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염기성화산암

Search Result 30,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 Report on Gneiss Dome in the Hongseong Area, Southwestern Margin of the Gyeonggi Massif (경기육괴 남서 연변부 홍성지역에 발달하는 편마암 돔에 대한 보고)

  • Park, Seung-Ik;Kim, Sung Won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49 no.4
    • /
    • pp.315-323
    • /
    • 2016
  • This study reports a gneiss dome in the Hongseong area, southwestern margin of the Gyeonggi massif. This gneiss dome, named here as 'Oseosan dome' because it is located around the Oseosan, the highest peak along the western coastal area, is composed mainly of the Neoproterozoic to Paleozoic ortho- and paragneiss, mafic metavolcanic rock, and metadolerite. Migmatization affected these rock units, in which leucocratic(granitic) materials derived from anatexis frequently occur as patch and vein parallel to or cutting through internal foliation. The Oseosan dome shows overall concentric geometry and outward-dipping internal foliation, but also partly complicatedly changeable or inward-dipping foliation. Taking available petrological and geochronological data into account, the Oseosan dome is interpreted to be exhumed quickly into the upper crustal level during the Late Triassic, accompanied in part with anatexis and granite intrusion. In addition, extensional shear zone intruded by the Late Triassic synkinematic granite and sedimentary basin have been reported around the Oseosan dome. These evidences possibly suggest that the Oseosan dome formed in closely associated with the Late Triassic extensional movement and diapiric flow. Alternatively, 1) thrust- or reverse fault-related doming or 2) interference between independent folds during structural inversion of the Late Traissic to Middle Jurassic sedimentary basin can be also considered as dome-forming process. However, considering the northern limb of the Oseosan dome, cutting by the Late Traissic granite, and the southern limb, cutting by contractional fault reactivated after the Middle Jurassic, it is likely that the domal structure formed during or prior to the Late Triassic.

경주시 양남 제4기 역질 해안단구 퇴적층 풍화단면내 앨로패인(allophane) 교결층의 기원

  • 정기영;배진한;정창식
    • Proceedings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1.06a
    • /
    • pp.115-115
    • /
    • 2001
  • 경주시 양남면의 4기 단층으로 추정되는 수렴단층에 의해 절단되는 해안단구 퇴적층 풍화단면에서 저결정질 광물인 앨로패인 교결층을 기재하였다. 이들은 자갈퇴적층 내에 협재하는 수조의 모래층에 한정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3-17 cm 두께로 연장성이 매우 좋다. 편광현미경 관찰에 의하면 모래층에는 사장석편들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앨로패인은 광학적 등방성의 치밀한 점토집합체들로서 사장석 입자를 선택적으로 교대하거나 자갈과 모래입자들을 피복하고 있다. 앨로패인은 광학적 이방성인 상하위층의 고령토질 점토피복물과 명확히 구분된다. 앨로패인의 전자현미분석에 의하면, Al/Si 원자비가 1.3-1.7 범위이고 평균값은 1.5이다. X선회절분석 결과 3.49$\AA$과 2.26$\AA$에서 두 개의 넓은 회절대가 관찰된다. 주사 및 투과전자현미경관찰에 의하면 앨로패인을 특정한 입자형태 없이 치밀한 겔상태를 이루고 있다. 열분석에 의하면 96$^{\circ}C$에서 큰 흡열피크와 992$^{\circ}C$에서 발열피크가 관찰되며, 총 45% 정도의 중량감소를 보인다. 사장석의 평균조성은 An$_{87}$이며, 사장석내 유리포유물의 전자현미분석결과는 화산암 화학분류도에서 현무암 영역에 도시된다. 이 지역의 기반암은 현무암질 라필리응회암이나 사장석편을 제외하고 벤토나이트화되어 있다. 따라서 해빈환경에서 사장석이 벤토나이트에서 분리되어 퇴적한 것으로 보인다. 앨로패인 교결층은 해수면 강하로 단구퇴적층이 지표로 노출된 후, Al의 함량이 높고 비교적 풍화에 약한 사장석이 선택적으로 풍화되어 생성되었다. 앨로패인으로 피복된 모래층 내의 자갈은 풍화반응이 지체되어 상하위층의 자갈과 비교하여 풍화도에 있어서 현저한 차이를 보인다.. 파이프 중심에서 외곽부로 갈수록 전기석의 함량은 줄어들고 있고 장석들이 알바이트ㆍ칼스베드 쌍정을 보이며, 흑운모가 각섬석보다는 우세하게 나타나고 있다. 전기석은 주상 결정, 자형 내지 반자형의 입자로 다색성을 보이며, 결정 중심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파란색과 황갈색의 광학적 누대구조를 관찰할 수 있다. 일광광산에서 산출되는 전기석에 대한 현미경 관찰은 열수기원임을 지시하고 있다. 야외조사와 현미경 관찰의 예비조사에 의하면 일광광산의 전기석이 형성된 환경은 다른2가지 화학적인 저장소의 혼합 효과의 결과로 생성되어진 것으로 예상된다. 일광의 화강암류를 만든 마그마는 전기석을 형성할 만큼의 Fe-Mg성분이 충분하지 않았을 것이다. 화강암 내에 흑운모와 각섬석의 결정작용에 의해 마그마의 Fe-Mg성분이 고갈되어지고 이로 인해 그 함량이 감소하며 상대적으로 마그마 내에 남은 붕소(B$_2$O$_3$)는 열수로 용리되고 흑운모, 각섬석과 평형을 유지하며 열수에 남아있게 된다. 잔류용융체에 남은 붕소의 함량은 전기석을 만들기에 충분함에도 불구하고, Fe-Mg 함량이 부족하여 마그마 기원의 전기석 결정을 만들 수가 없다가 광맥이 형성된 시기에 또 다른 열수가 공급되면서 이전의 평형이 깨지고 기존의 흑운모와 같은 염기성 광물이 붕소(B)를 함유한 새로운 열수와 반응하여 전기석을 형성한 것으로 예상한다. 앞으로 전암과 광물에 대해 지화학적 연구를 통해 화강암류와 전기석과의 지화학적 연관성, 주성분 원소와 열수의 특성과의 상관관계, 전기석의 기원(마그마 기원인지 열수기원인지)이 보다 정확하게 파악될 것이다. 마그마 진화에 따른 전기석의 성분변화와 기원을 이용하여 일광광산의 동광화대를 형성한 마그마 계에서 열수계로 이어지는 지질학적 과정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암석 성인론적 지시자로서

