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열 전달촉진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초

인용정보 데이터를 활용한 과학기술 학술정보서비스 개발 (Development of Science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 using Citation Information Data)

  • 박유나;배수영;이혜진;이석형;최희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241-249
    • /
    • 2020
  • 학술자원의 인용정보는 선행연구로부터 흘러온 지식의 흐름을 담고 있어 관계론적 측면에서 파편화된 연구를 연결할 수 있다. 인용관계 기반의 정보는 연구의 종합적인 흐름을 파악할 수 있어 기존 연구결과를 발전시키거나 관련된 연구 분야를 도출하여 융합연구를 촉진하는 등 연구논문의 새로운 가치를 발견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단순 공개수준으로 제공하던 학술문헌 인용정보 데이터를 인용관계를 통해 재생산하여 시계열 기반으로 인용, 피인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추가적으로 인용이 전파되는 과정에 단계를 설정하여 인용 범위를 넓히며 연구의 흐름을 분석 하였다. 이를 통해 인용, 피인용 문헌의 주요 연구 내용을 시계열기반으로 시각화하는 학술정보서비스인 논문타임라인 서비스를 개발하였다. 이는 인용정보가 담고 있는 의미를 전달할 수 있는 서비스로 학술자원을 접근하는 새로운 방법이 될 것이다.

상부 코일히터를 갖춘 나선재킷형 태양열 축열조의 성능예측을 위한 CFD 해석모델 개발 및 검증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Model for Solar Thermal Storage Tanks with Helical Jacket Heater and Upper Spiral Coil Heater)

  • 백승만;종일명;남진현;정재동;홍희기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7권4호
    • /
    • pp.331-341
    • /
    • 2013
  • 태양열 온수급탕 시스템에서는 태양열 에너지가 집열판에서 획득되고 열매체로 전달되어 최종적으로 온수의 형태로 축열조에 저장된다. 본 연구에서는 상부 코일히터를 갖춘 나선재킷형 축열조의 축열성능 특성을 정확하게 해석할 수 있는 전산유체역학 모델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고려한 축열조는 벽면에 열매체의 나선유로가 형성된 맨틀형 축열조의 일종으로 시스템 설계 단순화, 저유량 운전, 성층화 촉진 등의 장점을 지닌다. 또한 축열조 내부에 추가적인 코일히터가 장착되어 축열성능과 성층화의 추가적인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해석모델의 검증은 실제 태양열 온수급탕 시스템의 실증실험 결과와 비교를 통하여 수행되었으며, 온수의 온도변화, 열매체의 온도변화, 성층화 온도분포의 측면에서 잘 일치하는 결과를 얻었다.

이성분 나노유체($H_2O$/LiBr+나노입자)를 적용한 유하박막 흡수기의 열 및 물질전달 촉진 실험 (An Experimental Study on Falling Film Heat and Mass Transfer for Binary Nanofluids ($H_2O$/LiBr+Nanoparticles))

  • 김현대;김성수;남상철;정진희;강용태
    • 대한설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설비공학회 2008년도 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30-135
    • /
    • 2008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combined heat and mass transfer enhancement using binary nanofluids as the working fluids in a $H_2O$/LiBr absorber. The result of heat and mass transfer experiment with the additives(Arabicgum, 2E1H) showed that the heat and mass transfer performance of binary nanofluid with 2E1H enhanced significantly in comparison with that without additive. In the case of 0.01wt% $Al_2O_3$ binary nanofluids with 2E1H, the vapor absorption rate increased up to 77% in comparison with that without additive. The heat transfer rate of 0.01wt% $Al_2O_3$ binary nanofluids with 2E1H increased up to 19%.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it is recommended that the $Al_2O_3$ binary nanofluid be good with 2E1H to improve the heat and mass transfer performance.

  • PDF

사각 덕트 내부 열전달 향상을 위한 요철의 단락 효과 (Effects of Discrete Rib-Turbulators on Heat/Mass Transfer Augmentation in a Rectangular Duct)

  • 권혁진;우성제;조형희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4권5호
    • /
    • pp.744-752
    • /
    • 2000
  • The influence of arrangement and length of discrete ribs on heat/mass transfer and friction loss is investigated. Mass transfer experiments are conducted to obtain the detailed local heat/mass transfer information on the ribbed wall. The aspect ratio (width/height) of the duct is 2.04 and the rib height is one tenth of the duct height, such that the ratio of the rib height to hydraulic diameter is 0.0743. The ratio of rib-to-rib distance to rib height is 10. The discrete ribs were made by dividing each continuous rib into 2, 3 or 5 pieces and attached periodically to the top and the bottom walls of the duct with a parallel orientation The combined effects of rib angle and length of the discrete ribs on heat/mass transfer ae considered for the rib angles $({\alpha})\;of\;90^{\circ}\;and\;45^{\circ}$. As the number of the discrete ribs increases, the uniformity of the heat/mass transfer distributions increases. For $(\alpha})=90^{\circ}$, the heat/mass transfer enhancement with the discrete ribs is remarkable, while the heat/mass transfer performances are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the transverse continuous ribs due to the accompanied high friction loss penalty. For $(\alpha})=90^{\circ}$, the average heat/mass transfer coefficients and the heat/mass transfer performances decrease slightly with the discrete ribs compared to the case of the angled continuous ribs.

