 정확성 평가)

  • Shin, Choong Hun;Jang, Euncheul;Jang, Jeongr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90-90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SWASH(Simulating WAves till SHore) 모형의 염분분포 해석의 정확성을 평가하기 위해 Goswami et al.(2007)의 모형실험을 재현하였다. SWASH모형은 Delft 대학에서 개발된 비정수압수치모형으로 연직방향으로 층(layer)을 나누어 자유수면변위를 정확하게 예측하고 표준 ${\kappa}-{\varepsilon}$ 난류모델을 이용해 염분, 온도 및 침전물 등의 난류확산을 계산한다. 우선 Goswami et al.(2007)의 모형실험 중 정상상태의 모형실험을 이용해 층수에 따른 수치모형의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SWASH 모형의 층수를 늘리며 수치모의를 수행한 결과, 층수가 늘어날수록 종, 횡 방향의 염분농도 분포가 정확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추가로 SWASH 수치모형을 이용해 염수침투 및 후퇴 상태의 모형실험도 수치모의하였다. 염수의 공급에 따라 시간에 따른 염분농도 분포가 변화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연직방향의 층수가 많은 경우 모형실험의 결과와 비교적 잘 일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연직방향의 층수를 늘려감에 따라 수심방향으로 더 정밀한 염분분포 해석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연직방향으로 많은 층을 나눈 경우 계산시간이 증가하기 때문에 수심이 작거나 연직방향의 염분농도 분포가 중요하지 않은 경우라면 적절한 층수(5~10 layer)를 고려해 수치모의를 수행하는 것이 시간과 비용측면에서 더욱 경제적이라고 할 수 있다.

  • PDF

A Feasibility Study on Mid-watershed Representative Station of Suyeong-river based on Field Measurement (현장 계측 기반 수영강 중권역 대표지점 선정에 대한 타당성 분석 연구)

  • Lee, Ho Soo;Lee, Jae Kwang;Tak, Yong Hun;Kim, Yong D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128-128
    • /
    • 2018
  • 하구는 강이 흘러 바다로 유입되는 지역으로 강의 담수와 바다의 염수가 만나는 강의 하류에 형성되며 지형, 담수의 유입, 해수의 조석 등에 의해 염분분포가 변화 하는 특성을 가진다. 또한 하구에 형성되는 하구역은 조수 간만의 차로 인한 상하운동이 일어남으로 인해 염분 농도는 0.5~30 ‰로 매우 광범위하게 나타난다. 하구는 해수가 미치는 최대 경계인 감조역과 해수와 담수가 혼합되는 기수역이 나타나며, 하구에서의 염분의 변화는 동 식물의 생존 및 분포, 수자원 확보 및 관리, 구조물 설치 등 공학적 분야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또한, 염수쐐기와 조석의 영향으로 하구의 수층에서는 담수 및 염분분포가 지점에 따라 다르게 형성이 되기 때문에 하천 수질측정 시 염수에 의해 대표성이 결여될 수 있다. 본 연구는 바다로 유입되는 수영강을 대상으로 염분분포의 특성을 고려하여 중권역 대표지점으로서의 적합성을 판단하고자 하였다. 수영강은 부산 용천산에서 발원하여 회동수원지를 거쳐 온천천과 합류하여 남해로 유입된다. 수영강에 위치한 좌수영교와 수영교에서 조석 간만의 차가 뚜렷하게 나타날 수 있는 대조기와 소조기에 연직 염분분포를 분석하여 하천수질 측정지점의 대표성을 판단하고자 하였다. 만조에서 간조로 수위가 변화 할 때 표층의 담수층이 옅어지는 현상을 보이며 소조기 보다 대조기에서의 담수층 변화 폭이 커지며 수질측정 시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Relation of Freshwater Discharge and Salinity Distribution on Tidal Variation around the Yeomha Channel, Han River Estuary (한강하구 염하수로 주변의 조석변화에 따른 염분분포와 담수와의 상관관계)

  • Yoon, Byung-Il;Woo, Seung-Buhm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4 no.4
    • /
    • pp.269-276
    • /
    • 2012
  • Salinity distribution in estuary and tidal river is presented by many parameters including tidal forcing, river discharge and geographical effect.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salinity structure is very important in the aspect of water-quality, ecological, and engineering viewpoint. Field measurement was carried out to study the distribution of salinity structure at 2 surface stations at Yeomha channel in the Han River estuary. The results of short- and long-term salinity change according to short and long tidal variability is investigated. For analyzing the axial salinity distribution at Yeomha channel, the salinity data from NFRDI is used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freshwater discharge and salinity distribution is represented through the nonlinear regression equation. The empirical equation for salt intrusion length scale, including tide, river discharge, and topographical effect is presented. As the comparison of empirical equation and existing data collected in study area, the characteristic of salt intrusion length and salinity distribution is changed by tide, fresh water, and geographical effect.