  • PDF

멕시코 로얄 은광산 잠재성 평가

  • Heo, Cheol-Ho;Kim, Ui-Jun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4a
    • /
    • pp.108-109
    • /
    • 2010
  • IMPACT Silver 주식회사는 Zacualpan 프로젝트의 Royal Mines(이하 로얄 광산)을 인수했다. $124.5\;km^2$에 해당하는 지역의 소유권은 두 개의 멕시코 사기업으로부터 가행중인 광산의 채굴권 구입과 운영 중인 기반시설의 임대를 조건으로 한다. 프로젝트 지역은 멕시코시티로부터 남서방향으로 100 km와 Taxco Silver 광산으로부터 북서방향으로 25 km 떨어진 지점에 위치한다. 기반시설은 비포장 도로, 충분한 전력과 물의 공급 및 숙련공들을 갖추어 우수한 평가를 받고 있다. 소유권은 멕시코인의 개인소유 하에서 무한한 매장량 혹은 자원량을 갖고 운영된 채광과 가공시설을 인수하는 것이다. 소유권 지역을 대상으로 한 IMPACT Silver사의 주 탐사목적은 이미 알려진 광화대의 확장을 위한 잠재성 평가와 다른 지역에서 신규 광상의 유망지역을 발견하는 것이다. Zacualpan 프로젝트의 로얄 광산은 남동 Guerrero terrane의 북부에 위치한다. Teloloapan subterrane은 주로 저변성 녹색편암상으로 구성된 쥬라기 후기에서 백악기 초기의 화산성 퇴적층으로 구성된다. 대부분의 유망지역은 Lower Villa de Ayala층의 중성 내지 염기성 화산성 쇄설암을 모암으로 한다. 다상의 변성작용은 지역 전반에 걸쳐 나타나고, Zacualpan 광산지역에서 수반되는 광화작용을 규제한다. Zacualpan 광산지역은 Sierra Madre del Sur로 알려진 유망 광화대에 해당한다. 이 지역은 화산성 괴상 황화광상과 천열수 맥상광상이 우세하다. 대부분의 천열수 광화작용은 3.2-3.8억 년 전 마그마의 생성이 활발한 판구조 체제 동안 발생하였다. 역사적으로 가장 주요한 지역은 Lipton Vein이다. 현재 Zacualpan 지구에서 채광량은 은 200-500 g/t 정도로 보고되고 있다. 일부 지역은 고품위 은 광화작용(은 1,000 g/t 이상)을 수반하고 있으며, 이는 탐사의 주 타겟이 되고 있다. Zacualpan에서 은 광화작용은 은이 부화된 중유황 천열수 맥상광상으로 상당히 유명하다. Fresnillo, Pachuca 및 Taxco 광산을 포함한 멕시코 소유의 대규모의 잘 알려진 광산들이 이에 해당한다. 이러한 광산들은 부산물로서 금, 아연, 연이 생산된다. 이러한 광상들은 맥상과 각력상 및 산점상 또는 망상세맥의 형태로 산출된다. 광화작용은 석영과 탄산염 맥 내에 주로 황철석과 다양한 섬아연석, 방연석, 은 혹은 금 광물들을 수반한다. 경제성을 갖는 광화작용의 수직적인 연장은 평균적으로 대략 300 m이고, 멕시코 중부에 위치한 Fresnillo의 광화작용은 100 m에서 960 m의 연장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주 오랫동안 Zacualpan에서 광산관계자의 관측과 IMPACT Silver에서 최근 작업의 결과를 토대로, Zacualpan 광산지역의 탐사모델은 새로운 광상의 탐사를 위한 가이드로서 개발되었다. Zacualpan 광산지역에서 가장 높은 경제성을 갖는 광화작용은 북서와 남북방향의 맥 구조를 따라 수반된다. 