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열수분해

Search Result 630,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Transfer Function Analysis Between Soil Miosture and Runoff at a Hillslope in the Sulmachun (설마천 유역의 토양수분과 유출간의 전이함수 분석)

  • Sun, Han-Na;Joo, Sueng-Hyo;Kim, Sa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62-67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설마천 지역에 위치한 독립사면에서 시간에 따라 연속 측정한 토양수분을 이용하여 시계열 분석 을 수행하였다. 토양수분의 측정 방법은 장기간 토양수분의 확보에 신뢰성을 인정받은 TDR을 이용하였다. 관측망의 설계를 통하여 선정한 측정지점에 탐침을 매설하고 공간적인 분포를 가진 시계열 형태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유출은 해당 사이트 인근에 위치한 사방댐과 전격비교의 수위계에서 실측한 값을 사용 하였다. 전이함수 모형을 사면에서의 토양수분 전이과정에 대응되도록 물리적으로 전개하고 실측한 토양수분 시계열 데이터로 분석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전이 함수 모형은 토양수분 시계열 데이터를 입력변수로 하고 유출 데이터를 반응 변수로 하여 전개하여 토양수분 변화량과 유출간의 전이함수 모형을 도출하였다. 시계열 모형의 전개는 크게 자료전처리, 모형구조의 규명, 모수추정, 모형진단 등의 과정을 통해서 적절한 모형을 도출하였다. 산지 사면에서의 토양수분을 전이함수에 의하여 전개한 모형은 지형적 분포 양상에 따라 특색을 나타내었다. 또한 2003년 가을과 2004년 봄의 전이함수 모형 추정을 통하여 계절별 특성이 나타났고, 모형양상에 원인을 검토해 보았다. 본 연구는 전이함수를 이용한 토양수분의 시계열 분석이 사면에서의 토양수분 변동특성을 지형적, 계절적 특성과 연계하여 이해하고 특성화 하는 과정의 적절한 도구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PDF

Anaerobic Treatment of Leachate Solubilized from Thermal Hydrolysis of Sludge Cake (하수슬러지 케이크 열수분해 탈리액의 혐기성 분해 특성)

  • Kang, Ho;Oh, Baik-Yong;Shin, Kyung-Soo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7 no.10
    • /
    • pp.583-589
    • /
    • 2015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feasibility of anaerobic pretreatment for the leachate solubilized from thermal hydrolysis of sewage sludge cake. Overall process for the treatment of sludge cake consists of thermal hydrolysis, crystallization of magnesium, ammonium, and phosphate (MAP) for the leachate and anaerobic digestion of supernatant from MAP crystallization. The experimental evidence showed that the optimum ratio of Mg : P for the struvite crystallization of leachate solubilized from thermal hydrolysis of sludge cake was 1.5 to 1.0 as weight basis at the pH of 9.5. With this operational condition, the removal efficiencies of ammonia nitrogen and phosphorous achieved 50% and 97%, respectively. The mesophilic batch test showed that the ultimate biodegradability of the supernatant from MAP crystallization reached 63% at S/I ratio of 0.5. The readily biodegradable fraction of 90% ($S_1$) of the MAP supernatant BVS (Biodegradable Volatile Solids, $S_0$) degraded with $k_1$ of $0.207day^{-1}$ for the initial 17 days where as the rest slowly biodegradable fraction ($S_2$) of 10% of BVS degraded with $k_2$ of $0.02day^{-1}$ for the rest of the operational period. Semi-Continuously Fed and Mixed Reactor (SCFMR) was chosen as one of the best candidates to treat the MAP supernatant because of its total solids content over 6%. Maximum average biogas production rates reached 0.45 v/v-d and TVS removal efficiency of 37~41% was achieved at an hydraulic retention time (HRT) of 20 days and its corresponding organic loading rate (OLR) of 1.43 g VS/L-d.

