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열풍

검색결과 897건 처리시간 0.028초

매체유동층에서 미세 고분자의 건조특성 (Drying Characteristics of Fine Polymers in an Inert Medium Fluidized Bed)

  • 김옥신;이동현
    • 청정기술
    • /
    • 제17권3호
    • /
    • pp.209-214
    • /
    • 2011
  • 직경 0.15 m, 높이 1.0 m인 매체유동층 건조기 내에서 유입 열풍유속(0.26~0.31 m/s), 유입 열풍온도(315~353 K) 및 미세 고분자입자와 매체입자의 질량비(0.1~0.4)에 따른 미세 고분자의 건조속도에 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건조에 사용된 미세 고분자는 평균입경이 20 ${\mu}m$인 가교 PMMA beads로써 Geldart group C 입자이고, 매체입자는 Group B인 직경 590 ${\mu}m$인 glass beads를 이용하였다. 건조속도는 유입열풍유속 및 유입열풍온도에 따라 증가하였고, 미세 고분자와 매체입자의 질량비에 따라 감소하였다. 건조된 미세 고분자(PMMA)의 입도분포형태는 단일분포를 나타내었다.

패류 가공에 관한 연구 2. 건조 방법 및 EDTA, BHA처리가 개량조개 Mactra Sulcataria REEVE의 색소 잔존율 및 흡수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STUDIES ON THE SHELLFISH PROCESSING 2. Effect of Dehydration Method, EDTA or BHA Treatment on the Pigment Retention and the Water Absorbing Capacity of the Dehydrated Meat of the Surf Clam Mactra Sulcataria REEVE)

  • 이응호;허종화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33-37
    • /
    • 1970
  • 토사질을 제거한 개량조개를 EDTA 및 항산화제 처리를 하여 열풍 건조 및 천일 건조했을 때 건조 방법이나 EDTA 및 항산화제 처리가 변색 및 흡수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천일 건조한 것이 열풍 건조한 것보다 월등하게 색소 소실이 심하였다. 2) BHA 처리하여 열풍 건조한 것은 생시료와 비교할 때 거의 색소 소실이 없었다. 색소 소실이 많은 것부터 열거하면, 대조구 및 EDTA 자숙 처리구>EDTA 침지 처리구>BHA 처리구의 순이었다. 3) 흡수성은 열풍 건조한 것이 천일 건조 한 것보다 빨랐다. 그리고 BHA 처리구 및 EDTA 처리구 사이에 흡수율의 뚜렷한 차이는 없었다. 4) 개량조개는 BHA 처리를 하여 열풍 건조하면 색소 소실도 적고 복원성도 좋아진다.

  • PDF

인공광을 이용한 고추 건조기술 연구 (A Study on the Drying of Red Pepper by Using Artificial Lighting and Heated Air)

  • 이선호;조광환;김유호;이영민;조영길;오성식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02년도 동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362-368
    • /
    • 2002
  • 가. 인공광원은 색온도, 연색지수, 파장대, 조도등에서 태양에 가장 근접한 메탈할라이드 등을 선정했다. 나. 광원을 공시비닐하우스에 적용키 위해 반사갓 재료 및 각도, 등 간격별로 요인시험한 결과 엠보싱처리 알루미늄 재료, 반사갓 각도 전후좌우 30$^{\circ}$, 등간격 550mm에서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나 비닐하우스용 고추건조장치의 장조사부 설계.제작에 적용하였다. 다. 건조성능시험결과 시험구(인공광+열풍)가 대비구(열풍)에 비해 건감속도가 10.3-19.7% 향상되었고, 건조에너지도 16.1~17.1% 절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라. 시험구 및 대비구의 색택(ASTA color) 및 당도에 대해 F-test 검증결과 5% 유의수준에서 고도의 유의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ASTA color값은 차이가 컸으나 당도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농가에서 사용하고 있는 하우스 열풍건조에 비해 색택 및 성분면에서 양호하기 때문에 비닐하우스 건조방식을 채택하는 농가를 대상으로 인공광조사 건조방식을 추가한다면 전천후 건조방식으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열풍 및 동결건조에 따른 숙성 흑생강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from Hot-air and Freeze Dried Aged Black Ginger (Zingiber officinale))

