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열중량분석법

검색결과 93건 처리시간 0.027초

TGA를 이용한 Chlorinated Poly Vinyl Chloride(CPVC)의 활성화 에너지 평가 (Evaluation of the Activation Energy of Chlorinated Poly Vinyl Chloride (CPVC) Using Thermogravimetric Analysis)

  • 박형주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1호
    • /
    • pp.1-6
    • /
    • 2019
  • 열중량 분석법(TGA)을 이용하여 소방용 합성수지 배관으로 사용되는 CPVC의 활성화 에너지를 측정하였다. 열중량 분석법을 이용한 활성화 에너지는 Kissinger method와 Flynn-Wall-Ozawa method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활성화 에너지를 계산한 결과 Kissinger method에 의해 128.07 kJ/mol, Flynn-Wall-Ozawa method에 의해 145.60 kJ/mol로 나타났다. Kissinger method와 Flynn-Wall-Ozawa method에 의해 계산된 활성화 에너지의 차이는 해석 방법이 다르다는 점을 감안했을 때 큰 차이가 없다고 판단된다. 향후 가속열화을 이용한 열적 열화평가 및 공기오븐노화시험을 통한 CPVC의 연소특성을 시험하고, 수명을 예측하고자 한다.

티타닐 옥살산 바륨 사 수화물의 분해 반응 (Thermal Decomposition of Barium Titanyl Oxalate Tetrahydrate)

  • 이상범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1권
    • /
    • pp.47-59
    • /
    • 1987
  • 티타닐 옥살산 바륨 사 수화물(BaTiO($$C_2$$O_4$)_2$ $4H_2$O) 의 분해반응을 열중량 분석법 (TG), 미분 열중량 분석법 (DTG) 그리고 시차 열분석법 (DTA) 를 이용하여 반응기구를 조사 하였다. 중간 생성물과 생성기체는 적외선 분광법과 X-ray회절법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열분해 과정은 탈수 과정을 포함하여 5단계 분해과정으로 진행하였으며 1단계 분해과정은 탈수과정이며 일부 옥살산기의 분해과정이 함께 일어나게 된다. 2단계 분해과정에서는 1/2몰의 일산화 탄소가 방출되었다. 옥살산기의 분해는 $260~460^{\circ}C$의 온도범위에서 완전히 일어나고 분해하는 시료의 중간체에 자유로운 이산화 탄소기를 가지는 탄산화물을 생성하게 된다. 중간 생성체인 탄산화물의 최종분해는 $650~750^{\circ}C$에서 일어나며 티탄산 바륨 ($BaTiO_3$)이 생성된다.

  • PDF

고에너지 열가소성 추진제 제조 및 특성연구(II) (Study on the Formulation of an Energetic Thermoplastic Propellant and its Properties(II))

  • 김한철;박의용;정재윤;김윤곤;최성한;강태운;오경원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41-46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당 논문과 동일한 제목 하에 이루어진 연구결과에 이어서 최신 개발 고에너지 열가소성(ETPE)추진제의 시차 주사 열량(DSC) 및 열중량 분석(TGA)법으로 열분석을 진행하여 고에너지 열가소성 추진제의 특징을 확인하였으며, 추진제 둔감성을 확인하기 위해 추진제 둔감 정도 확인 시험인 LSGT, 파쇄성 시험을 진행하였다. 추진제 원료로는 GAP(Glycidyl Azide Polymer)이 45% 함유된 고에너지 열가소성(ETPE) 바인더와 고에너지 가소제(DEGDN), 산화제로는 AP(Ammonium Perchlorate)와 RDX(research development explosive, cyclotrimethylenetrinitramine)를 사용하였다. 위와 같은 분석을 통해, 개발된 ETPE 추진제가 일반적인 RDX/AP 추진제와 유사한 열적 거동을 갖는 것을 확인 하였다.