Modeling of Soil Moisture Time Series using Single Input Single Output Transfer Function (전이함수를 적용한 토양 수분 시계열 자료의 분석)

  • Choi, Kyung-Moon;Sun, Han-Na;Kim, Sang-Hyun;Jung,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137-1141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설마천 지역에 위치한 독립사면에서 토양수분을 연속측정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관측망의 설계를 통하여 선정한 위치에 탐침을 매설하고 공간적인 분포를 가진 시계열 형태의 데이터를 10cm 깊이에서 수집하였다. 전이함수 모형을 사면에서의 토양수분 전이과정에 대응하고, 이를 실제 측정한 데이터에 의해서 분석한 결과와 비교해 보았다. 전이 함수 모형은 강우 데이터를 입력변수로 하고 토양수분 시계열 데이터를 반응 변수로 하여 전개하였고, 시계열 모형의 전개는 크게 자료전처리, 모형구조의 규명, 모수추정, 모형진단 등의 과정을 통해서 적합한 모형을 도출하였다. 산지 사면에서의 토양수분을 전이함수에 의하여 전개한 모형은 토양수분의 깊이별 변화와 지형적 분포 양상에 따라 특색을 나타내었다. 또한 2003년 가을과 2004년 봄의 전이함수 모형 추정을 통하여 계절별 특성이 나타남을 알 수 있는데, 봄의 토양수분의 분포는 가을의 토양수분에 비하여 큰 변동성과 고차항의 반응양상을 보인다. 본 연구는 전이함수를 이용한 토양수분의 시계열 분석이 사면에서의 토양수분 변동특성을 지형적, 계절적 특성과 연계하여 이해하고 특성화하는 과정의 적절한 도구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PDF

Soil Moisture Monitoring at a Hillslope located Sulmachun Watershed (설마천 소유역 내 사면에서의 토양수분의 시계열 관측연구)

  • Joo, Seung-Hyo;Kim, Sang-Hyun;Gwak, Yong-Seok;Lee, Jin-Won;Jung,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593-597
    • /
    • 2008
  • 유역에서의 강우사상에 따른 일련의 수문학적 과정의 규명과 수자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토양함수량을 산정하는데 토양수분의 시공간적 분포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연구유역은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설마리의 설마천 유역 내에 위치한 소유역이다. 대상유역의 정밀측량을 하여 수치고도모형(DEM)을 획득 하였다. 이 수치고도모형에 사용하여 수치지형분석을 통해 총 21지점을 선정하였다. 토양수분의 연직방향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각 지점의 10, 30, 60cm 깊이에 센서를 설치하여 토양수분을 측정하는 TDR (Time Domain Reflectometry)방식인 MiniTRASE를 이용하여 총 50채널을 통해 매 2시간 간격으로 토양수분의 변동을 관측하였다. 토양수분의 시공간적 분포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획득된 자료를 바탕으로 시계열의 공간 분석 및 통계분석을 수행하였다. 토양수분 시계열에 대한 공간분석은 토양수분의 사면에서의 공간적인 분포가 사면의 지형적인 형상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통계분석을 통해 평균치의 표준편차가 대상 기간 동안 일정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대상사면에서의 토양수분 분포 특성이 기후나 식생의 변동성에 영향을 받지 않고, 지형이나 토질 같은 정적인 인자에 주로 영향을 받는다는 가설을 뒷받침한다. 이 결과는 토양수분의 시공간적 분포양상의 파악과 국내 사면에서의 수문기작들을 규명하는데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oil Moisture Time Series Modeling for Daily Measured at a Steep Relief Measured in a Mountainous Hillside (산지사면에서 측정된 일단위 토양수분 시계열 자료의 모델링)

