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열방성액정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19초

열방성 액정 고분자와 폴리페닐렌 설파이드와의 블렌드에 관한 물성 (Properties of Blends of a Thermotropic Liquid Crystalline Polymer with Polyphenylene Sulfide)

  • 김연희
    • 유변학
    • /
    • 제6권2호
    • /
    • pp.96-103
    • /
    • 1994
  • 열방성 액정 고분자인 백트라와 폴리페닐렌 설파이드와의 블렌드를 주사전자현미경, 시차주사 열분석기, 그리고 모세관 레오미터를 이용하여 전 조성 범위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블렌드의 결정화와 용융에 관한연구결과로부터 두 고분자 사이에는 상호작용이 없음을 알수 있다. 이는 두 개의 상이 완전히 분리되기 때문이다. 폴리페닐렌설파이드를 많이 포함하고 있는 블렌드의 점도는 상당히 감소되었으며 이는 높은 전단속도에서 열방성 액정 고분자가 섬유구조를 갖기 때문이다. 열방성 액정고분자의 섬유구조는 열방성 액정 고분자가 섬유구 조를 갖기 때문이다. 열방성 액정 고분자의 섬유구조는 열방성 액정 고분자와 등방성상과의 점도비와 전단속도에 의해 영향을 받음을 알수 있다.

  • PDF

Poly과 열방성액정 고분자 블렌드의 열적 성질에관한연구 (Thermal Properties of blends of Poly and a Thermotropic Liquid Crystalline Polymer)

  • 김명섭
    • 유변학
    • /
    • 제7권3호
    • /
    • pp.250-260
    • /
    • 1995
  • 스크류 압출기로 제조한 poly(ether ether ketone) (PEEK)과 p-hydroxy benzoic acid/poly(ethylene tere-phthalate) (HBA/PET)의 공중합체인 열방성 액정 고분자의 블렌드 를 전조성에 대하여시차 주사 열분석기 (DSC)와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이용하여 연구하 였다. 측정된 유리전이 온도와 유리전이 온도에서의 열용량 증가분으로부터 PEEK가 액정고 분자에 녹아들어가는 양보다 액정 고분자가 PEEK에 녹아들어가는 양이 더 많음을 알수 있 었다. 고분자-고분자상호작용계수($\chi$12)값은 35$0^{\circ}C$에서 0.069$\pm$0.004이었고, 짝상에서 액정고 분자의 degree of disorder는 PEEK의 질량분율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블렌드에서 PEEK의 결정화에 액정 고분자는 거의 영향을 주지않았고 액정 고분자의 결정화 역시 PE 따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모폴로지연구에서는 액정 고분자를 PEEK에 10%첨가시에 PEEK 의 메트릭스상에서 액정 고분자가 신장된 타원형을 형성하였으며 액정 고분자를 20% 첨가 시에는 액정 고분자가 섬유상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 PDF

엔지니어링 고분자와 열방성 액정고분자 블렌드의 상용성에 관한연구 (Compatibility Studies of Blends of Engineering polymers and Thermotropic Liquid Crystalline Polymers)

  • 전용성
    • 유변학
    • /
    • 제9권2호
    • /
    • pp.53-59
    • /
    • 1997
  • 열방성 액정고분자(LCP)와 polycarbonate(PC) poly(ether imide) (PEI) poly(PEEK), polysulfone(PSF), 그리고 polyarylsulfone(PAS)과의 블렌드에 대한 상용성을 연구하였다. 제조된 블렌드의 상거동에서 액정고분자가 PC-, PEI-, PEEK-, PSF-, 그리고 PAS-rich 상 에 녹아 들어가는 양이 PC, PEI, PEEK, PSF, 그리고 PAS가 액정 고분자 -rich상에 녹아들 어가는 양보다 많음을 알수 있었다. 측정된 블렌드의 유리전이온도 결과로부터 PC, PEI, PEEK와 액정고분자 사이의 상용성이 PSF, PAS와 액정 고분자 사이의 상용성에 비하여 더 좋음을 알수 있었다. 액정 고분자의 이방성을 고려하여 고분자-고분자 상호작용계수($\chi$12)를 결정하였으며, PC, PEI, PEEK, PSF, 그리고 PAS를 포함한 액정 고분자 블렌드에서 $\chi$12는 0.078-0.183으로 나타났다.