열중량 분석에 의한 DGEBA/MDA/PGE-AcAm/CTBN계의 열적 안정성 평가 (Estimation of Thermal Stability for DGEBA/MDA/PGE-AcAm/CTBN System by TG Analysis)

  • 이재영;최형기;심미자;김상욱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29-233
    • /
    • 1997
  • Diglycidyl ether of bisphenol A(DGEBA)/4,4'-methylene dianiline(MDA)/phenyl glycidyl ether(PGE)-acetamide(AcAm)/carboxyl-terminated acrylonitrile butadiene copolymer(CTBN) 계의 열적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열중량 분석법(TG)을 사용하였다. 활성화 에너지를 구하기 위해 Freeman & Carrol, kissinger, Flynn & Wall 식을 사용하였다. Freeman & Wall 식을 이용하여 구한 활성화 에너지는 112.9 kJ/mol, Kissinger 식에 의한 값은 151.5kJ/mol 이었으며, Flynn & Wall식에 의해 구한 값은 168.3 kJ/mol 이었다.

  • PDF

폴리카보네이트와 몬모릴로나이트 나노복합체의 층간삽입 (Intercalation of Polycarbonate/Montmorillonite Nanocomposites)

  • 이양훈;홍성권;윤광수;최일석;이성구
    • 폴리머
    • /
    • 제25권6호
    • /
    • pp.818-825
    • /
    • 2001
  • 폴리카보네이트 (PC)와 몬모릴로나이트 (montmorillonite, MMT)의 나노복합체를 용액 및 용융 혼합 방법으로 층간삽입시켜 제조하여 X-ray 실험으로 MMT의 층간간격 변화를 조사하였다. MMT로는 $Na^+$를 양이온으로 갖는 순수 MMT (MMT-Na)와 도데실암모늄 (MMT-DA) 및 dimethyl hydrogenated tallow 2-ethylhexyl ammonium으로 개질된 MMT (MMT-25A)를 사용하였다. PC/MMT-25A와 PC/MMT-DA가 PC/MMT-Na보다 층간거리의 증가폭이 컸으며, 혼합방법에 따라 최대 $37AA$까지 층간간격이 증가하였다. 또 PC의 분자량이 작을수록, 혼합시간이 증가할수록 삽입이 잘 일어났다. 열중량분석법 (TGA)으로 측정한 열안정성은 PC/MMT-25A가 PC/MMT-Na와 순수한 PC보다 우수함을 나타내었다.

  • PDF

비등온 열중량분석법을 이용한 급속 반탄화 참나무 목분의 열적 특성과 활성화 에너지 연구 (A Study on The Thermal Properties and Activation Energy of Rapidly Torrefied Oak Wood Powder using Non-isothermal Thermogravimetric Analysis)

  • 이단비;김범준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1호
    • /
    • pp.96-105
    • /
    • 2016
  • 급속 반탄화 처리한 참나무 목분의 연료 적합성을 알아보기 위해 다양한 반탄화 시간(0, 5, 7.5, 10분)으로 제조한 반탄화 목분 시료를 10, 20, $40^{\circ}C/min$의 승온속도로 비등온 열중량분석법을 이용하여 시료의 열적 특성과 활성화 에너지를 알아보았다. 반탄화 처리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시료의 열분해 시작온도($T_{onset}$)가 증가하였고, 시료 내 헤미셀룰로오스 함량은 감소하고 리그닌 함량은 증가하였으며, 열분해 반응 후의 최종 잔류물 양이 증가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활성화 에너지는 Friedman과 Kissinger의 2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추정하였으며, 각각의 결정계수 결과값은 0.9를 상회하여 계산된 활성화 에너지 값의 높은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시료의 활성화 에너지 계산 값은 반탄화 처리시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7.5분간 반탄화 처리한 시료에서 관찰된 가장 낮은 활성화 에너지 값은 급속 반탄화처리 참나무 목분의 바이오 고형연료제품으로써의 높은 적용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발전용 유동층보일러 기동 기간 중 러시아산 유연탄으로의 연료 교체시 경제적인 투입온도 예측 (Estimation of the Economic Coal Feeding Temperature at the Time of Fuel Change to Russian Bituminous Coal during Starting up for CFB Power Plant)

