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열매체

Search Result 116,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다공 켑슐 열매체의 구조응력해석

  • 강영환;주기남;이영신;최명환;신도섭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8.05b
    • /
    • pp.377-382
    • /
    • 1998
  • 재료 조사시험용 계장캡슐은 하나로(Hi-Flux Advanced Neutron Application Reactor : HANARO) 를 이용하는 조사시설중의 하나이다. 캡슐 내부에 있는 열매체는 다공 원통구조물로 고려되며, 다양한 형태와 크기를 갖는 조사시험용 시편이 각 단에 삽입된다. 조사시험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조건을 효율적으로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캡슐 열매체에 대한 여러 역학적인 특성을 파악하여 설계 및 제작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계장 캡슐 설계의 초기단계로서 다양한 기하학적인 설계변수를 갖는 다공 캡슐 열매체의 구조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조사 분위기인 하중상태에서의 다공 구조물에 대한 구조응력해석을 수행하여 다공 매개변수에 따른 응력 및 변위 등을 고찰하였고, 구조물의 건전성을 평가하였다.

  • PDF

Structural Analysis of Synthetic Heat Transfer Fluid Boiler (열매체보일러의 구조해석)

  • Lee, Jong-Su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3 no.8
    • /
    • pp.3352-3357
    • /
    • 2012
  • In this paper, 3-dimensional designing program CATIA was used to design in order to investigate causes of a fire in a boiler using synthetic heat transfer fluid. And also structural analysis was conducted to the boiler by using 3-dimensional finite element code, ANSYS. Maximum temperature, maximum stress, and maximum strain were obtained at the normal condition and after fire.

기능성 열유체의 열에너지 수송성

  • 박기원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30 no.8
    • /
    • pp.45-53
    • /
    • 2001
  • 열적 성질을 가지는 각종 용질을 물을 주체로 한 열매체 등에 혼합 분산시킴으로써 그 열매체인 유체의 성질을 바꾸어 다원적 기능성을 가지도록 한 기능성 열유체의 열에너지 수송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PDF

Thermal Efficiency Analysis of the Conical Solar Concentrator According to the Black Coating of Absorber (흡수기 도색 여부에 따른 원추형 집광기 집열효율 분석)

  • Hwang, Seong Geun;Na, Mun Soo;Woo, Sung Jae;Lee, Joo Hee;Lee, Gwi 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125-125
    • /
    • 2017
  • 본 연구에서 원추형 태양열 집광기의 흡수관 표면의 흑색 도색 여부에 따른 효율분석을 수행하였다. 원추형 집광기 시스템은 열 손실 최소화 및 집광비가 우수한 $45^{\circ}$의 원추각을 갖는 원추형 집광기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원추형 태양열 집광시스템은 열매체 축열을 위한 온도센서가 내장된 축열조와 태양에너지를 집열시키는 원추형 집광기, 유량측정을 위한 유량계, 열매체의 강제순환을 위한 펌프로 구성되어있다. 또한 지속적인 태양추적을 위해 2축 태양 추적 장치를 설치하였다. 흡수관은 원추형 집광기의 중심부에 설비되었으며, 열매체의 순환을 위해 이중 열교환기 구조로 제작되었다. 흡수관의 길이는 열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집광기의 높이와 동일하게 설계하였다. 원추형 집광시스템의 작동유체인 물은 펌프에 의해 흡수관과 축열조를 강제순환 하게되고, 용량이 70L인 축열조에 흡수관으로부터 흡수된 태양 복사열이 저장된다. 원추형 집광시스템의 성능실험은 청명한 날 유량 2L/min, 4L/min, 6L/min에 대해 수행되었으며, 집열효율을 계산하여 비교 및 분석하였다. 흑색으로 도색된 흡수기를 부착한 원추형 집광시스템의 집열효율은 82.25%로 나타났으며, 무 도색 흡수관을 갖는 원추형 집광시스템은 73.26%의 집열효율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흡수관 표면의 흑색 도색이 원추형 집광시스템의 집열효율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Poly(ethylene-2,6-naphthalene dicarboxylate)의 결정구조형성 및 물성 - 연신온도와 열매체의 효과에 따른 연신성 -

  • 강영아;김경효;조현혹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1998.10a
    • /
    • pp.215-218
    • /
    • 1998
  • Poly(ethylene-2,6-naphthalene dicarboxylate)(PEN)의 분자구조는 주사슬내에 PET의 벤젠환 자리에 나프탈렌환으로 치환된 구조로서, 분자자체의 특성상 강직성을 가지며 PET에 비하여 고탄성률과 고융점을 가짐으로써 산업용 재료로써 주목되고 있음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중략)

  • PDF

조경수에 발생되는 병해-대추나무에 잎이 총생되는 빗자루병

  • 이상현
    • Landscaping Tree
    • /
    • s.105
    • /
    • pp.18-19
    • /
    • 2008
  • 대추나무 빗자루병은 가지와 잎이 위쪽으로 무성하게 총생하여 빗자루 모양이 되는 증상을 말하며, 어린나무는 2-3년 내에 말라죽는다. 또한 성목도 빗자루병에 감염되면 열매가 잘 맺지 않고, 수년이 경과한 후 고사한다. 대추나무 빗자루병에 감염되면 꽃눈이 잎으로 변하여 열매가 열리지 않으며, 병원체는 조직 속에만 있기 때문에 외부 표징이 없는 나무 전신 병해이다.

  • PDF

직접가열방식 히트셋팅기를 통한 에너지절약 사례

  • 홍의선;박종현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29 no.4
    • /
    • pp.26-29
    • /
    • 2000
  • 직물의 염색공정 중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는 건조공정에 있어 기존의 열매체를 이용한 간접가열방식을 가스버너를 이용한 직접가열방식으로 전환하여 획기적으로 에너지를 절감한 사례를 소개 하고자한다.

  • PDF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Model for Solar Thermal Storage Tanks with Helical Jacket Heater and Upper Spiral Coil Heater (상부 코일히터를 갖춘 나선재킷형 태양열 축열조의 성능예측을 위한 CFD 해석모델 개발 및 검증)

  • Baek, Seung Man;Zhong, Yiming;Nam, Jin Hyun;Chung, Jae Dong;Hong, Hiki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37 no.4
    • /
    • pp.331-341
    • /
    • 2013
  • In a solar domestic hot water (SDHW) system, solar energy is collected using collector panels, transferred to a circulating heat transfer fluid (brine), and eventually stored in a thermal storage tank (TST) as hot water. In this study, a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model was developed to predict the solar thermal energy storage in a hybrid-type TST equipped with a helical jacket heater (mantle heat exchanger) and an immersed spiral coil heater. The helical jacket heater, which is the brine flow path attached to the side wall of a TST, has advantages including simple system design, low brine flow rate, and enhanced thermal stratification. In addition, the spiral coil heater further enhances the thermal performance and thermal stratification of the TST. The developed model was validated by the good agreement between the CFD results and the experimental results performed with the hybrid-type TST in SDHW sett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