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평균강우량

Search Result 102,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Groundwater Recharge to Daegu Area (대구지역의 지하수 함양량)

  • Lee, Seung-Hyun;Kim, Yong-Ho;Bae, Sang-K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498-502
    • /
    • 2007
  • 대구지역은 최근 30년간(1974년${\sim}$2003년)의 연평균 강수량이 1,065.3mm로 전국 평균의 1,305mm보다 상당히 적으며 특히 연강수량의 약 68%가 6월${\sim}$9월중에 집중되고 있다. 수자원 현황이 다른 지역에 비하여 열악하지만 용수수요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지표수의 이용만으로 용수수요를 만족하기에는 부족한 실정이며 지하수의 적절한 개발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용수수요의 충족을 위해서는 물공급 시스템의 중요한 요소로 평가되는 지하수의 체계적인 관리와 효율적인 운영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 대상지역에 대한 지하수함양량의 파악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지하수함양량은 강수양상, 토양특성과 토지이용상태 등에 크게 영향을 받음으로 이에 의한 영향을 고려할 수 있는 NRCS-CN방법을 이용하여 1996${\sim}$2005년간의 최근 10년간의 지하수함양량을 산정하였다. 지하수함양량 산정결과 연평균 1,183.8mm의 강우량에 대하여 연평균 지하수함양량이 291.8mm, 연평균 함양률이 24.7%로 나타났다. 계절별 연평균 함양량과 함양률을 산정한 결과 여름철에는 평균 679mm의 강우량이 발생하였으며 동기간의 평균 지하수함양량이 186mm, 평균 함양률이 27%로 나타났다. 겨울철에는 평균 56mm의 강우량이 발생하였으며 평균 지하수함양량은 6mm, 평균 지하수함양률이 10%로 나타났다. 따라서 강수에 의한 지하수함양량은 유역특성 뿐만 아니라 강수특성에도 많은 영향을 받고 계절적 요인도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Spatial Analysis for Mean Annual Precipitation Based On Neural Networks (신경망 기법을 이용한 연평균 강우량의 공간 해석)

  • Sin, Hyeon-Seok;Park, Mu-Jo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2 no.1
    • /
    • pp.3-13
    • /
    • 1999
  • In this study, an alternative spatial analysis method against conventional methods such as Thiessen method, Inverse Distance method, and Kriging method, named Spatial-Analysis Neural-Network (SANN) is presented. It is based on neural network modeling and provides a nonparametric mean estimator and also estimators of high order statistics such as standard deviation and skewness. In addition, it provides a decision-making tool including an estimator of posterior probability that a spatial variable at a given point will belong to various classes representing the severity of the problem of interest and a Bayesian classifier to define the boundaries of subregions belonging to the classes. In this paper, the SANN is implemented to be used for analyzing a mean annual precipitation filed and classifying the field into dry, normal, and wet subregions. For an example, the whole area of South Korea with 39 precipitation sites is applied. Then, several useful results related with the spatial variability of mean annual precipitation on South Korea were obtained such as interpolated field, standard deviation field, and probability maps. In addition, the whole South Korea was classified with dry, normal, and wet regions.

  • PDF

Development of Diameter and Basal Area Growth Models for Larix leptolepis in Eastern Mountain Areas, Jeollabuk-do (전라북도 동부 산악지역 낙엽송의 직경 및 흉고단면적 생장모델 개발)

  • Kim, Hyun;Jo, Young-Jin;Lee, Sang-Hyun
    •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 /
    • v.45 no.5
    • /
    • pp.25-31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the growth model for diameter at breast height (DBH) and basal area (BA) of Larix leptolepis stands grown in eastern mountain areas, Jeollabuk-do and to enhance the precision of the models by adding regional and climatal factors, such as altitude, mean annual rainfall, and mean annual temperature. In results, it was analyzed that Schumacher polymorphic equation might be the best model to estimate DBH and BA growth. In case of the DBH growth model, precision was improved by adding altitude and mean annual rainfall. Moreover, in case of the BA growth model, precision was improved by adding mean annual rainfall. Meanwhile, it would be necessary for more precise model to add various factors, such as stand density, mortality, thinning ratio, and edaphic status along with regional and climatal factors.