  • 김훈환;이수정;정윤호;김성희;성낙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53-161
    • /
    • 2018
  • 흑생강의 기능성 극대화와 산업화를 위하여 건조방법과 혼합비를 달리한 흑생강 분말의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 활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시료의 조제는 열풍 및 동결건조시킨 흑생강 분말과 이들의 혼합비에 따라 각각 시료 "A" (8:2), "B" (5:5), "C" (2:8), "D" (10:0) 및 "E" (0:10)로 구분하였다. 시료의 수분흡수지수와 수분용해지수는 동결건조 시료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동결건조 시료의 비율이 클수록 수분흡수지수가 유의적으로 증가되는 경향이었다. 갈색물질의 함량은 동결건조에 비해 열풍건조한 시료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시료의 색차는 모든 시료에서 유의차가 없었다. 총당 및 환원당 함량은 열풍건조에 비해 동결건조 시료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는데, 혼합시료 중 총당은 동결건조 시료의 함량이 많아짐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동결건조보다 열풍건조 시료에서 많았으며, 혼합시료에서도 열풍건조 시료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Gingerol과 shogaol 함량은 혼합시료 "A"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6-gingerol은 건조방법에 따른 유의차가 없었다. 콜레스테롤 흡착활성은 동결건조 시료 "E"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건조방법에 따른 유의차가 적었으나, ABTS 라디칼 소거활성 및 환원력은 열풍건조 시료가 동결건조 시료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혼합시료에서는 "A"의 활성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따라서 열풍건조된 흑생강은 동결건조에 비해 품질이나 기능성 측면에서 우수하였으며, 특히 열풍 및 동결건조 시료를 8:2(w/w)로 혼합한 경우 기능성이나 산업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건조방법에 따른 히카마 감자분말의 품질특성 변화 (Changes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Jicama (Pachyrhizus erosus) potato powder by drying methods)

  • 최선일;이진하;조명래;신기해;김재민;오지원;정태동;이성갑;이옥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915-91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히카마의 식품성분들을 분석하고 건조방법에 따른 특성들을 비교하여 식품 가공시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히카마의 수분함량은 81.81%이었으며, 열풍건조물과 동결건조물의 수분함량은 $13.26{\pm}0.26$, $11.34{\pm}0.19%$ 이었다. 수분을 제외한 고형분의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 탄수화물은 열풍건조물에서 $2.85{\pm}0.27$, $0.79{\pm}0.08$, $7.93{\pm}0.52$, $88.44{\pm}0.63%$ 이었으며, 동결건조물에서 $3.93{\pm}0.65$, $0.83{\pm}0.02$, $7.92{\pm}0.33$, $87.32{\pm}0.36%$ 이었다. 열풍건조물과 동결건조물의 색도에서는 명도(L값) 는 $88.01{\pm}0.67$$92.86{\pm}0.11$으로 동결건조물이 더 높았으며, 적색도(a값), 황색도(b값)는 각각 $0.43{\pm}0.11$$-0.67{\pm}0.11$, $11.96{\pm}1.50$$3.21{\pm}0.31$으로 열풍건조물이 더 높았다. 건조방법에 따른 갈변을 살펴본 결과 열풍건조물이 $0.107{\pm}0.004$, 동결건조물이 $0.029{\pm}0.002$으로 열에 의한 갈변이 나타났다. 총당 측정은 열풍건조물이 $46.49{\pm}3.00mg/g$, 동결건조물이 $45.11{\pm}3.24mg/g$으로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아밀로오스의 경우는 열풍건물이 $5.66{\pm}0.21%$, 동결건조물이 $6.63{\pm}0.15%$으로 차이를 보였다.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은 열풍건조물과 동결건조물 시료 1 mg/mL, 0.5 mg/mL 0.1 mg/mL에서 각각 19.74, 17.61, 18.23%와 17.18, 17.54, 15.88%로 열풍건조물에서 높게 측정되었으나, 아스코르빈산과 비교하였을 때 낮은 수준을 보였다.

