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연조직측모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29초

하악 후퇴술과 전진 이부성형술이 시행된 III급 부정교합자의 초진 시 측모 두부 방사선사진 특성에 관한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initial lateral cephalometric characteristics: mandibular setback surgery only versus mandibular setback surgery with advancement genioplasty)

  • 김재식;김정일;강승구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41-51
    • /
    • 2008
  • III급 부정교합의 악교정수술을 통한 치료 시 하악 후퇴술만을 시행하는 경우와 하악 후퇴술에 전진 이부성형술이 추가로 시행되는 경우에 있어 초진 시 측모 두부 방사선사진상의 특성차이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올담치 과병원 구강외과에서 III급 부정교합을 하악후퇴술을 통하여 치료한 33명을 대상으로 하여 하악 후퇴술만을 시행한 21명과 하악 후퇴술과 전진 이부성형술을 시행한 12명으로 나누어 초진 측모 두부 방사선사진상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B군에서 N-Me, ANS-Me이 더 길었으며 교합평면의 각도가 더 컸다. 구개평면에서 상악중절치까지의 거리, 하악평면에서 하악 절치 및 제1대구치까지의 거리가 B군에서 더 길었으며, 상악 중절치는 더 설측경사를 보였다. B군에서 Sn-Stms는 더 길고 연조직 Pog은 덜 돌출되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III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하악 후퇴술과 더불어 전진 이부성형술이 시행될지 여부를 예측하는데 초진 측모 두부 방사선사진상의 위 계측항목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수술전 발치교정을 시행한 경우가 있다는 것과 외과의의 심미안, 해부학적 구조등이 이부성형술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는 것은 본 연구의 한계로 생각된다.

상순과 턱의 수직 비율(vertical lip-chin ratio)에 대한 선호도 조사 (Survey of the Preferred Vertical Lip-Chin Ratio)

  • 권성준;최갑림;임성훈;김광원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408-416
    • /
    • 2004
  • 일반인들이 선호하는 상순과 턱의 수직 비율(Sn-Stm/Stm-Me')을 알아보기 위해 남녀 각 2명의 연조직 측모(Profile)를 상순과 턱의 수직비율에 따라 상악의 변화없이 하악만을 변화시켜 1/1.8, 1/1 9, 1/2.0, 1/2, 11/2.2 비율의 5개의 측모 사진을 만들어 치과의사 44명(남자 22명 여자 22명)과 일반인 430명(남자 303명, 여자 127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통하여 선호도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대상의 가장 선호하는 안모에 대한 성별간의 선호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많았다. 대상의 가장 선호하는 안모에 대한 치과의사와 일반인 집단간의 선호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남녀 측모 모두에서 가장 선호하는 측모의 상순과 턱의 비율은 1/1.9이었으며 가장 선호하지 않는 비율은 1/2.2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이전의 연구에 비해 상순과 턱의 수직비율에서 턱의 비율이 다소 작은 측모, 즉 상순과 턱의 수직 비율이 1/1.9인 안모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의 올바른 비순각 평가에 관한 연구 (Evaluation of nasolabial angle in adult patients with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 장준호;이신재;김태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72-282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구순이 이완되도록 개구한 상태(relaxed lip position)에서 촬영한 측모 두부방사선사진과 일반적으로 채득하는 중심교합위에서 입술을 다문 상태(closed lip position)의 측모 두부방사선 사진에서 비순각의 변화 양상을 비교하여 안모 분석 시 relaxed lip position의 중요성을 검토하는 것이다. 전치부 반대교합을 보이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성인환자(평균 23.3세) 60명(남자 35명, 여자 25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구순이 이완되도록 개구한 상태에서와 중심교합 상태에서의 비순각 차이를 비교한 결과 유의성 있는 차이가 있었으며, 비순각의 변화량 사이의 유사성을 기준으로 좀 더 객관적으로 분류하여 분석하고자 군집분석을 통해 제1군(27명, 45%, 구순 이완시 비순각이 감소하는 군), 제2군(30명, 50%, 구순 이완 시 비순각이 증가하는 군), 제3군(3명, 5%, 구순 이완 시 비순각이 예외적으로 크게 증가하는 군)으로 분류하였다. 제1군에서는 상순이 전체적으로 후방 이동되며 비순각은 변화가 없거나 오히려 감소하였으며, 제2군에서는 상순이 후하방 회전되며 비순각이 증가하였다. 제3군에서는 상순이 하순과 하악전치에 의해 상방으로 압박되었다가(compression)이완되며 비순각이 크게 증가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에서 구순이 이완된 상태에 대해 중심 교합 시의 비순각의 변화가 다양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정확한 안모분석과 수술-교정 치료 후의 연조직 심미성의 예측을 위해 기록 채득과 분석 시 이완된 구순 위치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며 이러한 자세로 진단용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되었다.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양악수술후 연조직 변화의 평가 (SOFT TISSUE CHANGES AFTER DOUBLE JAW SURGERY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 조은정;양원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16
    • /
    • 1996
  • 본 연구는 골격성 III 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상악골 전방이동수술과 하악골 후방이동수술을 동시에 시행하였을 때 경,연조직 측모 및 연조직 후경의 변화를 관찰하고 경,연조직 변화의 상관성과 그 비율을 산출하여 교정-악교정 수술복합 치료 계획의 수립과 결과의 예측에 이용하고자 하였다. 서울대학교병원 치과진료부 교정과에 내원하여 상, 하악골의 수직적 골격 부조화는 경미하고 전후방적 골격 부조화가 심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으로 진단되어 술전 교정치료를 받고 1990년 7월부터 1995년 4월 중에 Le Fort I 골절단술 또는 Le Fort II 골절단술로 상악골을 전방이동시키는 동시에 시상분할 골절단술로 하악골을 후방이동시킨 성인 환자 25명(남자 13명, 여자 12명) 을 대상으로 수술전,후 측모두부방사선사진을 계측,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상악골의 전방이동에 따른 상순부 연조직의 수평적 변화는 Stms를 제외하면 상관성이 높았으며 A point의 전방이동에 따라 Sn, SLS, LS 는 각각 $71\%,\;67\%,\;37\%$ 의 비율로 전방이동하였다. 2. 하악골의 후방이동에 따른 하순부 연조직의 수평적 변화는 상관성이 상당히 높았으며 ID, B point, Pog, Gn의 후방이동에 따라 LI, ILS, Pog, Gn 은 각각 $84\%,\;107\%,\;96\%,\;97\%$ 의 비율로 후방이동하였다. 3. 하악골의 후방이동에 따라 SLS, LS, Stm, LI 는 중등도의 상관성을 가지며 하방이동하였다. 4. 경조직의 전후안면고경비율과 연조직의 상,하안면고경 은 수술전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수술후 Stm 의 하방이동으로 하순고경에 대한 상순고경의 비율은 유의성있게 증가하였다(p<;0.001). 5. 연조직 후경은 수술후 LI-LIH 에서는 증가하고 LS-LSH 에서는 감소하였으며 LS-LSH 의 수술후 변화량과 수술전 후경은 역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p<0.001).