  • PDF

폴리프로필렌/열방성 액정 고분자 블렌드의 상용화에 관한 연구 (Study on a compatibilization of polypropylene/thermotropic liquid crystalline polymer blends)

  • 손영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1215-1219
    • /
    • 2007
  • 이 논문에서는 폴리프로필렌/열방성 액정고분자 블렌드에 관한 연구 결과를 나타냈다. 기존의 연구에서 주로 쓰인 액정고분자 (Thermotropic Liquid Crystalline Polymer, TLCP)는 용융점이 대부분 270o0 이상으로 가공은 적어도 300oC 이상에서 가능하기 때문에, PP와의 블렌드 시 PP의 열분해를 피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원하는 정도의 물성을 얻기 위해서는 과량의 TLCP를 첨가하여야 한다. 이 연구에서 고온용 TLCP 대신 융점이 220oC 정도 되는 새로운 TLCP를 사용하여 블렌드를 제조하였고, 그 특성을 관찰하였다. 연구 결과 기존 PP/TLCP 블렌드와 비교해 동등 이상의 물성을 보임을 관찰할 수 있었고, 이로서 새로운 저온용 TLCP가 PP의 강화제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열방성 액정 폴리에스터를 함유한 PET의 유변학적 특성 연구 (Fheological Properties of PET Containing Thermotropic Polyester)

  • 김윤수
    • 유변학
    • /
    • 제3권1호
    • /
    • pp.68-75
    • /
    • 1991
  • 상업적으로 많이 이용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에 액정중합체(LCP)인 열방성 폴리에스터를 첨가하여 유변학적 특성을 조사하고 전단속도와 혼합비에 따른 LCP domain의 형태 변화를 고찰하였다. 모체고분자 내 구형과 타원형을 이루는 LCP domain들 은 신장력에 의해 피브릴 구조의 변형되고 이 피브릴은 흐름방향으로 배향되어 용융체에 윤 활제와 같은 역할을 함으로써 용융점도의 감소를 보이는데 특히 높은 전단속도 영역에서 LCP가 30wt%까지 첨가될수록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주사식 현미경(SEM)의 관찰로부터 LCP domain의 피브릴구조를 확인할 수 있었고 또한 LCP domain의 형태 변화가 용융점도 가 감소에 직접 관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열방성 액정고분자와 열가소성 고분자 블렌등의 유변학적/형구학적 연구 (A Rheological/Morphological Study on the Blends of Thermotropic Liquid Crystalline Polymers and Thermoplastic Polymers)

  • 정병준
    • 유변학
    • /
    • 제8권2호
    • /
    • pp.92-102
    • /
    • 1996
  • 두 종류의 열방성 액정고분자와 세종류의 엔지니어링 고분자와의 블렌드들에 대해 유변학적/형구학적 연구를 한 결과 블렌드의 유동거동과 물성이현저히 다른 두 그룹으로 나 뉘어짐을 발견하였다. 즉 연속상의 조업온도가 분산상의 전이온도보다 높은 그룹A에 속하 는 블렌드의 전단점도/신장점도는 액정고분자를 첨가할수록 첨가할수록 감소하고 블렌드의 신장점도는 연속상의 그것처럼 신장변형률속도가 커질수록 증가하였다. 또한 분산상의 점도 가 연속상의 그것보다 작아서 분산상이 미세섬유구조의 형태로 존재하였다. 이와 대조적으 로 연속상의 조업온도가 액정고분자의 전이온도보다 낮은 그룹 B에 속하는 블렌드는 반대 의 거동을 보였고 분산상의 미세섬유구조가 존재하지 않았다. 그러나 연신변형이 주가 되는 방사공정을 거치면 그룹A와 B블렌드 공히 분산상이 비슷한 미세섬유구조의 형태로 존재하 고 기계적 성질도 크게 향상되는 결과를 보였다. 이는 블렌드내의 신장유동이 분산상의 섬 유구조형상에 결정적 역할을 하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 PDF