Regional frequency analysi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ime series data (자료계열 특성에 따른 지역가뭄빈도 해석)

  • Kim, Hwi Rin;Park, Moo Jong;Yoon, Yong Na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1027-1031
    • /
    • 2004
  • 2001년에 발생한 가뭄 심도를 기왕의 주요 가뭄과 비교평가하기 위하여 전국을 95개 소유역으로 구분하고 월 강우량 계열로부터 작성된 갈수우량계열을 이용하여 지역빈도해석을 실시하였다. L-모멘트법을 사용하여 강우지속기간별, 재현기간별 갈수우량을 산정하고 지속기간별 확률갈수우량도를 작성하였다. 또한, 연평균강우량과 가뭄의 발생지역을 비교하여 강우량이 적은 지역과 가뭄이 자주 발생하는 지역의 연관성을 검토하였다. 강우지속기간-재현기간-갈수우량 관계를 고려하여 2001년 가뭄의 심도와 지역적 범위를 최근에 발생한 '95 가뭄과 비교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2001년 가뭄의 특성과 용수공급을 위한 적정 방안을 제안하였다.

  • PDF

The Estimation of Annual Average Rainfall Erosivity in accordance with Equation of Rainfall Kinetic Energy (강우에너지식에 따른 연평균 강우침식능 산정)

  • Lee, Jong-Seol;Chung, Jae-Hak;Won, Jin-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63-363
    • /
    • 2011
  • 무분별한 개발사업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토양 침식 피해를 최소화시키기 위해서는 정확한 토양 침식량을 추정해야 한다. 현재 토양 침식량을 추정하기 위한 공식으로 Wischmeier와 Smith(1997)가 발표한 범양 토양손실공식(RUSLE, Revis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RUSLE 공식의 매개변수 중 하나인 강우침식능 인자 R은 실무에서는 단일강우 확률강우량의 시간분포 강우량에 대하여 강우침식능을 산정하는 방법을 널리 사용하고 있으나, 연평균 강우침식능을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 국립방재연구소(2009)는 전국 53개소의 1960년대~2008년까지의 1시간 강우자료를 이용하여 연평균 강우침식능을 산정한 바 있고, 본 연구에서는 국립방재연구소의 자료(2009)에 23개소를 추가 하고 2009년~2010년 강우자료를 추가하여 강우침식능을 산정하였다. 강우침식능 산정 시 사용되는 강우 운동에너지 공식은 국내외에서 여러 가지 공식이 제안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RUSLE와 USLE에서 추천하고 있는 식과 노재경 등(1984)의 식, van Dijk(2002) 식을 이용하여 각각의 연평균 강우침식능을 산정하고 전국 연평균 강우침식도를 재산정하였다. 연평균 R값의 76개 지점평균은 RUSLE 식 4890, USLE 식 5538, 노재경 식 4608, van Dijk 식 5444 MJ/ha mm/hr로 산정되었다. 에너지식에 따라 값은 최대 930 MJ/ha mm/hr 차이를 보였으나, 분포 양상은 경북 지역을 제외한 모든 유역에서 비슷함을 알 수 있었다. 노재경 식은 서울과 수원의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제안된 식으로 타 식에 비하여 우리나라의 강우특성을 비교적 잘 고려한다고 판단되지만, 시간 및 공간적으로 제한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안된 식이므로 실무 적용을 위해서는 추가적인 검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Changes in characteristic of weather elements in Nakdong River caused by climate change (기후변화로 인한 낙동강 유역의 기상요소 변동 특성)

