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열섬

검색결과 278건 처리시간 0.027초

형태기반코드를 기반으로 한 주거지 열환경 평가 (Evaluation of Thermal Environment in the Detached Housing Area Based on the Form-Based Codes)

  • 류지원;정응호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5권5호
    • /
    • pp.43-50
    • /
    • 2014
  • This study assesses thermal environment of detached housing area by classifying buildings types with codes based on spatial characteristics and forms of the detached housing area and applying heat island alleviation measures, especially focused on FBCs (Form-Based Codes). We analyzed shapes and materials of outdoor space with 3D-CAD, which can affect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case studies, focusing on heat island alleviation measures, and performed space design by applying relevant climate factors to a simulation. As to the 3D surface temperature and HIP distribution, low-temperature distribution was shown in the case studies when we applied heat island alleviation measures. FBCs (Form- Based Codes) is being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creating new urban environment.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pays attention to the effects of surface temperatures on accumulation of sensible heat and reviews heat island alleviation measures with outdoor space shapes/materials in order to lower surface temperatures, aiming at improved pleasantness of the detached housing area.

TLB 구조에 따른 3차원 멀티코어 프로세서의 성능, 온도 분석 (Analysis on the Performance and Temperature of 3D Multi-core Processors according to TLB Architecture)

  • 손동오;최홍준;김철홍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1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8 No.1(B)
    • /
    • pp.5-8
    • /
    • 2011
  • 3차원 멀티코어 프로세서는 기존의 멀티코어 프로세서에서 문제가 되던 연결망 지연시간과 전력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프로세서 설계기술이다. 하지만, 전력밀도의 증가로 인해 발생하는 열섬현상은 3차원 멀티코어 프로세서의 새로운 문제점으로 두드러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동적 온도 관리 기법이 사용되지만, 동적 온도 관리 기법을 적용하면 시스템에 성능 저하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3차원 멀티코어 프로세서에서 문제가 되는 열섬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고온의 유닛을 대상으로 동적 온도 관리 기법을 적용하고자 한다. 실험대상으로는 시스템 성능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높은 접근 때문에 고온이 발생하는 TLB 유닛을 사용하고자 한다. 특히, 시스템의 성능 저하를 줄이기 위해서 기존의 시스템보다 낮은 성능을 보이는 마이크로 TLB 구조를 적용해 보고자 한다. 성능이 낮은 구조의 경우 일반적으로 더 낮은 온도 분포를 보이며 동적 온도 관리 기법에 영향을 덜 받기 때문에 동적 온도 관리 기법만 적용한 구조보다 더 낮은 성능 저하를 보일 수 있다. 실험결과 동적 온도 관리 기법을 적용한 경우 기존의 시스템에 비해 23.4%의 성능 저하가 발생하고 마이크로 TLB 구조를 적용한 경우 27.1%의 성능 저하가 발생함을 알 수 있다.

바텀애시 및 메타카올린을 사용(使用)한 보수성(保水性)콘크리트의 특성(特性) (Characteristic of retentive concrete using bottom ash and metakaolin)

  • 배주성;정회갑;김남욱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0권6호
    • /
    • pp.19-27
    • /
    • 2011
  • 본 연구는 빌딩 및 포장도로 등의 증가에 따라 심화되고 있는 도심부의 열섬현상을 감소할 수 있는 보수성 콘크리트 포장을 도출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보수 효과가 있는 산업부산물인 바텀애시를 잔골재의 대체재로 활용하였다. 한편 바텀애시 대체로 인한 역학성능 저하를 개선하기 위하여 메타카올린을 첨가한 시험체를 제작하여 다양한 시험을 통하여 내구적이며 환경적인 보수성 콘크리트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디스크 브레이크에서 접촉 마찰 진동이 열섬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f Frictional Contact Vibration Influence on Hot Spot in Automotive Disk Brake)

  • 조후준;김명구;조종두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154-161
    • /
    • 2007
  • Hot spot phenomenon that occurs, during judder vibration, is locally concentrated heat due to friction between brake disk and pad.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reason behind hot spot phenomenon, for reduction of judder vibration. In this experimental study, experiments were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rotation speed of brake disk, pressure of master cylinder and pad length for achieving different aspects of hot spot phenomenon. Temperature distribution of hot spot was obtained by using the infrared camera. As the hot spot occurred, vibration was measured and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Finite element analysis of thermal deformation of disk was performed by using temperature distribution that was achieved by experimental results. And mode shapes of disk was analyzed by finite element analysis and compared with experimental results. It was observed that the excitation frequency band of frictional contact and frictional force mainly affects the hot spot phenomenon.