  • Jeong, Ju Yeon;Kim, Sang 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462-462
    • /
    • 2015
  • 이 논문에서는 시 공간적 토양수분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다년간 축적된 실측 토양수분 데이터를 이용하여 단변량 시계열 분석을 하였다. 지형에 따른 토양수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경기도 파주에 위치한 설마천 유역의 산지사면 중 한 단면을 선정하였으며, 깊이에 따른 변동성은 깊이 10cm와 30cm에서 측정한 토양수분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연도별 토양수분의 변화를 파악하고 토양수분을 예측하기 위해 2010-2013년의 토양수분 데이터를 일단위로 단변량 모델링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연도별 변화에 따른 경향성은 보이지 않았으며 대부분의 지점에서 ARMA(1, 1) 또는 ARMA(1, 0) 모형으로 모의되었다. 2시간 간격의 1-2개월 단기간 토양수분 데이터를 모의한 선행연구와 달리 본 연구에서는 낮은 차수의 모형을 보였다. 지형적 토양수분 거동을 살펴보면 상부사면에 위치하고 있는 지점에서는 모두 ARMA(1, 1)로 표현되지만 하부사면에 위치한 지점들은 연도나 심도에 따라 ARMA(1, 0)으로 모의된다. 단변량 모형의 정확도를 알아보기 위해 R2와 RMSE를 비교하였다. 10cm 깊이에서는 경향성을 보이지 않으나, 30cm 깊이에서는 사면하부로 갈수록 R2는 작아지고 RMSE는 커져, 하부사면에서의 모델링이 상부사면에 비해 정확도가 낮음을 보였다. 또한 2012년 토양수분 자료를 이용하여 2013년 토양수분을 예측하기 위해 2012년 매개변수와 2013년 전일 데이터를 이용하여 예측하고자 하는 일단위 토양수분을 구하였다. 그 결과 $R^2=0.646-0.807$, RMSE=1.758-4.802의 정확도를 나타냈다.

  • PDF

Effect of Fiber Cross Sectional Shape on the Sensibility of Woven Fabrics -Thermal property, Moisture Transport property- (섬유단면 형상이 직물 감성에 미치는 영향 - 열적특성 및 수분전달 특성-)

  • 심현주;홍경아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2003.04a
    • /
    • pp.398-399
    • /
    • 2003
  • 의복 쾌적감은 착용자가 환경변화에 대하여 쾌적한 감정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직물의 쾌적성은 접촉감 뿐만 아니라 공기, 열, 수분을 전달하는 직물의 물리적 특성과 관계가 있는데 특별히 직물의 표면특성과 관련하여 변화하는 쾌적인자는 온냉감과 열, 수분 및 공기전달성이다. 따라서 직물의 표면 형태 및 두께에 따라 열, 수분 및 공기전달 특성은 달라질 뿐만 아니라 인체에 접촉하였을 때 접촉면적이 달라지므로 촉감에 큰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의복의 쾌적성 향상의 중요한 인자로 대표적인 직물의 역학 특성과 열 및 수분전달특성을 직물 구성사의 단면형상을 달리하였을 때의 그 상관 관계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중략)

  • PDF

Heat of Combustion Experiment Based on the Ratio of Moisture Content of Infected and Non-Infected Bursaphelenchus Xylophilus (재선충 감염 소나무와 비 감염 소나무의 수분함유율에 따른 연소열 실험)

  • Kwon, Hyuk;Kong, Ha-Sung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7 no.2
    • /
    • pp.443-451
    • /
    • 2021
  •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thermal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ratio of moisture content of infected and non-infected Bursaphelenchus Xylophilus by heat of combustion experiment. The experiment results are as follows. The analysisresult of the ratio of water content shows that 19.92% on average for infected Bursaphelenchus Xylophilus and 26.27% for non-infected which decreases water content as the size of conduction, convection, and radiant heat increases in case of fire. As the vaporization of the moisture content accelerates, the average moisture content is reached, and the result is contrary to the thermal characteristics of the wood that the moisture content is not ignited by a heat source when the moisture content is under 15%. The combustion heat analysis result showed that infected and non-infected Bursaphelenchus Xylophilus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bustion heat at about 3%. However, it shows that combustion heat is higher than other species. In conclusion, decreasing in moisture content based on the increasing conduction, convection, and radiant heat is one of the direct causes of ignition, and the lower the moisture content, the faster the fire spreads.