  • PDF

골격성 제III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상악골 전방견인장치 사용후 측모 변화에 대한 연구 (A STUDY ON PROFILE CHANGE OF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AFTER WEARING PROTRACTION HEAD GEAR)

  • 임중기;박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75-401
    • /
    • 1995
  • 성장기 골격성 제III급 부정교합의 원인은 상악 열성장, 하악 과성장과 두 양상의 조합형태로 나뉠 수 있다. 이중 상악 열성장을 동반한 성장기 골격성 제III급 부정교합의 경우,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의 사용이 추천되고 있는데, 이러한 장치의 치료효과는 상악골의 전하방 이동과 하악골의 후하방 회전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외 선학들에 의해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의 치료효과에 대한 많은 동물실험과 임상실험 결과가 발표되었으나, 연조직 측모 변화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상태이고, 또한 치료를 받은 환자간의 치료효과에 대한 비교도 부족한 상태이다. 이에 저자는 상악골 열성장으로 인한 성장기 골격성 제III급 부정교합으로 진단받고,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로 치료 받은 93명의 환자를 성별, 치료개시 나이별, 구개봉합 opening여부(구강내 장치), 안모성장 형태에 따라 분류하여, 각 유형에 따라 어떠한 경조직과 연조직 측모의 변화가 관찰되는지 여부와, Angle씨 제 I 급 부정교합의 정상군 20명과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로 치료받은 환자 사이에 경조직과 연조직에 있어서 성장량과 치료량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비교하여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1.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 사용시 골격적 계측항목과 치아와 연조직 계측항목에서 성장량보다 많은 치료에 의한 변화량을 관찰할 수 있었다. 2. 남녀별 치료개시 나이에 따른 상악골 전방이동량과 하악골의 후하방 회전량에는 유의차가 없었다. 3. R.P.E.에서 La-Li보다 유의성 있는 상악골(A point)의 전방이동을 보였으며, 상악 전치의 순측 돌출이 La-Li를 사용하였을때 보다 감소되었다. 4. 안모성장 형태에 따라서는 상악골 전방이동량에는 유의차가 없었으나, 하악골의 후하방 회전을 나타내는 계측치에서 counterclockwise군이 clockwise군보다 많은 변화를 나타냈다. 5. 상순과 하순의 후경변화는 하부 골조직과 상하악 치아의 위치변화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상순의 고경과 nasolabial angle이 증가하고, mentolabial angle이 감소되었다.

