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열물질정산

Search Result 3, Processing Time 0.018 seconds

Process Modeling of the Coal-firing Power Plant as a Testbed for the Improvement of the System and Equipment (화력발전 시스템 및 설비 개선 실증을 위한 열물질정산 공정모델 개발)

  • Ahn, Hyungjun;Choi, Seukcheun;Lee, Youngjae;Kim, Beom S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mbustion
    • /
    • v.23 no.1
    • /
    • pp.44-54
    • /
    • 2018
  • Heat and mass balance process modeling has been conducted for a coal-firing power plant to be used as a testbed facility for development of various plant systems and equipment. As the material and design of the boiler tube bundle and fuel conversion to the biomass have become major concerns, the process modeling is required to incorporate those features in its calculation. The simulation cases for two different generation load show the satisfying results compared to the operational data from the actual system. Based on the established process conditions, the hypothetical case using wood pellet has also been simulated. Additional calculations for the tube bundle has been conducted regarding the changes in the tube material and design.

Engineering Status of Gasification Plant in 300MW IGCC and Performance Prediction of Gasification Block (300MW급 IGCC 가스화 플랜트의 엔지니어링 현황 및 가스화 블록 성능예측)

  • Kim, Youseok;Kim, Bongkeun;Paek, Minsu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11a
    • /
    • pp.130.1-130.1
    • /
    • 2010
  • 미국과 유럽에서는 이미 10여 년 전부터 250MW급 이상의 대용량 석탄IGCC 플랜트를 상업운전 하고 있으며, 일본과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에서도 대용량 플랜트를 시운전하고 있거나 건설 중에 있다. 한국에서는 제4차 전력수급계획에 의거 태안화력 부지 내에 300MW급 IGCC 플랜트 건설을 추진 중이며, 두산중공업은 '10년 상반기에 IGCC 가스화 플랜트에 대한 FEED 설계 (Front-Eng Engineering Design)를 완료하였다. 그 과정 중 설계조건에 의한 기본 엔지니어링 사항과 석탄 가스화 플랜트에 대한 성능예측 결과를 본 연구에서 소개한다. 가스화 플랜트의 엔지니어링은 가스화 블록과 가스정제 블록으로 구분하여 수행하였다. Process Data를 이용하여 PFD Development, P&ID Generation, Equipment Specification 개발, HAZOP 수행, Architecture Engineering 등의 순으로 FEED 설계를 진행하였다. BOD (Basis of Design)를 기준으로 운전조건별 Heat & Mass Balance와 Process Flow를 재검토하고 각 기기별 운전개념을 반영하여 P&ID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배관, 전기 및 제어에 대한 각종 Diagram 개발과 HSE (Health, Safety and Environment) 관련 설계를 수행하였다. IGCC 1호기의 엔지니어링 수행과 함께 Next 호기 자체설계 역량 확보를 위해 두산중공업은 'DIGITs'로 명명된 개념기본설계 Tool을 개발하고 있다. DIGITs는 공정모델링, 단위기기 개념설계, 공정구성 (Process Configuration) 및 종합 Database Package 형태로 구성된다. DIGITs에 의한 계산 결과 공정사 Process Data 기준시 가스화 블록 출구에서 Syngas HHV와 Syngas 현열은 각각 약 $636MW_{th}$와 약 $18MW_{th}$로, Plant 설계조건 $630MW_{th}$를 만족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향후 DIGITs는 가스정제 블록 및 주변 BOP 설비 등과 연계한 종합 개념기본설계 Tool로써 개발 진행 중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