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연하곤란사정도구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58초

노인요양시설 노인의 연하곤란 사정도구, 중재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Dysphagia Assessment Tool and an Intervention Program for the Elderly in the Long-Term Care Facilities)

  • 김치영;이영미;하은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685-693
    • /
    • 2012
  •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의 노인 연하곤란 조기 발견 및 중재를 목적으로 연하곤란 사정도구를 개발하고 개발된 사정도구를 중심으로 제작된 중재프로그램 적용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사정도구의 동시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을 위해 노인요양시설 9곳에 근무하는 간호사 18명을 편의추출하였으며 중재 프로그램 효과 검정을 위해 노인요양시설 4곳의 입소자 50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여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연하곤란 사정도구와 중재프로그램 적용 후 실험군의 체중은 증가하였으며(t=4.913, p=.000), 연하 총 시간은 감소하였다(t= -4.557, p=.000). 따라서 본 연구에서 도출된 연하곤란 사정도구와 중재프로그램을 노인요양시설에 적용한다면 노인의 삶의 질 증진과 흡인성 폐렴, 질식과 같은 응급 상황은 감소할 것이다.

수정된 연하곤란사정도구와 비디오 연하영상 조영술의 흡인 위험 예측비교 (Comparison for Risk Estimate of Aspiration between the Revised Dysphagia Assessment Tool and Videofluoroscopy in Post-Stroke Patients)

  • 문경희;손현숙;이은석;백은경;강은주;이승희;한나리;이민혜;김덕용;박창기;유지수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59-366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significant factors for risk estimate of aspiration and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the dysphagia assessment tool. Methods: A consecutive series of 210 stroke patients with aspiration symptoms such as cough and dysphagia who had soft or regular diet without tube feeding were examined. The dysphagia assessment tool for aspiration was compared with videofluoroscopy using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 (CART) analysis. Results: In CART analysis, of 34 factors, the significant factors for estimating risk of aspiration were cough during swallowing, oral stasis, facial symmetry, salivary drooling, and cough after swallowing. The risk estimate error of the revised dysphagia assessment tool was 25.2%, equal to that of videofluoroscopy.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dysphagia assessment tool developed and examined in this study was potentially useful in the clinical field and the primary risk estimating factor was cough during swallowing. Oral stasis, facial symmetry, salivary drooling, cough after swallowing were other significant factors, and based on these results, the dysphagia assessment tool for aspiration was revised and complemented.

입원 환자용 초기 영양검색도구의 타당도 검증 (Validation of initial nutrition screening tool for hospitalized patients)

  • 김혜숙;이선희;김혜숙;권오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2권4호
    • /
    • pp.332-341
    • /
    • 2019
  • 본 연구는 입원환자의 초기영양평가를 위해 개발된 영양검색도구의 타당성을 평가하고자 입원 후 24시간이내 동일한대상자에게 PG-SGA와 개별면담을 시행 후 그 결과를 비교 평가하였다. CKUNRS와 PG-SGAS 두 그룹 모두 나이는 고위험군이 평균 연령보다 높았고, BMI, 혈청 알부민과 헤모글로빈은 영양불량이 심할수록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CKUNRS와 PG-SGA를 비교 분석한 영양 평가결과 전체 686명 중 영양불량 위험 환자는 각각 107명(15.6%)과 380명 (44.6%)으로 조사되었다. 민감도와 특이도는 각각 98.7% (96.8 ~ 99.5)와 33.3% (28.1 ~ 39.0)로 나타났으며, 두 도구 간 유사성 kappa 지수는 0.34로 CKUNRS는 PG-SGA를 기준으로 어느 정도 타당한 검색도구로 검증되었다. 결론적으로, CKUNRS를 PG-SGA와 같은 공인된 영양검색도구와 비교한 결과 민감도와 유사성 면에서는 어느 정도 타당한 수준의 영양검색도구인 것으로 판정되었으나, 특이도가 높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초기입원 영양평가로 효과적인 영양검색도구를 위하여 재원기간, 합병증 유무, 사망률, 환자의 질병 예후와 관련된 유용성은 검증되지 않아 이에 관련하여 추가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그리고 보다 정확한 영양불량 환자의 검색을 위해서는 간호사의 입원환자 초기 평가 및 재평가 부분에서 누락 가능성이 있는 체중변화, 소화기계장애, 식욕상태, 저작곤란, 연하곤란 등의 정확한 기록을 할 수 있도록 간호사정 기록자의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효과적인 초기 영양관리를 위해서는 향후 CKUNRS의 영양검색 기준에 대한 수정보완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