  • Yang, Jeong-Seok;Lee, Jeong-Won;Jang, Woo-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347-351
    • /
    • 2012
  • 본 연구는 기후변화로 인한 국내 낙동강 유역의 기온, 강수, 상대습도의 변동 경향을 파악하고자, 낙동강 본류의 상, 중, 하류 지역을 연구대상 지역으로 선정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상요소인 평균, 최저, 최고 기온과 상대습도 및 강우 자료를 기상청의 관측 자료를 활용하여 수집하였다. 분석을 실시함에 있어서 연평균, 최고, 최저 기온과 연평균, 최고, 최저 상대습도를 분석하였으며, 강우량 관측 자료를 통해 총 강우량, 강우집중률, 일 최대강우량을 고려하였다. 분석방법은 기후변화로 인한 기상자료의 변동 경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비모수적 경향성 검정인 Mann-Kendall Test, Hotelling-Pabst Test, Sen's Test 3가지의 검정방법을 사용하였으며, 표준정규변량의 크기를 통하여 변동 경향의 유의성을 비교해보았다. 또한, 각 요소별 관측 자료의 상위 10개, 하위 10개의 자료를 통하여 최근(1995~2011)과 과거(1973~1994)의 기상요소들을 비교하여 변동 특성을 파악하였다. 연구지역 중 낙동강 중류 지점에 위치하는 구미의 경우, 요소별 자료 중 연평균기온의 상위 9개의 자료가 최근 17년 이내에 포함되어 있으며, 연 최저 및 최고 기온의 6개의 자료가 포함되어 있어 기후온난화가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 최저 상대습도의 경우 3가지 경향성 검정 방법을 통하여 과거자료에 비해 하강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강우자료 분석 결과 관측이 시작된 이래 연강수량 중 상위 10개의 자료에서 7개가 최근에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일 최대강우량은 9개가 포함되어 있다. 위의 요소별 분석 결과 낙동강 유역의 연강수량 및 강우강도는 대체적으로 증가하고, 기온 또한 증가하는 등 기후 변화로 인한 지구온난화현상이 국내에서도 나타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the Calculation of Probability Precipitation of Typhoon (태풍의 확률 강우량 산정에 관한 연구)

  • Oh, Tae-Suk;Moon, Young-Il;Jeon, Si-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484-1487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를 주지적으로 내습하여 많은 강수를 유발시키는 태풍의 특성에 대해 고찰하고, Nonparametric Bootstrap Simulation 기법에 적용하여 확률 강우량을 산정하였다. 우리나라에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난 139개 태풍에 대하여, 중심 위치와 중심 기압 자료와 우리나라 강우관측소의 시간강수량 자료를 이용하여 Nonparametric Bootstrap Simulation 기법에 적용하였다. 우리나라에 영향을 준 태풍운 연평균 3.09회 발생하고, 약 107시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과 부산 지점을 대상으로 Nonparametric Bootstrap Simulation 기법을 적용하여 태풍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확률강우량을 산정하여, 빈도해석에 의한 확률강우량과 비교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서울 지점은 태풍에 의한 강우량이 그리 크지 않았으나, 부산 지점은 태풍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는 강우량이 매우 큰 것으로 분석 되었다.

  • PDF

Landslide Characteristics induced by Heavy Rainfall in Samcheok Area (집중호우시 발생된 삼척지역의 산사태 특성)

  • Song Young-Suk;Jang Yoon-Ho;Kim Jin-Seok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15 no.4 s.42
    • /
    • pp.435-445
    • /
    • 2005
  • Landslides induced by heavy rainfall from typhoon 'Rusa' in 2002 and typhoon 'Meami' in 2003 were investigated at Samcheok area,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landslides and rainfall on that area was analyzed. The average annual rainfall at Samcheok area is generally $1,200mm\~1,300mm$. However, the average annual rainfall at samcheok for 2003 and ton was increased more than 2,000mm because of typhoon 'Rusa' and typhoon 'Meami'. The number of landslides and the landslides area are largely occurred in a area of the relatively high maximum hourly rainfall and 2days cumulative rainfall. Therefore, it confirmed that landslides are directly depended on the hourly rainfall and the cumulative rainfall. The landslides at Samcheok area induced by heavy rainfall due to typhoon are more influenced by the maximum hourly rainfall at the landslide occurrence day. In order to predict a rational landslide size, a new method included the maximum hourly rainfall and the landslide area in a traditional way was proposed. As the result of applying the new proposed method, the landslide size at Samcheok area is involved in the large scale landslide.