Thermodynamic cheracteristics of micro algae for energy conversion (조류 부산물의 에너지 전환을 위한 열역학 특성 고찰)

  • Lee, See-Hoon;Seo, Myung-Won;Kim, Sang-Do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6a
    • /
    • pp.447-450
    • /
    • 2009
  • 2세대 바이오연료 생산에 적용되는 미세 조류의 열화학적 전환 특성을 열천칭 반응기를 이용하여 고찰하였다. 반응 온도 (500 - $800^{\circ}C$)와 수분 함량 (0-60wt.%)을 변수로 하였으며 미세조류로서 가장 널리 이용되는 클로렐라를 이용하였다. 대표적인 열화학적 전환 반응인 열분해, 부분 산화 (5%), 연소 반응을 고찰하였으며 실험 영역에서 반응온도 및 산소의 분압이 증가함에 따라 탄소 전환율이 증가하였으며 Shrinking-core model을 사용하여 반응 차수를 구하였다. 가스화 영역인 부분 산화 (5%) 조건에서의 activation energy와 frequency factor 값은 각각 19.60 kJ/mol, $2.47{\times}10-1\;s^{-1}$ 이었으며 산소 분압에 의한 반응 차수는 0.209 임을 확인하였다. 수분 함량에 따른 클로렐라의 반응 특성을 살펴보면, 수분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탄소 전환율과 반응성이 감소하는 경향이 발견되었다. 열분해의 경우, 건조 시료에 비하여 수분 함량이 늘어남에 따라 탄소 전환율과 반응성이 급격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부분 산화(5%) 및 연소의 경우에는 건조 시료, 수분 함량 20, 40% 시료의 탄소 전환율과 반응성은 거의 일정하였다. 그러나 수분 함량이 60%가 되면서 탄소 전환율 및 반응성이 급격히 떨어졌다.

  • PDF

Effects of mass flow of water in the stem of plant by meteorological elements in greenhouse. - Tomato, Eggplant, Kale - (온실 환경인자가 식물체내 수분이동에 미치는 영향 - 토마토, 가지, 케일을 중심으로 -)

  • 전종길;정성림;김경원;오병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1999.11a
    • /
    • pp.63-66
    • /
    • 1999
  • 최근 식물체내의 수분상태나 흡수되는 물의 량을 측정 또는 제어하기 위하여 레이저 경류계측센서나 열수지경류센서 등이 이용되고 있으며, 특히 열수지경류센서는 줄기 속을 흐르는 물의 량을 직접 측정하므로 생육단계에 따른 수분흡수량은 물론 하루중의 시간대별로 수분소비량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식물의 생체정보를 센싱하는 것은 식물체에 적합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매우 중요한 것이다. (중략)

  • PDF

Evaluation of Applicability of Circuit-analog Radar Absorbing Structures for High Temperature in 350℃ and Hot-wet Environment (고온용 Circuit-analog 전파흡수구조의 350℃ 및 열 수분 환경에서의 적용성 평가)

  • Min-Su Jang;Ho-Beom Kim;Heon-Suk Hong
    • Composites Research
    • /
    • v.36 no.5
    • /
    • pp.335-341
    • /
    • 2023
  • We proposed a high-temperature circuit-analog radar absorbing structures (CA-RAS), and evaluated radar absorption performance and tensile properties in 350℃ and a hot-wet environment. The CA-RAS was implemented with a glass/cyanate ester composites and a square resistive pattern layer, and reflection loss was measured by 350℃ and after exposure of hot-wet condition using free space measurement. And the tensile strength at 350℃ and after exposure of hot-wet condition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ASTM D638. The proposed CA-RAS showed a 4 GHz of -dB bandwidth and -20 dB of a peak value at 350℃. In addition, there was no deterioration in absorption performance after exposure to a hot-wet condition. The tensile strength value of more than 95% compared to the strength of the glass/cyanate ester composite was confirmed at 350℃ and after exposure of hot-wet condition. Through this, the applicability of CA-RAS proposed in this study was confirmed as a load bearing structure for stealth weapon exposed to high temperature and hot-wet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