이러한 맥 구조들은 종종 이 지역을 가로질러 수 km까지 추적되지만, 경제성을 갖는 광화작용은 맥 구조를 따라서 구조적으로 유리한 지역에서 부광대를 형성한다. 부광대를 형성하기 위한 가장 유리한 구조적 지역은 북서와 남북방향으로 발달한 맥 구조들이 교차하는 지역이다. 지난 30년간 채광된 주요 부광대는 폭이 2-6 m 이고 수평연장은 30-150 m 그리고 수직연장은 230-300 m에 이른다. 가장 높은 생산량을 보이는 부광대는 남북방향의 이차 맥들이 Guadalupe 광산의 Lipton 맥을 가로지르는 지역에서 발달한다. 남동쪽으로 현재 Compadres 광산의 Silver Shoot No. 1으로부터 고품위 은을 생산하는 지역은 북서방향의 San Agustin 맥이 북향의 Cometa Navideno 맥에 의해 절단되는 지역에서 산출한다. 모암은 광화작용을 규제하는 또 다른 중요한 요소이다. 광산지역에서 경제성을 갖는 모든 광화작용은 중성 내지 염기성 화산암 특히 안산암과 관련 모암에 배태된다. 부광대가 셰일 혹은 편암으로 전이되는 지역에서, 맥들은 소규모의 세맥으로 나뉘어 진다. Zacualpan의 전형적인 천열수 광상에서 부광대는 상부로 가면서 은의 함량이 증가하고, 하부로 가면서 연 아연의 함량이 증가하는 수직적 대상을 보인다. 금의 함량 변화는 보다 예측이 어려우나 상당히 중요하다. Zacualpan 광산지역의 탐사모델에 사용된 토양 채취, 정밀지도제작, 트렌치 및 시추탐광은 현재 IMPACT Silver사가 이 지역을 대상으로 한 가장 효율적인 탐사방법으로 입증되었다. Zacualpan 프로젝트의 로얄 광산은 하루 500 톤을 제련하는 기반시설과 수반된 채굴권을 갖는 가행 광산들을 포함한다. 현재 IMPACT Silver사는 두 곳의 타겟 지역에서 정밀지도제작, 토양 및 암석 채취, 12공 총 1866 m의 시추탐광에 의한 사전조사로 구성된 4 단계 탐사를 수행했다. 암석 1,953개, 토양 1,631 개, 389 개의 시추코어 시료가 채집되고 분석되었다. 이러한 작업은 추가탐사를 요구하는 수많은 유망 광화대를 규명했다. Compadres 광산에서 현재 가행중인 지하갱 시료는 레벨 1에서 0.9 m의 폭을 갖는 광체에서 은 680 g/t과 금 0.3 g/t, 레벨 3에서 1.67 m의 폭을 갖는 광체에서 은 12,591 g/t과 금 12.07 g/t의 품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레벨 1에서 3까지 2-3 m의 폭과 30-40 m 연장으로 채광되었다. 시추탐광은 고품위를 갖는 몇몇의 중첩된 맥을 발견했다. Compadres 광산에서 남동방향으로 200 m지점에 위치한 Soledad 지역에서 5 개의 시추공으로부터 동일 맥 시스템이 발견되었고, 고품위 부광대의 상부로 간주되는 몇몇 중요 지점이 발견되었다. 초기 단계의 탐사는 유망 시추탐광 지역인 중간정도 내지 고품위 유망 광화대를 규명했다.