기후변화를 고려한 금강유역의 수문시계열 자료 분석

  • Yang, Jeong-Seok;Kim, Nam-K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220-1224
    • /
    • 2009
  • 최근에 들어 기후변화에 따른 수위 변화 영향에 의해 물 고갈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가뭄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강우강도가 커지면서 물부족현상이 더욱 가속화가 되어 가고 있고, 시간이 지날수록 수자원의 활용도를 떨어뜨리게 된다. 거기에 따른 대책마련을 위해 금강유역을 대상으로 삼아 수문시계열 자료들을 충분히 관측하고 분석하여 대책을 마련하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수위, 지하수위, 강우량, 물 수요현황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지점은 하천수위관측소에 인접한(10km 이내) 지하수위, 강우관측소중 데이터의 결함이 없는 곳을 선정하였고, 5군데 지역을 기준으로 정하였다. 더 많은 지역에 관하여 분석이 가능했으나, 관측소간의 인접여부를 확인한 결과 5군데 지역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1개구역당 5개의 차트(연평균 하천수위, 연평균 지하수위, 연총강우량, 일최대강우량, 물수요현황)를 도시하였고, 이에 따라 분석을 하였다. 총강우량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강우강도가 증가하고 강우일수가 감소함에 따라 지하수위 및 하천수위는 급속히 하강하고 있었다. 많은 관측소에서 수위가 하강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관측이 되었고, 앞으로도 더 늘어날 것이다. 물수요현황이 1990년대 중반 이후 안정화 되어 뚜렷한 증가추세가 없음에도 수위가 하강하는 것은 기후변화에 따른 것으로 설명할 수 있겠다.

  • PDF

Evaluation of Effects of Landfall Typhoon on Design Rainfall Using a Mixed Gumbel Distribution (혼합 Gumbel 분포를 이용한 태풍의 설계강우량에 미치는 영향 평가)

  • Yoon, Philyong;Kim, Tae-Woong;Yang, Jeong-Seok;Lee, Seung-Oh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45-45
    • /
    • 2011
  • 우리나라는 전체 강수량 중 절반 이상이 여름철에 집중되어 있으며, 그 중 전선형 강우와 같은 장마/집중호우와 저기압형 강우인 태풍이 동반하는 강우로 나뉠 수 있다. 태풍은 북태평양 부근에서 발생하며 중심 최대풍속이 17m/s 이상이며 폭풍우를 동반하는 열대성 저기압으로 정의된다. 태풍 관측 이래 우리나라에 영향을 준 태풍은 총 324개 이며, 연평균 3.1개가 영향을 미치고 있다. 태풍은 2010년 콤파스와 뎬무와 같이 많은 피해를 주기도 하지만 2009년과 같이 우리나라에 내습한 태풍이 없는 해도 있다. 이와 같이 태풍은 매 년 일정하게 내습을 하거나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무작위적으로 발생한다. 태풍의 발생확률은 설계강우량에 영향을 미치므로 이를 고려한 설계강우량 산정방법이 필요하며 태풍이 내습한 기간 중 가장 많은 강수량이 연최대치강우와 같아지는 횟수를 전체 자료기간으로 나눈 값을 발생확률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최대치강우계열에서 태풍으로 인한 강우와 집중호우에 의한 강우로 분리하여 빈도해석을 실시하여 설계강우량을 산정하였다. 단일 모집단 분포를 이용하는 기존의 빈도해석 방법을 보완할 수 있는 혼합 분포함수를 이용하였다. 적용된 혼합 Gumbel 분포로 태풍 강우를 고려할 시 설계강우량의 변화율 살펴보았다. 대상 지점으로는 기상청에서 제공하고 1961년부터 강우량 자료가 존재하는 15개 지점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대구, 울산을 포함한 9개 지점에서 기존의 설계강우량에 비해 증가하였으며, 부산과 광주를 포함한 6개 지점에서 새롭게 추정된 설계강우량이 기존 값 보다 감소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