COVID-19 2차 확산기가 도시열섬저감 사업의 지불의 사금액에 미치는 영향 -장위동·서교동의 옥상녹화 사업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the Secondary Spread of COVID-19 on the Willingness to Pay for the Urban Heat Island Reduction Project)

  • 주진호;이현경;김홍배
    • 지역연구
    • /
    • 제38권3호
    • /
    • pp.41-49
    • /
    • 2022
  • 본 논문의 목적은 감염병 조건이 도시열섬현상 저감을 위해 시행한 옥상녹화 사업에 대한 서울시민들의 지불의사금액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감염병 조건과 비감염병 조건 하에서 옥상녹화 사업에 대한 지불의사액을 조건부가치추정법을 통해 산정 및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감염병 조건에 따른 지불의사액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게 나타났고, 감염병 조건의 지불의사액이 비감염병조건보다 낮음을 확인하였다.

Google Earth Engine 기반 도시화에 따른 식생 생장기간 변화 (Analyzing the impact of urbanization on vegetation growing season length using Google Earth Engine)

  • 손소영;김지현;김연주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2년도 학술발표회
    • /
    • pp.198-198
    • /
    • 2022
  • 최근 도시화에 따른 토지 피복 변화와 열섬현상 등의 원인으로 상승하는 도시의 기온이 식물 계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들이 다수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수도권인 서울과 경기도 지역을 대상으로 도시 내 열섬현상으로 인한 기온 상승과 도시 지역 내 식생 생장기간 변화의 관계성을 분석하였다. 식물계절 모니터링에 사용한 개량식생지수(Enhanced Vegetation Index, EVI)는 Google Earth Engine (GEE)에서 제공하는 30 m 해상도의 2000-2021년 NASA-USGS Landsat 위성(TM5, ETM+7, OLI8)의 지표면 반사율(surface reflectance, SR) 자료에서 도출하여 생장기간 산정에 사용하였다. 또한 PRISM (Parameter-elevation Regressions on Independent Slopes Model)을 각 기상관측지점의 일별 지상 기온 자료에 적용하여 30 m 해상도로 생성한 격자형 지표면 온도의 공간적 패턴을 분석하였다. 연구 지역 내 도시화 정도(magnitude)를 도심으로부터의 거리와 환경부 토지피복도 및 인구 밀도를 종합하여 특정하였고, 최종적으로 기후변화 및 도시화 정도와 생장기간 변화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비선형 로지스틱 회귀를 사용하여 EVI 데이터를 종합하여 분석한 결과, 수도권 지역에서 전반적으로 식물계절 개엽일(Start of Season)은 앞당겨지며 낙엽일(End of Season, EOS)은 늦춰져 생장기간(Length of Growing Season, LOS)이 길어짐을 발견하였다.

  • PDF

수도권 열섬 중심으로부터 교외까지의 거리 및 국지적 지표특성이 야간 기온분포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the Local Surface Characteristics and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Heat Island to Suburban Areas on the Night Temperature Distribution over the Seoul Metropolitan Area)

  • 이채연;김규랑;안승만;최영진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5-49
    • /
    • 2014
  • 서울과 주변을 포함하는 수도권에서 발생하는 열섬현상의 특성들을 정량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GIS 및 AWS 관측 자료들을 이용하여 여름과 겨울 야간 기온분포의 공간 경향 그래프를 작성하였다. 또한 기온 변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 31개 AWS 지점들의 야간 평균기온과의 상관성을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야간 평균기온(2004년~2011년) 최고지점과 최저지점의 차이는 여름 $4.5^{\circ}C$, 겨울 $7.1^{\circ}C$ 임을 확인하였다. AWS 지점들 주변의 국지적 지표특성과 기온과의 상관성 분석 결과, 지점별 야간 평균 기온과 반경 1km 이내의 인공피복의 상관계수가 여름(0.84)과 겨울(0.78) 모두에서 높게 나타나 지표면 피복이 중규모적인 도시 열환경 관리에 있어 다른 요인들보다 더 큰 영향을 주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한편 수도권 야간기온에 대한 회귀모형을 변수선택법을 이용하여 개발한 결과 1km 규모에서 보다 200m 규모에서 상세한 지표특성 변수가 선택됨을 알 수 있었는데, 규모에 따른 모형의 설명력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200m 정도의 상세한 지표특성 자료를 이용하는 기후분석 모델의 구현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으며, 모델의 설명력은 1km 수준으로 분석하였을 때와 비슷한 수준인 57%(겨울)~72%(여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