  • PDF

경상분지 남동부 일광광산에 산출하는 전기석 기원과 그 중요성에 관한 예비연구

  • 장주연;양경희;이준동
    • Proceedings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1.06a
    • /
    • pp.58-59
    • /
    • 2001
  • 부산에서 북동쪽으로 대략 25km 떨어진 지점에 위치하고 있는 일광광산 부근의 지질은 백악기 화산암ㆍ퇴적암 그리고 이를 관입한 화강암류와 이 암주 내에 발달하는 구리-중석을 함유하고 있는 각력파이프광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일광광산의 화강암류는 거의 타원형으로 felsic한 중앙부와 mafic한 양상의 주변부로 나뉘어지며, 암주 내에 수직적인 원통형의 각력파이프가 광화대를 이루고 있고, 그 주변에는 모암변질대가 발달되어 있다. 각력파이프를 충진하고 있는 vein과 화강암의 중앙부에는 전기석이 풍부하게 산출되고 있다. 일광광산에서 산출되는 전기석은 야외 관찰시 각력파이프 중심에서부터 외곽부쪽으로 전기석의 풍부함이 감소하며 산출형태도 달라진다. 파이프에서 대략반경 150m내에서 전기석은 침상형 의 방사상 모양 내지 rosettes형으로 풍부하게 산출되며, 화강암내의 mafic한 암편을 치환한 형태로 산출되기도 한다. 암주의 중앙부 주변부에서는 거의 미세한 구상형으로 산재되어 나타나고 있다. 전기석은 복잡한 화학식 {(Na, Ca)(Fe, Mg)$_3$(Al, Li)$_{6}$(BO$_3$)$_3$Si$_{6}$O$_{18}$ (OH, F)$_4$}을 갖는 붕산 규산염광물이다. 이러 한 다양한 성분은 마그마의 진화과정, 모암의 특성, 온도, 압력, 성분과 같은 물리ㆍ화학적 성질에 따라 전기석의 성분이 체계적으로 변하기 때문에 모암과 전기석 기원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파이프 부근의 화강암류는 현미 경상에서 전기석이 석류석과 같이 풍부하게 나타나며 장석들은 변질받은 상태로 세리사이트, 녹렴석으로 나타나고, 흑운모와 각섬석은 녹니석화되어 변질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파이프 중심에서 외곽부로 갈수록 전기석의 함량은 줄어들고 있고 장석들이 알바이트ㆍ칼스베드 쌍정을 보이며, 흑운모가 각섬석보다는 우세하게 나타나고 있다. 전기석은 주상 결정, 자형 내지 반자형의 입자로 다색성을 보이며, 결정 중심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파란색과 황갈색의 광학적 누대구조를 관찰할 수 있다. 일광광산에서 산출되는 전기석에 대한 현미경 관찰은 열수기원임을 지시하고 있다. 야외조사와 현미경 관찰의 예비조사에 의하면 일광광산의 전기석이 형성된 환경은 다른2가지 화학적인 저장소의 혼합 효과의 결과로 생성되어진 것으로 예상된다. 일광의 화강암류를 만든 마그마는 전기석을 형성할 만큼의 Fe-Mg성분이 충분하지 않았을 것이다. 화강암 내에 흑운모와 각섬석의 결정작용에 의해 마그마의 Fe-Mg성분이 고갈되어지고 이로 인해 그 함량이 감소하며 상대적으로 마그마 내에 남은 붕소(B$_2$O$_3$)는 열수로 용리되고 흑운모, 각섬석과 평형을 유지하며 열수에 남아있게 된다. 잔류용융체에 남은 붕소의 함량은 전기석을 만들기에 충분함에도 불구하고, Fe-Mg 함량이 부족하여 마그마 기원의 전기석 결정을 만들 수가 없다가 광맥이 형성된 시기에 또 다른 열수가 공급되면서 이전의 평형이 깨지고 기존의 흑운모와 같은 염기성 광물이 붕소(B)를 함유한 새로운 열수와 반응하여 전기석을 형성한 것으로 예상한다. 앞으로 전암과 광물에 대해 지화학적 연구를 통해 화강암류와 전기석과의 지화학적 연관성, 주성분 원소와 열수의 특성과의 상관관계, 전기석의 기원(마그마 기원인지 열수기원인지)이 보다 정확하게 파악될 것이다. 마그마 진화에 따른 전기석의 성분변화와 기원을 이용하여 일광광산의 동광화대를 형성한 마그마 계에서 열수계로 이어지는 지질학적 과정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암석 성인론적 지시자로서 어떠한 중요성을 갖는지 논의되어질 수 있다.