다수성 벼 품종의 양조 특성 연구 (Brewing and Fermenting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Produced from High-yielding Rice Varieties)

  • 이대형;이용선;조창휘;서재순;박인태;김희동;임재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714-720
    • /
    • 2013
  • 국내 육성 가공품종 중 다수성 벼를 원료로 한 양조적성 확인을 위해 인디카계통인 안다와 다산 1호 자포니카계통인 드래찬과 보람찬을 사용하여 원료쌀 품종에 따른 양조 적성 확인을 연구하였다. 또 국균과 효모의 증식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진 K의 함량은 드래찬과 보람찬에서 높게 나타났다. 쌀의 일반성분 분석 결과는 단백질 함량은 안다벼가 $7.5{\pm}0.2%$로 다른 쌀에 비해 높았으며 아밀로스 함량은 자포니카계통 드래찬과 보람찬 쌀이 $18.9{\pm}0.7%$, $18.9{\pm}1.4%$으로 낮은 함량을 보였다. 전분가는 자포니카계통인 드래찬 보람찬이 $78.6{\pm}0.2$, $77.2{\pm}0.4%$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인디카계통인 안다와 다산 1호는 $86.2{\pm}0.3$, $82.0{\pm}0.5%$을 나타내었다. 호화특성으로는 전분의 열과 전달력에 대한 저항의 척도인 강화점도(breakdown)는 안다와 다산 1호가 $120.92{\pm}2.5$ cp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품종별 발효적성을 실험한 결과 먼저 입국법 막걸리의 경우 다산 1호를 제외한 모든 시료에서 발효 완료시 16.6-17.4% 사이의 알코올이 생성 되었다. 다산 1호만 14.3%의 알코올이 생성 되었으며 또한 관능결과에서는 다산 1호가 다른 품종의 막걸리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며 종합적인 기호도가 좋았다. 무증자법 막걸리의 경우 인디카계통인 안다와 다산 1호가 발효 완료시에 알코올이 17.2%, 17.0%로 다른 품종에 비해 낮게 생성되었다. 총산의 경우 안다와 다산 1호는 총산이 0.33, 0.31%로 드래찬과 보람의 0.28%보다 높게 생성되었다. 관능결과에서는 향기, 목넘김, 종합적 기호도의 경우에서 안다와 다산 1호가 다른 품종의 막걸리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며 기호도가 좋았다. 입국과 무증자 막걸리 제조에서 다산 1호가 가장 우수한 관능 값을 보였으나 입국 제조시 알코올 생산량이 낮은 문제를 해결한다면 다수확 품종 중 다산 1호가 막걸리 생산에 적합한 품종으로 사료된다.

미만형 위암에서 임상병리학적 인자와 Hsp70, BAG1과 Raf-1 발현간의 상관성 (Correlation between Clinicopathology and Expression of HSP70, BAG1 and Raf-1 in Human Diffuse Type Gastric Carcinoma)

  • 정상봉;이현욱;정경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01-10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미만형 위암조직에서의 임상병리학적 인자와 HSP70, BAG1, Raf-1의 발현간의 상관관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Hsp70은 열충격단백질(heat shock protein)의 환경적 스트레스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분자생물학적 chaperone으로 작용하는 것뿐 아니라 anti-apoptotic 작용을 통하여 암세포의 생존과 전이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Proto-oncogene의 일종인 Raf는 사람을 포함한 진핵세포의 생장에 관여하는 중요한 신호전달경로인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경로의 중심인자로서 다양한 암에서 그 발현이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다. Bcl-2에 결합하여 세포사멸을 저해하는 것으로 처음 보고된 Bcl-2-associated athanogene-1 (BAG-1)은 다양한 암에서 그 발현이 증가된다고 보고되었다. 또한 BAG-1은 HSP70과 상호작용하여 Raf-1-ERK signal pathway와 cell growth를 조절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Hsp70의 발현은 임파절 전이가 있는 경우 24례(64.9%)에서 양성, 13례(35.1%)에서 음성을 보였으며, 임파절 전이가 없는 경우 6례(26.1%)에서 양성, 17례(73.9%)에서 음성을 보여 임파절의 전이가 있는 경우가 임파절 전이가 없는 경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발현율을 보였다(p=0.007). N-stage에 따른 발현은 N-stage가 증가함에 따라 발현율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6). BAG1의발현은 전체 대상 환자 중 43례(71.7%)에서 양성, 17례(28.3%)에서 음성소견을 보였으며, 65세 미만에서 65세 이상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발현율을 보였다(p=0.035). RAF1의 경우 전체 대상 환자 중 45례(75.0%)에서 양성, 15례(25.0%)에서 음성소견을 보였으며, BAG1 양성환자에서 RAF1의 발현이 유의하게 증가 하였다(p=0.021). 본연구 결과 Hsp70은 종양의 진행과 상관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지며, BAG1과 Raf-1은 미만형위 암의 진단적 마커로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