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열대류

Search Result 97, Processing Time 0.04 seconds

외부침수 냉각방식 원자로 압력용기의 구조적 건전성에 미치는 외부침수 열대류계수의 영향에 대한 연구

  • 김종성;전태은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8.05a
    • /
    • pp.745-750
    • /
    • 1998
  • 원자로 압력용기 대형 냉각재상실사고에 기인하는 노심용융사고시 노심용융물과 내벽사이의 간극 및 외벽의 열대류계수의 건전성에 대한 영향을 고찰하기 위하여 건전성평가를 수행하였다. 먼저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간극 고려 여부와 외벽의 열대류계수 변화에 따른 원자로 압력용기의 온도 및 응력 분포를 결정하였으며, 결정된 온도 및 응력 분포, Larson-Miller 곡선과 손상 법칙을 이용하여 원자로 압력용기의 손상 정도와 파손 시간을 계산하였다.

  • PDF

Methods for Pest Control of Tropical Plants in the Greenhouse: Application of Natural and Auxiliary Plants Mix (온실 내 천적을 통한 해충 관리연구 - Acalypha hispida 등 8종의 관상식물을 중심으로)

  • Ahn, TaiHyeon;Goh, YeoBin;Bae, JunKyu;Lee, JeongHo;Lee, KiCheol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10a
    • /
    • pp.49-49
    • /
    • 2019
  • 국립수목원은 열대유용식물의 BT산업 원천소재 확보 제공을 목적으로 열대자원연구센터를 건립하여, 열대 및 아열대 전시원을 관리하고 있다. 온실의 특성상 일반 재배환경과는 다르게 여러 종류의 식물의 혼합 식재되어 있는 특성이 있어서 농업환경과 달리 해충의 급격한 돌발에 의한 온실 전체적인 피해의 위험성이 적은 반면에 안정된 환경으로 인해서 해충의 취약한 몇몇 수목의 경우 해충이 급격히 늘어날 수 있다. 본 실험은 여러 종류의 식물이 혼재되어 있는 수목 온실 내에서 생물적 방제를 이용하여 주요 해충류인 진딧물류 및 가루 깍지벌레, 잎응애류 방제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진행되었다. 진딧물이 집중적으로 발견된 열대식물 5종(Acalypha hispida, Justicia gendarussa, Hamelia patens, Ficus petersii, Hibiscus rosa-sinensis)을 중심으로 천적 방사 및 Banker plant 설치를 진행했다. 최초 조사일인 2015년 3월 10일, Tropical 1에 진딧물류의 발생이 많이 확인되어 포식성 천적인 미끌애꽃노린재를 투입했다. Tropical 2는 2015년 3월 17일 기생성 천적인 콜레마니진디벌과 선발된 Banker plant를 적용하여 방제 되었다. 철모깍지벌레가 발견된 열대식물 3종(Sanchezia parvibracteata, Brillantaisia lamium, Pseuderanthemum atropurpureum)을 중심으로 적용 천적으로 어리줄풀잠자리, 애홍점박이 무당벌레와 깍지무당벌레를 선별했다. 천적을 대상으로 철모깍지벌레에 대한 포식능력을 조사했으며 애홍점박이 무당벌레가 어리줄풀잠자리 보다 2.8배, 깍지무당벌레보다 2.9배 포식능력이 뛰어남을 확인했다. 잎응애류가 발견된 열대식물 2종(Acalypha wilkesiana, Erythrina caffra)은 천적으로 사막이리응애와 칠레이리응애를 적용하였다. 괭이밥응애 성충과 알의 포식력을 검증한 결과 사막이리응애가 괭이밥응애를 먹이로 증식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괭이밥, 괭이밥응애, 사막이리응애를 효과적으로 조합한 응애류 방제를 위한 새로운 Banker plant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는 열대온실의 열대식물 관리에 대한 생물학적 방제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종합적 방제의 관리 자료로 이용되어 새로이 온실을 조성하는 경우 식재기반조성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추후 열대식물의 자원 식물로서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 PDF