  • PDF

Case study on the cause of failure and characteristics of soil at a collapsed cut-slope at the ${\bigcirc}{\bigcirc}$ Detour, Jeonranam-Do (전라남도 ${\bigcirc}{\bigcirc}$우회도로 비탈면 붕괴발생원인 및 토사지반특성 사례 연구)

  • Kim, Seung-Hyun;Koo, Ho-Bon;Hwang, Jin-Hyun;Son, Moon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21 no.4
    • /
    • pp.313-322
    • /
    • 2011
  • On September 2007, numerous slopes at Jeonranam-Do collapsed as a result of rainfall related to Typhoon Nari. Failure occurred at a road cut-slope on the ${\bigcirc}{\bigcirc}$ detour road, damaging transport infrastructure.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cause of failure based on field investigations, the geotechnical properties of soil, clay mineral composition, and quantitative analysis. The studied cut slope consists of weathered soil that originated from volcanic rocks, and minor faults and a mafic dyke. Surface water tends to seep into the soil because the roadway is not sealed and because of poorly installed drainage. Sieve and XRD analyses indicate that soils in the failure zone are ML and CH, which are prone to swelling due to the presence of clay minerals such as smectite and vermiculite. The slope failed due to the improper construction of drainage facilities, the presence of geological weak zones, and high soil contents of swelling clay.

Geochronological and Geotectonic Implications of the Serpentinite Bodies in the Hongseong Area, Central-western Korean Peninsula (한반도 중서부 홍성지역 내에 분포하는 사문암체의 지질연대학 및 지구조적 의미)

  • Kim, Sung Won;Park, Seung-Ik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49 no.4
    • /
    • pp.249-267
    • /
    • 2016
  • The Hongseong area of the central-western Korean Peninsula is considered to be a part of collision zone that is tectonically correlated to the Qinling-Dabie-Sulu belt of China. The area includes the elliptical-shaped serpentinized ultramafic bodies, together with mafic rocks. The studied bodies are in contact with the surrounded Neoproterozoic alkali granites at the Baekdong and Wonnojeon bodies and the Paleoproterozoic Yugu gneiss at the Bibong body. The Baekdong body contains the blocks of the Neoproterozoic alkali granites and the Late Paleozoic metabasites. The Bibong body also includes the Neoproterozoic alkali granite blocks. The Mesozoic intrusive rocks are also recognized at the Baekdong, Wonnojeon and Bibong bodies. On the other hand, the Early Cretaceous volcanic rocks are occurred at the Bibong body. The detrital zircon SHRIMP U-Pb ages of the serpentinites at three bodies range variously from Neoarchean to Middle Paleozoic at the Baekdong body, and from Neoarchean to Early Cretaceous at the Wonnojeon and Bibong bodies. Although serpentinization does not generally produce minerals suitable for direct isotopic dating, the youngest Middle Paleozoic age at the Baekdong body and the Early Cretaceous age at the Wonnojeon and Bibong bodies indicate the possible upper age limit for the (re)serpentinization. Especially, the Early Cretaceous serpentinization ages may be related to the widespread Early Cretaceous igneous activity in the central-southern Korean Peninsula. Age results for the serpentinite bodies and the included blocks of the studied serpentinized ultramafic bodies in the Hongseong area, therefore, provide several possible interpretations for the serpentinization ages of the ultramafic rocks as well as the geotectonic implications of serpentinization, requiring more detailed study including other serpentinized ultramafic bodies in the Hongseong area.