  • 송하경;김진국
    • 플랜트 저널
    • /
    • 제11권3호
    • /
    • pp.46-52
    • /
    • 2015
  • 200MWe 순환유동층보일러인 A화력발전소는 정부정책에 의해 국내 무연탄만을 연료로 배정받아 운영되었다. 하지만 무연탄에 대한 민간수요 증가에 따른 정부의 정책변경에 따라 유 무연탄 혼탄을 2000년대 후반부터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기동시 석탄 투입온도는 여전히 무연탄 전소시의 기준온도인 $600^{\circ}C$에 석탄을 투입하고 있는 실정이라 기동시간 지연의 한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고 기동 중 소요되는 경유의 과다소비라는 고질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A화력에서 사용되는 석탄에 대한 공업분석과 원소분석을 통하여 비교적 휘발분이 많고 반응성이 좋은 러시아산 유연탄(Suek) 연소에 따른 경유에서 석탄으로의 연료교체시 경제적인 시점을 예측하였다. 실험결과 러시아산 유연탄 (Suek) 연소시 투입가능온도는 연소전환율이 90%이상이 되는 연소최대온도($426^{\circ}C$)가 기술적, 경제적으로 가장 적합한 것으로 예상하였다.

  • PDF

소수성 실리카를 안정제로 하는 현탁중합 III. 카본블랙을 함유하는 폴리부틸메타크릴레이트 복합체 입자의 합성 (Suspension Polymerization with Hydrophobic Silica as a Stabilizer III. Poly(butyl methacrylate) Composite Particles Containing Carbon Black)

  • 문지연;박문수
    • 폴리머
    • /
    • 제33권5호
    • /
    • pp.477-484
    • /
    • 2009
  • 소수성 실리카를 안정제로 AIBN을 개시제로 하는 현탁중합법으로 PBMA 입자 및 카본블랙을 함유하는 PBMA 복합체 입자를 합성하였다. pH를 이용하여 실리카입자를 표면개질하여 안정제로 선택한 반응에서 사용한 실리카의 90%는 안정제로, 10%는 PBMA 입자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규명되었다. 반응속도와 입경은 안정제의 농도에 무관한 것으로 관찰되었으나, 수평균 및 중량평균분자량은 안정제의 농도가 1.67 wt%를 초과하면서 증가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개시제의 농도 증가와 반응온도의 상승에 따라 분자량은 이론식에 거의 일치하는 형태로 감소하였다. 카본블랙을 단량체에 대하여 1, 3, 5 및 7 wt% 유입하는 경우 반응전환율은 단계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유리전이온도는 카본블랙의 농도가 단량체에 대하여 3 wt%에서 5 wt%로 증가하는 경우 약 $4^{\circ}C$ 상승하였다. 투과전자현미경(TEM)을 이용하여 입자의 내부에 위치하는 카본블랙을 확인하였으며, 열중량분석법(TGA)으로 카본블랙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페놀 수지의 경화 공정 (Curing Process of Phenolic Resin)

  • 이윤배;성시창;신은정
    • 공업화학
    • /
    • 제16권2호
    • /
    • pp.292-295
    • /
    • 2005
  • 자동차 브레이크 패드 만들 때 페놀 수지의 경화 시간은 원가 질감의 중요한 요인이 된다. 이 경화 시간은 페놀수지와 경화제인 Hexamethylenetetramine의 반응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알 수 있다. 이 반응 시간은 적외선 분광법(FT-IR), 열치사 주사법(DSC) 및 열중량 분석법(TGA)에 의하여 화학 반응의 완결을 추적하여 알아낼 수 있었다.

기능성 분쇄조제를 통한 건조저회의 시멘트 반응성 메커니즘 분석 연구 (A Study for Analyzing the Mechanism of Enhanced Cementitious Reactivity of Bottom Ash by Using Functional Grinding Agent)

  • 임아현;강현욱;문주혁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12권3호
    • /
    • pp.271-280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상용화된 화학적 활성화제를 바텀애시의 분쇄조제로 활용하여 바텀애시 치환 시멘트를 개발하였다. X-선 회절분석과 열중량분석법을 사용하여 바텀애시 치환 시멘트의 수화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특히 PONKCS 방법을 활용하여 비정질인 C-S-H와 바텀애시를 정량화하였다. 분쇄조제 형태로 첨가된 화학적 활성화제에 의해 시멘트의 수화 반응이 지연되었을 뿐만 아니라 바텀애시의 반응성도 감소하였다. 그러나 적절한 수화 지연 현상과 알루미네이트 반응 촉진 효과로 인해 상당량의 헤미카르보알루미네이트 및 모노카르보알루미네이트가 생성되었다. 이에 따라 궁극적으로 바텀애시 치환 시멘트의 압축강도가 크게 향상되어 적정기술로서 바텀애시의 재활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