Experimental study of turbulent thermal convection between two flat plates (실험적 방법에 의한 두 평판 사이의 난류 열대류의 해석)

  • 윤효철;정명균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12 no.5
    • /
    • pp.1138-1149
    • /
    • 1988
  • Experiments have been conducted to investigate mean thermal structure in unstable turbulent thermal convection between two horizontal flat plates. The upper plate was kept at a constant cold temperature and the bottom plate at a constant hot temperature. Both air and water were used as its working fluids. Chamber aspect ratios were 3.80 and 6.17, the mean temperature differences between two plates were 2.6-9.3.deg. C, whose Rayleigh numbers in a range 6.13*10$^{5}$ -1, 07*10$^{8}$ . The heat transfer correlations obtained through the experiments are Nu=0.139R $a^{0.285}$ for air and Nu=0.087 R $a^{0.319}$ for water. Profiles of the mean temperature gradient clearly show the -2 and 1 4/3 power law regions.

A Hybrid Turbulence Model for Prediction of Buoyancy-Driven Turbulent Thermal Convection Flow (부력에 의한 난류 열대류의 혼성 난류모델)

  • 김태규;성형진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17 no.8
    • /
    • pp.2069-2078
    • /
    • 1993
  • The buoyancy-driven turbulent thermal convection is predicted using an anisotropic hybrid turbulence model, which is incorporated with a low Reynolds k-.epsilon. turbulence model and an anisotropic buoyant part of algebraic stress model(ASM). The numerical predictions are compared with the Davidson's model,(1) the full ASM and the experimental results of Cheesewright et al.(2) All the models are shown to predict good agreements with the experiments for the averaged turbulence quantities. It is found that the effect of an anisotropic part on the Reynolds stress and the turbulent heat fluxes is substantial. In this study, the present hybrid model gives a fairly reasonable prediction in terms of the computational accuracy, convergence and stability. The contribution of an anisotropic buoyant part to turbulent heat fluxes are also scrutinized over the range of Rayleigh numbers $(4.79{\times}10^{10}{\le}Ra{\le}7.46{\times}10^{10}).$

OSCILLATORY THERMAL CONVECTION IN A HORIZONTAL ANNULUS (수평 환형 공간에서의 진동하는 열대류)

  • Yoo Joo-Sik
    • Journal of computational fluids engineering
    • /
    • v.11 no.2 s.33
    • /
    • pp.49-55
    • /
    • 2006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oscillatory thermal convection of a fluid with Pr=0.02 in a wide-gap horizontal annulus with constant heat flux inner wall. When Pr=0.02, dual steady-state flows are not found. After the first Hopf bifurcation from a steady to a time-periodic flow, five successive period-doubling bifurcations are recorded before chaos. The power spectrum shows the $period-2^4\;and\;2^5$ flows clearly, and a window of period $3{\times}2^3$ flow is found in the chaotic regime. The approximate value of the Feigenbaum number for the last three period-doubling bifurcations is 4.76. The transition route to chaos of the present simulations is consistent with the period-doubling route of Feigenbaum.

열대지방인의 피부는 왜 검을까?

  •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11 no.10 s.113
    • /
    • pp.57-58
    • /
    • 1978
  • 태양광선이 강하게 내려 쬐이는 열대지방에 살고 있는 사람의 피부색이 검은 까닭은? ……이것이 인류가 오랜동안 진화하면서 자연환경에 적응한 것일까? 이에 대한 해결은 종래 여러 설이 있었다. 이에 대해 광에 약한 비타민류가 태양광선속의 자외선에 의해 광분해되는것을 막아주기 위함이란 견지에서 엽산염을 써서 시험관으로 실험하고 또 광선치료를 받은 백인이나. 열대주민의 비타민부족에 의한 산과영역의 이상들의 관찰로 이 설을 실증하는 연구가 미ㆍ미네소타대학 의학부의 브란트ㆍ잇튼 두 의학자에 의해 발표되었다.