유기화 점토를 이용한 열방성 액정 폴리에스테르 나노복합재료의 합성과 특성 연구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Organo-Clay Based Thermotropic Liquid Crystalline Polyester Nanocomposites)

  • 서보수;장진해
    • 폴리머
    • /
    • 제25권6호
    • /
    • pp.876-883
    • /
    • 2001
  • 에톡시히드로퀴논과 브로모 테레프탈산을 사용하여 용액 중합법으로 네마틱 액정 상을 가지는 열방성 액정 고분자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헥사데실-몬모릴로나이트 (C$_{16}$-MMT)를 액정고분자의 용융 전이온도 이상에서 매트릭스 고분자에 대해 여러 wt%로 조성을 변화시키면서 나노복합재료를 만들었다. $C_{16}$-MMT가 액정 고분자에 대해 2 wt%만 첨가되어도 열적 성질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이후로 $C_{16}$-MMT가 증가함에 따라 일정하게 증가하였다. 유기화 점토가 2에서 6 wt%까지 증가되어도 액정 상은 파괴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되었다. X-ray 회절도의 결과, 첨가된 $C_{16}$-MMT의 일부는 TLCP에 잘 분산되었으나, 일부는 뭉쳐진 형태로 존재하였으며 첨가된 $C_{16}$-MMT의 상이 증가할수록 뭉침이 증가되었다. 합성된 나노복합재료의 열적 성질과 몰폴로지는 시차주사 열분석기(DSC), 열중량 분석기(TGA), 편광 현미경, 그리고 전자 현미경(SEM, TEM) 등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다.

  • PDF

액정 폴리에스테르의 합성 및 light intensity를 통한 액정성의 확인

  • 최선호;김환철;박병기;김학용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1998년도 가을 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87-89
    • /
    • 1998
  • 액정 고분자는 고분자가 용융 또는 용액상태에서 결정성을 보이는 고분자를 말하며, 그 중에서도 열방성 액정 고분자(thermotropic liquid crystalline polymer)는 열에 의하여 액정성을 나타내는 고분자를 말한다. 이 액정 고분자는 용융점(T$_{m}$ )이상에서도 결정이 존재하여 액상의 고분자와 결정을 형성하고 있는 고분자가 상존하는 열적 성질을 가지는 것이 큰 특징이며, 내열성과 기계적 강도 등의 우수한 물리적 성질을 나타낸다. (중략)

  • PDF

열방성 액정고분자를 포함하는 고분자 혼합물의 혼련특성 (Mixing Characteristics of the Blends Containing Thermotropic Liquid Crystalline Polymer)

  • 김영석;이재욱;이석현
    • 유변학
    • /
    • 제2권2호
    • /
    • pp.56-65
    • /
    • 1990
  • 열방성 액정고분자와 폴리카보네이트를 대상 수지로 하여 용융혼합기로 액정고분자 의 함량, 혼합속도 및 온도등의 변환에 따른 훈련 특성을 측정하고 고분자 혼합물의 혼련조 건과 유변학적 특성 모폴로지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혼련 토크는 100rpm의 혼합속도 에서 극소값을 보이며 혼합기 내의 전단속도가 낮기 때문에 혼력에의해서는 LCP가 섬유상 으로 형성되지 못하고 구형의 입자로 존재함을 알수 있었다. 혼합물의 점도는 시험된 전단 속도 영역에서 순수한 고분자보다 현저히 낮으며 5wt%의 소량 첨가로도 5배의 점도 감소 효과를 보이고 LCP함량이 약 30wt%일 경우 점도 및 혼합에너지가 최소로 되었다. Capillary 레오미터의 실험결과 LCP/PC의 점도비가 1보다 작거나 같튼 전단장하에서 LCP 는 섬유상을 형성하였으며 높은 점도비의 경우 LCP의 변형이 어려워 구형의 입자로 존재하 였다. 또한 혼합물의 PC Tg 이동은 에스터르 교환 반응에 의한 부분적인 혼화성의 증가에 기인함을 알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