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열간가공

Search Result 329,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알루미늄 합금 (A 7075) 절삭성 향상을 위한 열간단조 후처리 방법에 관한 연구

  • 김진복;양성진;강범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0.04a
    • /
    • pp.39-39
    • /
    • 2000
  • 열간단조후 절삭가공하여 냉간 성형가공하는 알루미늄 제품은 열간단조하면 재료가 연화되어 있어 절삭가공시 연속적인 칩이 발생하여 공구와 피삭재를 감고 회전함으로서 가공면 손상, 공구파손 및 작업자의 안전을 초래함에 따라 가공이 어려워 단지 절삭성 개선 목적만을 위해 중간공정으로 T4 열처리하여 절삭가공하고 다시 어닐링처리하여 냉간성형을 하고 최종열처리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열간단조후 제품을 급냉시키면 용제화처리의 효과를 얻어 재료가 경화됨으로써 절삭성이 개선될 수 있다는 이론에 근거하여 T4 열처리를 대체할 수 있는 후처리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최적의 후처리방법을 구하기 위해 열간단조후 수냉과 공냉처리를 비교 분석하였고, 열간단조후 냉각처리까지 지연된 시간과 수냉과정에서의 유지시간에 따른 분석을 통해 최적의 작업조건을 선정하였다.

  • PDF

In-situ 법으로 제조한 $Al/TiC_p$ 복합재료의 열간가공성

  • Kim, Su-Hyeon;Jo, Yeong-Hui;Lee, Jeong-Mu;Choe, Seung-Hwa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2.05a
    • /
    • pp.103.2-103.2
    • /
    • 2012
  • 알루미늄기지 복합재료는 낮은 밀도, 높은 비강도, 우수한 강성을 가지고 있어서 수송기기용 경량소재로서 적용 가능하다. 강화재를 외부에서 주입하는 ex-situ 법에 비하여 화학반응에 의하여 강화상이 생성되는 in-situ 법은 기지와 강화상의 계면 특성이 우수하다. In-situ 주조법으로 제조한 알루미늄기지 복합재료는 여러 형태로 가공하기 위하여 압출, 열간압연 등의 공정을 거치게 되므로 열간가공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고온압축시험을 이용하여 in-situ $Al/TiC_p$ 복합재료의 열간가공성을 평가하였다. 고온유동곡선으로부터 변형률속도민감도를 구하였으며 Dynamic Material Model을 이용하여 efficiency of power dissipation을 표현하는 공정지도를 작성하였다. 또한 변형 조건에 따른 미세조직 발달 거동을 조사하였으며 이로부터 각 변형 구간에 대한 변형기구를 도출하였다. 이로부터 알루미늄기지 복합재료의 열간가공성에 미치는 강화상의 영향을 고찰하였다.

  • PDF

가공재의 조직과 기계적 성질

  • 이종남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 /
    • v.5 no.3
    • /
    • pp.16-23
    • /
    • 1983
  • 이글에서는 다음의 내용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1. 주괴의 조직과 열간취성 2. 열간 가공재의 조직과 기계적 성질 3. 냉간 가공재의 조직과 기계적 성질 4. 결정입도와 기계적 성질

  • PDF

An Experimental Study of Characteristics of Plate Deformation by Heating Process (열간가공에 의한 판의 변형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Chang-Doo Jang;Dae-Eun Ko;Byeong-Il Kim;Jeong-Ung Park
    •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38 no.2
    • /
    • pp.62-70
    • /
    • 2001
  • As the ship hull is a compound-curved structure, plate bending process is indispensible. The process includes press bending process for forming major 1st curvature and heating process for forming the rest curvature. Especially the heating process that is above 50 percents of entire bending work is carried out exclusively by skillful workers. Many researches have been made to automate the heating process but most of these are about line heating process and researches for triangle heating process are rare. This study is a fundamental study to develop a efficient analysis method for triangle heating and focused on clarifying the deformation characteristics of plate by triangle heating. In this paper, we carried out heating experiments and analysed the deformation characteristics of plate to explain the deformation characteristics of plates rationally by showing the phase transformed high temperature region. Also we investigated the heating effect on the hull material properties by mechanical tests.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Machinability in Hot-Forged Aluminum Alloy Product(Al 7075) (알루미늄 합금(Al 7075) 절삭성 향상을 위한 열간단조 후처리 방법에 관한 연구)

  • 김진복;임학진;강범수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4 no.2
    • /
    • pp.46-53
    • /
    • 2000
  • Hot forging of aluminum alloy has the bad machinability due to continuous chip formation caused from the ductility The bad machinability requires a labor and a high cost to produce final products after hot forging. In industrial field, T4 heat treatment is performed to improve the machinability, and the annealing and the cold sizing are followed. In this study, a series of heat treatments are introduced during hot forging operation without T4 heat treatment after forming so that it improves the machinability with reduction of the number of operations and machining cost. Instead of T4 heat treatment, water cooling and air cooling are tried and compared to find out an optimum cooling condition

  • PDF

Heating-Plan Heuristics for Forming Curved Shell Plate of Ship Structure (선체 외판 부재의 곡 성형을 위한 가열 계획 생성 휴리스틱)

  • Gang, Byeong-Ho;Park, Gi-Yeok;Kim, Ung;Ryu, Gwang-Ryeol;Lee, Jeong-Hwan;Do, Yeong-Chil;Kim, Dae-Gyeong;Kim, Se-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 /
    • 2007.11a
    • /
    • pp.570-578
    • /
    • 2007
  • 선체 외판 부재의 곡 성형 과정은 주로 가열(열간가공)에 의해 수행된다. 이 가열 작업은 작업자의 경험과 지식에 크게 의존하는 매우 어려운 작업이다. 본 논문에서는 선체 외판의 곡 성형을 위한 가열 계획을 자동으로 수립할 수 있는 휴리스틱을 소개한다. 현장 전문가의 지식에 기반한 이 휴리스틱은 크게 가열 선을 생성하는 부분과 외력을 주는 도구를 배치하는 부분으로 구성된다. 가열 선은 대상 부재의 현재 곡면과 설계된 목적곡면과의 비교를 통해 생성되고, 가우스 커널 함수를 통해 스무딩(smoothing)된다. 현장에서는 열간가공 시 의도하지 않은 변형을 막으면서 작업시간을 줄이고자 외력을 이용한다. 외력의 위치와 방향은 가열 선 군집화를 통해 추출된 대표 가열 선을 기준으로 결정된다. 가상의 인공 곡면과 현장의 실제 부재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이 휴리스틱이 숙련된 전문가가 수립한 가열 계획과 유사한 가열 계획을 수립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Simulation of Plate Deformation by Triangle Heating Process (삼각가열에 의한 판 변형의 시뮬레이션)

  • Chang-Doo Jang;Dae-Eun Ko;Sung-Choon Moon;Yong-Rok Seo
    •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38 no.4
    • /
    • pp.66-74
    • /
    • 2001
  • Plate bending process is indispensible in shipbuilding. The process includes press bending process and heating process. Especially the heating process is carried out exclusively by skillful workers. Many researches have been made to automate the heating process. This study was carried out as a fundamental study to develop a efficient analysis method for triangle heating and focused on clarifying the deformation characteristics of plate by triangle heating and essential elements effect on the deform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d an analysis model for thermal-elastic-plastic analysis and simulated the deformation by triangle heating using ANSYS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of Jang et al.(2001). Also, we showed the deformation characteristics more clearly by comparing the deformation due to triangle heating and line heating in case that the total heat input is same. Finally, we investigated the change characteristics of deformation elements according to the volumetric heat inpu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