  • PDF

열대성 해초지의 어류군집 I. 종조성 및 양적변동

  • ;;David W Klumpp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549-550
    • /
    • 2001
  • 해초생태계는 해양의 생태계 중 가장 생산성이 높은 해역 중의 하나로 최근에 많은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다. 해초는 잘 발달되어 있는 뿌리를 지니고 있으며, 흔히, 온대와 열대의 연안해역에 밀생하여 무성한 해초지 (seagrass meadow)를 형성하고 있다. 본 조사해역인 호주 동북부, Magnetic Island주변에 위치한 Cockle Bay는 많은 종류의 열대성 해초가 연안을 따라서 많이 밀생하고 있어서 생산성이 매우 높고, 자치어를 비롯한 많은 해양생물들이 큰 생물들로부터 보호되고 있으며, 바다거북류 및 듀우공들의 좋은 먹이공급처의 역할을 하고 있다. (중략)

  • PDF

Numerical analysis of turbulent thermal convection between two flat plates (두 평판 사이의 난류 열대류의 수치해석)

  • 이장희;윤효철;정명균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12 no.1
    • /
    • pp.137-151
    • /
    • 1988
  • Thurbulent thermal convection between two plates, bottom plate is at higher temperature $T_{h}$ and the upper plate is at lower temperature $T_{i}$ is numerically investigated. Model equations are abridged Reynolds stress equations; full Reynolds stress equations are simplified to yield algebraic relations in case of mean square velocity fluctuations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Boundary conditions for turbulent kinetic energy k and mean square temperature variance .thera.$^{2}$oner bar at the plate surfaces are set to be zero and those of dissipation rate of turbulent kinetic energy .epsilon. and dissipation rate of mean square temperature variance .epsilon.$_{\theta}$ are assumed at first grid point nearest to the boundary surfaces, whose values are approximated by inviscid estimates. Results show that temperature profiles are in good agreement with experimental data except transition region, in which temperature is over-predicted. Such discrepancy becomes larger as the Rayleigh number becomes smaller. Nusselt numbers, which are calculated from the temperature gradients at the boundary surfaces, are also in good agreement with experimental data.a.a.

녹조류, 옥덩굴 (Caulerpa okamurae)의 생장 및 생식 유도

  • 한정우;최창근;황은경;손철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10a
    • /
    • pp.269-270
    • /
    • 2001
  • 옥덩굴류(Caulerpa)는 청각목(Codiales)에 속하는 녹조류로 몸 조직은 낭상체로 되어 있으며, 난해산으로 열대 및 아열대에 많이 분포한다(Garcia et al., 1996). 옥덩굴류는 세계적으로 20여종 이상이 보고 되었으며 우리 나라에는 Caulerpa okamurae 1종만이 알려져 있다(강, 1968). 옥덩굴은 조직이 부드럽고 다육질이며, 형태와 색깔이 아름다워 신선한 야채 또는 샐러드 형태의 식품으로 이용될 수 있어 식량자원으로서 개발 가능성이 크다. 또한 난해산으로 김과 미역의 양식이 되지 않는 고수온기에 재배할수 있어 해조류 양식의 효율성을 피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중략)

  • PDF

The Ascidians (Tunicata) from Chindo Islands, Korea (진도산 해초류의(Ascidians)의 분류)

  • Boon Jo Rho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v.11 no.1
    • /
    • pp.125-145
    • /
    • 1995
  • The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the Chindo Islands ascidians was conducted by collecting the specimens from five localities in July and November, 1994 and the previous records. The ascidians were classified into 7 families, 11 genera and 16 species. They are all known species in Korean waters. Among them nine species were found to be new to the Chindo Is. From the standpoint of water forms, the composition of the ascidians from Chindo Is. is made up of three elements, viz., temperate (8species, 50%), temperature-tropical (7 species, 44%) and tropical (1 species, 6%) . A boreal water species and boreal-temperature species were not found . It may be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the water of this area is warm because of Kuroshio Water Curr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