염/담수 분포특성을 이용한 해수침투보호구역 설정

  • 황세호;신제현;박권규;박윤성;이상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4.09a
    • /
    • pp.151-154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국내의 서-남해 연안지역에서 광범위하게 발생하고 있는 해수침투의 확산방지를 위하여 해수침투보호구역이라는 개념을 소개한다. 해수침투보호구역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해당 지역 해수침투대의 고분해능 염분농도분포가 필요하며 이와 같은 염분농도분포도는 물리탐사 기술로 작성이 가능하다. 전남 영광지역에서 물리탐사 기술로 작성한 해수침투대의 고분해능 염분농도 분포도는 시험시추 결과, 매우 신뢰성이 높았으며 염분농도의 공간적인 분포도에서 해수침투로 인한 지하수 개발 제한지역, 보호구역 등에 대한 설정이 가능하였다. 향후, 해수침투의 확산방지와 지속적인 지하수의 개발이 가능한 해수침투보호구역설정에 대한 후속적인 조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Observed and Simulated Seasonal Salinity in The Tropical Atlantic ocean, and its Relationship with Freshwater (관측과 모델에서 얻어진 열대 대서양에서의 계절별 염분 분포 및 담수 효과)

  • YOO, JUNG-MOON
    • 한국해양학회지
    • /
    • v.27 no.4
    • /
    • pp.290-302
    • /
    • 1992
  • Seasonal variations of salinity in the upper 500 m of the tropical Atlantic Ocean are examined, based on both climatological seasonal salinity observations and numerical simulations with hydrological forcing. The seasonal cycle of sea surface salinity has strong seasonal variations caused by shifts of the freshwater surplus zone (i.e. the intertropical convergence zone) and the river outflow. The climatological seasonal salinity in this analysis concurs with other independent observations described by Default (1981) and Levitus (1982), but provides more consistent patterns with temperature structure. The effect of salinity on density below 100 m depth in the tropical Atlantic is negligible compared to tat of temperature, which in the mixed layer salinity affects density significantly. The systematic difference between observed and simulated salinity is found to be the fact that the simulated salinity is higher in the subtropics than the observed salinity, and possible sources about the difference are also discussed.

  • PDF

한국 남해의 해황과 영양염 분포의 격월 변화

  • Choe, Yong-Gyu;Kim, Sang-U;Lee, Yeong-Sik;Seong, Gi-Tak;Seo, Yeong-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292-293
    • /
    • 2007
  • 한국 남해안에서 2005년 10월부터 2006년 8월까지 격월별로 관측된 CTD 자료 및 분석된 영양염 자료를 가지고 격월별 해황 및 영양염의 분포를 살펴 보았다. 겨울철에는 표층과 저층간의 수직 혼합으로 일정한 수괴 분포 및 수온과 염분에 대해서 일정한 영양염 분포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연안역과 외양역 사이에 수온 전선이 뚜렷하였다. 그러나 여름철에는 양자강 저염수의 유입으로 T-S상에서 수형의 분포 범위가 넓었으며, 또한 수온과 염분에 대한 영양염의 분포도 일정하지 않았다. 그리고 여름철에는 저염수 유입에 의해서 수온 전선보다는 염분 전선이 뚜렷하였다. 봄과 가을에는 계절적 천이기로 수온과 염분의 분포에서 뚜렷한 pattern을 보이지 않았다.

  • PDF

Salinity Distribution and Ecological Environment of Han River Estuary (한강 하구역의 염분 분포 및 생태환경특성)

  • Park, Gyung Soo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6 no.1
    • /
    • pp.149-166
    • /
    • 2004
  • Water quality and ecological environment in the Han River estuary was analyzed using the longterm water quality monitoring data from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NFRDI) and the existing data collected in this area. Based on the salinity distribution and changes of current direction in the lower Han River and its estuary, boundaries of the estuary were identified and also, distribution patterns of the phyto- and zooplankton, benthos, ichthyoplankton and fish were discussed related with the salinity changes in the macrotidal subestuary of Han River. Seasonal and spatial distribution of salinity suggested that the direct impact of freshwater be limited to the Incheon North Harbour all the year round and even extended to the southern area of Gyunggi Bay near Palmi island during limited time, usually in summer. Upper limit of salt water intrusion through the Han River is likely to be Singok underwater dam located Gimpo, Gyunggi Province, and normally limited to much lower part of the river, Jeonryuri, Gimpo. Biological boundaries of the Han River estuary exceeded the physical boundaries based on the salinity distribution. Many estuarine species in plankton and fish were found at the totally freshwater or saltwater depending on the seasons and tidal cycles. Some estuarine ichthyoplanktons showed extremely limited distributions in the estuary whereas adult fish revealed wide ranges of salinity adaptation. Critical environmental issues in the Han River estuary and its drainage basin are likely to be 1) pressure on development-promoted district for new town in the drainage area of the estuary, 2) reduction of tidal flat by reclamation, 3) pollutant input through river from municipal sewages and industrial wastes, and 4) ecological barrier between river and terrestrial systems by the military wire fence and riverside roa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