열풍처리에 따른 조생 온주감글의 저장 중 품질특성 변화 (Storage Quality of Early Harvested Satsuma Mandarin as Influenced by Hot Air Treatment)

  • 이현희;홍석인;손석민;김동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04-312
    • /
    • 2004
  • 감귤의 수확 후 저장, 유통과정에서 부패 억제 및 품질유지 효과를 얻기 위하여 환경친화적 방법으로서 중-고온 예조처리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조생종 온주 감귤의 열풍처리에 따른 저장 중 품질특성 변화를 살펴보았다. 45$^{\circ}C$에서 2, 4, 6시간 동안 열풍을 가한 다음, 충분히 냉각시킨 감귤을 통기성 천공 LDPE 필름에 포장하여 5$^{\circ}C$에서 3주, 18$^{\circ}C$에서 1주간저장하면서 호흡률, 과실내부 기체조성,pH, 산도, 가용성 고형분 함량, 과피 표면색, 생체 중량 감소율, 경도, 부패과 발생률, 관능특성 등을 평가하였다. 열풍처리 직후 초기 호홉률은 처리구 모두 무처리구와 비교하여 높았으나 처리시간과는 유의적 상관성이 없었고, 저장 중처구 감귤의 호흡률은 감소하여 21일째는 무처리구와 유사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과실내부 기체조성은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과즙의 pH, 산도, 가용성 고형분 함량 및 과실의 생체 중량감소와 경도, 과피 표면색 역시 열처리에 의해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한편 부패과 발생률에 있어서는 4시간 이상의 처리구가 꼭지 썩음 현상과 곰팡이 발생정도, 검은 썩음병인 표피 흑변 정도에서 저장 중 낮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외관품질 및 체감품질에 대한 관능평가에서는 열풍처리구와 무처리구 사이에서의 유의적인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결론적으로 45$^{\circ}C$, 4-6시간의 제한적 열풍처리는 조생 온주 감글의 저장 중 부패과 발생률을 현저히 감소시킴으로서 수확 후 품질유지에 효과적인 중-고온 예조처리 조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건조방법에 따른 포도 가공부산물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Grape Pomace with Different Drying Methods)

  • 육홍선;김경희;장순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9호
    • /
    • pp.1353-1358
    • /
    • 2010
  • 폐자원으로써 버려지는 포도 가공부산물의 활용을 위한 기초연구로 본 연구에서는 포도부산물의 건조방법에 따른 일반성분, 색도, pH, 항산화성분 및 활성을 비교분석 하였다. 일반성분의 경우, 회분, 조지방, 조단백 함량은 열풍건조시료에서 더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색도 측정결과, L값(명도)과 a값(적색도)은 동결건조 한 시료가 더 높게 나타난 반면, b값(황색도)의 경우 열풍건조시료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pH는 열풍건조시료의 pH가 동결건조시료에 비해 약간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총 폴리페놀 함량 및 안토시아닌 함량은 동결건조시료에서 더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항산화 활성 측정 결과 라디칼 소거능의 경우,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이 열풍건조시료에 비해 동결건조시료에서 비교적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반면, 환원력으로 측정한 항산화 활성의 경우, reducing power 및 FRAP 값이 동결건조시료에 비해 열풍건조시료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수치상으로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건조방법에 따른 항산화 성분과 항산화 활성을 비교한 결과 열풍건조시료에 비해 동결건조 시료가 더 우수한 것으로 사료된다.

적색육 어류의 저장 및 가공중의 Amine류의 변화 2. 꽁치$\cdot$삼치 염장 및 건제품의 DMA와 TMA 함량 (Changes in Contents of Amines in the Dark-fleshed Fish Meat During Processing and Storage. 2 Formation of Dimethylamine and Trimethylamine in Salted and Dried Mackerel pike and Spanish mackerel)