Geochronological and Geochemical Studies for Triassic Plutons from the Wolhyeonri Complex in the Hongseong Area, Korea (홍성지역 월현리 복합체 내에 분포하는 트라이아스기 심성암류의 지질연대학 및 지구화학적 연구)

  • Oh, Jae-Ho;Kim, Sung Won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46 no.5
    • /
    • pp.391-409
    • /
    • 2013
  • The Hongseong area of the southwestern Gyeonggi massif is considered to be part of suture zone that is tectonically correlated with the Qinling-Dabie-Sulu belt of China in terms of the preservation of collisional evidences during Triassic in age. The Wolhyeonri complex, preserved at the center of the Hongseong area, consists mainly of Neoproterozoic orthogneisses and Middle Paleozoic intermediate- to high-grade metamorphic schists, orthogneisses and mafic metavolcanics. The area includes various Middle to Late Triassic intrusives (e.g. dyke or stock). They are mainly monzonite and aplite with small intrusions of monzodiorit, syenite and diorite in composition. The SHRIMP U-Pb zircon ages yield 237 Ma to 222 Ma. The geochemistry of the studied Triassic intrusives show similar subuction- or arc-type signatures having Ta-Nb troughs, depletion of P and Ti, and enrichment of LILEs (large ion lithophile elements). In addition, the Triassic plutons in the Hongseong area, including those from this study, mostly possess high-K calc-alkaline to shoshonitic tectonic affinity. These results could be tectonically correlated to the post-collisional magmatic event following the Triassic collision between the North and South China blocks in China. Therefore, the Triassic plutons in the Hongseong area offer an important insight into the Triassic geodynamic history of the NE Asian region.

GIS-based Areal Distribution Ratios and Characteristics of Constituent Rocks with Geologic Ages and Rock Types in Jeonnam and Gwangju Areas (전남과 광주지역 구성암류의 GIS에 의한 지질시대별 암층별 분포율 및 분포특성)

  • Yun, Hyun-Soo;Lee, Jin-Young;Hong, Sei-Sun;Yang, Dong-Yoon;Kim, Ju-Yong;Cho, Deung-Lyong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2 no.2
    • /
    • pp.153-177
    • /
    • 2013
  • To get the various data on geological information, distributional ratios and characteristics of constituent rocks with geologic ages and rock types were obtained by ArcGIS 10.1 program, digital geologic and geomorphic maps of 1:250,000 scale in Jeonnam and Gwangju areas. In the Jeonnam area, geologic age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7, in which their distribution ratios show decreasing trends in the order of Cretaceous, Precambrian, Jurassic, Quaternary, Age-unknown, Carbonifeorus-Triassic and Triassic, and the former fours make the most prevailing ratios of 94.80%. Rock types in the area can be assorted into 57 ones, in which major 7 ones occupy the dominant ratio of 71.68%. Among them, Kav (acidic volcanics+rhyolite and rhyolitic tuff) show much more distribution ratios than the others. It shows more aspects distributed in north, west, middle, east and south parts, especially in Sinan-Mogpo-Yeongam of west and Haenam of south parts in the area,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geological ages in Gwangju area can be largely divided into 5, in which their distribution ratios show decreasing trends in the order of Jurassic, Quaternary, Cretaceous, Precambrian and Age-unknown, and the former fours occupy almost the whole ratio of 98.95%. Rock types in the area are 12 ones, in which major four ones make up the dominant value of 91.30%. Among them, Jurassic granites of the most dominant value are mostly occupied in the southwest-northeast part of the area. Next dominative Quaternary alluvium is mostly developed along the Yeongsan river, the Hwangryong river and their channel junction. And Yongdu and Donggye plains are well developed around the Yeongsan riverline, and channel junction of the Yeongsan and Hwangryong rivers in the area, respectively.