  • 박영호;최수안;안철우;양영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7-14
    • /
    • 1981
  • 꽁치($2^{\circ}C$$10^{\circ}C$) 및 삼치육($2^{\circ}C$$15^{\circ}C$)은 저장하였을 때의 육중의 TMAO-N, TMA-N 및 TMA-N의 경시적인 변화와 아울러 이들 어육을 저장, 열풍건조 및 일건하였을 때의 변화에 대하여 실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TMAO의 변화에 있어서 5일간 저장하였을 때 $2^{\circ}C$의 경우, 꽁치 몇 삼치육은 각각 생시료때의 $48\%$$41\%$의 잔존율을 나타내었고 $10^{\circ}C$의 꽁치육과 $15^{\circ}C$의 삼치육의 경우는 각각 $39\%$$18\%$였다. 2. TMA의 변화는 5일간의 저장에서, $2^{\circ}C$의 경우 꽁치 및 삼치육은 각각 생시료때의 6.5배양 및18배양의 증가를 보었고, $10^{\circ}C$의 꽁치와 $15^{\circ}C$의 삼치육의 경우는 각각 28.8배양 및 77.7배양이었다. 3. DMA의 변화는 5일간의 저장에서, $2^{\circ}C$의 경우 꽁치 및 삼치육은 각각 생시료때의 2.5배양 및 5.4배양의 증가를 나타냈고, $10^{\circ}C$의 꽁치와 $15^{\circ}C$의 삼치육의 경우는 각각 4배양 및 8배양이었다. 4. 제품별 TMAO의 함양은 꽁치의 경우, 염장품 > 열풍건조품 > 일건품의 순이었고 삼치의 경우는 염장품 > 일건품열풍건조품의 순이 있다. 5. 제품별 TMA의 합양은 꽁치의 경우, 열풍건조품 > 일건품 > 염장품의 순이였고 삼치의 경우는 일건품 > 열풍건조품 > 염장품의 순이었다. 6. 제품별 DMA의 함양은 모든 시료가 열풍건조품 > 일건품 > 염장품의 순이었다. 본 연구의 실험을 도와 준 성혜경 선생에게 감사를 드리는 바이다.

  • PDF

건조 방법에 따른 산사과 추출물의 항산화 및 생리활성 (Antioxidant abilities and physiological properties of dried Haw extracts prepared using different drying methods)

  • 남산;권유리;정헌식;윤광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46-251
    • /
    • 2016
  • 건조 방법을 달리하여 건조한 산사과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및 생리활성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건조 산사과의 추출 수율은 동결건조 추출물이(61.70%) 열풍건조 추추물(53.50%) 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에서도 동결건조 산사과 추출물이 열풍건조 추출물에 비하여 높은 값을 보였다. 항산화 활성 또한 동결 건조 산사과 추출물에서 열풍 건조 산사과 추출물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고, 특히 DPPH 라디칼 소거능에서 동결건조 산사과 추출물이 열풍건조 산사과 추출물 보다 3배 넘는 활성을 나타내었다.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bility에서는 동결건조 산사과가 열풍건조 산사과, 양성대조군인 acarbose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HMG-CoA reductase 저해활성에서는 동결, 열풍 산사과 추출물이 전체적으로 높은 저해 활성을 나타내어 콜레스테롤 개선효과에 대한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동결건조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산사과의 건조효율 증대와 품질손상을 억제 할 수 있는 건조 방법으로 판단된다.

건조방법에 따른 모시잎의 항산화 활성 및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 (Effects of Ramie Leaf according to Drying Methods on Antioxidant Activity and Growth Inhibitory Effects of Cancer Cells)

  • 김아라;강수태;정은;이재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682-689
    • /
    • 2014
  • 본 연구는 모시잎의 건조방법에 따른 항산화 및 암세포 증식억제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80% 에탄올로 추출한 열풍건조 및 동결건조 모시잎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건조방법에 따른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열풍건조 모시잎이 동결건조 모시잎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1,000 ppm에서 열풍건조 및 동결건조 모시잎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각각 77.74%와 77.29%의 비슷한 라디칼 소거능을 보였으며, Rancimat으로 측정한 열풍건조 및 동결건조 모시잎의 항산화지수는 각각 1.38과 1.32로 BHT, BHA 및 비타민 C에 비해서는 낮았으나 시료를 미첨가한 음성대조군보다는 높은 항산화력을 보였다. 위암(AGS), 간암(Hep G2) 및 폐암(A549) 세포에 대한 모시잎 에탄올 추출물의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를 알아본 결과, 열풍건조 및 동결건조 모시잎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암세포의 증식 억제 활성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되었다. 건조방법에 따른 항암활성은 비슷한 경향이었으며 가장 높은 농도인 $800{\mu}g/mL$에서 80% 이상의 간암 및 폐암세포의 증식 억제 활성을 보였고, 위암세포에서는 75%이상의 증식 억제 활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 열풍건조 및 동결건조 모시잎 에탄올 추출물은 in vitro에서 항산화효과와 암세포의 증식 억제효과를 보였고, 건조방법에 따른 모시잎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암세포 증식 억제 활성은 비슷한 경향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