Characteristics of Radon Variability in Soils at Busan Area (부산광역시 일대의 토양 내 라돈 농도 변화 특성)

  • Kim, Jin-Seop;Kim, Sun-Woong;Lee, Hyo-Min;Choi, Jeong-Yun;Moon, Ki-Hoon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45 no.3
    • /
    • pp.277-294
    • /
    • 2012
  • The characteristics of temporal spacial radon variation in soil according to parent rock type and affecting factors were studied in Busan, Korea. The concentration of $^{222}Rn$ in soils and their parent elements ($^{226}Ra$,$^{228}Ra$, U and Th) in rocks and soils were measured at 24 sites in Busan area. The distribution and transportation behavior of these parent elements were analyzed and their correlations to radon concentration in soil were determined. Topographic effects were also evaluated. Two in-situ radon measurement (soil probe and buried tube) methods were applied to measure radon concentration in soil and their accuracies were evaluated. The spatial variation of radon in soil generally reflected U concentration in the parent rock. Average radon concentrations were higher in plutonic rocks than in volcanic rocks and were decreased in the order of felsic>intermediate>mafic rock. However, the radon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varied in soils developed from same parent rocks due to the disequilibrium of U and $^{226}Ra$ between rock and soil. As results, the correlation of these element concentrations between rocks and soils was very low and radon concentrations in soils had highly co-related to the concentrations of these elements in soils. Th and $^{228}Ra$ show complex enrichment characteristics, differing significantly with U, in soils developed from same parent rock because the geochemical behavior of these elements during weathering and soil developing process was different with U. The radon concentrations in the same depth of soil in slope area were also different according to positions. The radon concentrations in soils developed from same parent rocks (19 sites at Pusan National University) varied 6.8~29.8Bq/L range because of small scale topographic variation. The opposite seasonal variation pattern of radon were observed according to soil properties. It was determined that buried tube method is more accurate method than soil probe method and was very advantageous application for the analysis for the characteristics of temporal spacial radon variation in soil.

Areal Distribution Ratios of Constituent Rocks with Geologic Ages and Rock Types by GIS in the Gyeongsangbug-Do and Daegu Areas (GIS에 의한 경북-대구지역 구성암류의 지질시대별 및 암종별 분포율)

  • Yun, Hyun-Soo;Lee, Jin-Young;Yang, Dong-Yoon;Hong, Sei-Sun;Kim, Ju-Yong;Yi, Sang-Heon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19 no.1
    • /
    • pp.1-18
    • /
    • 2010
  • On the ArcGIS 9.2 program in Gyeongsangbug-Do and Daegu areas, distribution ratios of rock types and geologic ages were obtained from the 1 : 250,000 scaled digital geologic and geomorphic maps. The obtained distribution ratios here will be used the geologic information data for industrialization and development planning of rock resources. The Gyeongsangbug-Do area consists of 86 rock types that can be divided into 10 large groups in geologic age. Their geologic distribution ratios show the decreasing in the order of Cretaceous, Precambrian, Jurassic, Quaternary, Age-unknown and Tertiary, all of which occupy the prevailing ratio of 96.30% in the area. Of which, sixteen rock types are somewhat dominant ones (64.04%). They are of Precambrian Yulri group and granite gneiss of the Yeongnam metamorphic complex and biotite gneiss of the Sobaegsan metamorphic complex, Age-unknown granite, Jurassic granite, Cretaceous Gasongdong and Dogyedong formations of the Yeongyang sub-basin, Nagdong and Chunsan formations and intermediate-basic volcanics of Euiseong sub-basin, Jinju and Jindong formations and andesite-andesitic tuff of Milyang sub-basin, and hornblende granite, and Quaternary alluvium. They show relatively narrow ranges of 2.07-6.53% in geologic distribution in exception of Jurassic granite showing 13.14%. And the rest 70 rock types appear to very narrow range between 0.01 and 1.94 %. On the other hand, twelve rock types are developed in the Daegu area. Their geologic ages appear to be classified into Cretaceous and Quaternary occupying 86.05% and 11.39%, respectively. Seven rock types take possession of 94.04% among the all rocks. The major rock types are Jinju formation of the Sindong group, Chilgog, Haman and Jindong formations of the Hayang group, andesite and andesitic tuff, hornblende granite and Quaternary alluvium. With exception of andesite and andesitic tuff of 37.40%, the types show slightly wide range of 3.25-17.39%, which apparently differ trends from that of Gyeongsangbug-Do area. And the rest of rock types have narrow ranges of 0.22-1.81% in the Daegu a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