  • PDF

교정의사가 선호하는 측모의 유형에 따른 특징적 양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attractive profiles of Korean young women to orthodontists)

  • 김영진;김정환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479-487
    • /
    • 2001
  • 교정 치료의 목표를 설정하는 데에 있어서 여성의 아름다운 측모에 관한 정확한 이해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치과교정의사 간에 심미안의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고, 치과교정의사에 의해 선호되는 여성의 심미적인 측모를 선정하여, 이들이 facial convexity의 정도에 따라 심미적인 측모를 구성하기 위한 특징적인 양상을 보이는지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먼저 교육적 배경이 다른 5명의 치과교정의사로 하여금 133명의 20대 여성의 측모 사진을 이용하여 선호도에 따라 심미적인 측모를 채점하도록 하였다. 심미적인 측모를 가졌다고 판정된 35명의 측모 두부 방사선 사진의 투사도를 작성하여 연조직 분석을 시행하였고, 이를 facial convexity의 정도에 따라 convex군(G-Sn-Pg${\geq}9^{\circ}$)과 straight 군(G-Sn-Pg<$9^{\circ}$)의 두 subgroup으로 세분화하였다. 심미적인 측모를 선정하는 데에 있어서의 객관성 여부를 조사하기 위하여 5명의 치과교정의사간의 심미안의 차이에 대한 동질성 검정을 시행하였는데 미의 기준이 주관적임에도 불구하고 치과교정의사간에 측모 선호 양상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안모 형태의 차이에 따라 세분된 두 subgroup간의 코의 전후 관계를 나타내는 N-Pg-Sn, N-Pg-Pn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5), nasolabial angle, labiomental angle, 그리고 수직적 분석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p<0.05), 상하순 돌출도를 분석한 결과에서 H-angle, Ls to E line, Li to E line, Pg to Sn perp.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Sn-Pg line와 Sn perp. 에서부터의 거리에는 차이가 없었다(p

  • PDF

Snorer의 앙와위와 직립위에서의 상기도 크기 (THE SIZE OF UPPER AIRWAY OF THE SNORER IN UPRIGHT AND SUPINE POSITION)

  • 김종철;조홍규;이계형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3-52
    • /
    • 1996
  • Snorer와 정상인의 상기도 부위 연조직의 차이를 비교하며, 자세의 변화에 따른 snorer와 정상인의 상기도 부위 연조직 크기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여성에서 snorer군 25명과 정상군 20명을 대상으로 직립위와 앙와위에서 측모 두부방사선 계측 사진을 촬영한 후 연구개, 혀 및 상기도에 관한 거리와 면적을 계측하고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곁과를 얻었다. 1. 직립위와 앙와위에서 snorer군은 정상군에 비해 혀의 길이가 길고 높이가 높았으며 기도가 좁고 길며 설골은 하방에 위치하였고 넓은 연구개와 좁은hypopharynx를 가졌다. 앙와위에서 snorer군은 이와 더불어 정상군보다 더 넓은 혀와 더 좁은 oropharynx를 가졌다. 2. 직립위에서 앙와위로 자세의 변화에 따라 정상군과 snorer군 모두에서 기도의 길이가 감소하였고 설골이 더 상방위치 되었다. snorer군에서는 이와 더불어 혀의 길이와 높이, 기도의 두께와 oropharynx 면적은 감소하였으며 혀와 연구개 면적은 증가하였다.

  • PDF

전치의 후방견인에 따른 입술과 주위 연조직의 수직적 변화 (The vertical changes of the lip and perioral soft tissue resulting from incisor retraction)

  • 강창수;김경호;최광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85-196
    • /
    • 2000
  • 입술의 돌출을 해소하고자 하는 환자들은 자신의 안모 개선을 안모의 측면보다는 거울로 볼 수 있는 정면을 통하여 느끼는 것이 보편적이다. 안모의 정면에서 평가가 이루어질 때에는 입술이 후방으로 들어간 정도와 함께 입술과 그 주위 조직의 수직적 변화에 의해서도 큰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교정치료 진단이나 치료 후 평가를 위한 측모두부방사선 사진 분석 시 전통적으로 중요시되고 있는 입술의 시상적 이동뿐만 아니라 흔히 간과하기 쉬운 수직적인 변화에 관해서도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입술 돌출을 주소로 내원한, 성장이 완료된 성인 여성 61명을 대상으로 측모두부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여 전치의 후방견인 시 나타나는 입술과 주위 연조직의 수직적 변화를 계단식 다중 회귀분석법을 이용하여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상,하순의 philtrum길이 (SnLs, LiB') 는 전치의 후방견인 후 증가하였고, 상,하순의 vermilion height (LsStms, StmiLi) 와 vermilion length (LsLi) 는 감소하였다. 2. 상,하순의 길이 (SnStms, StmiB')와 연조직의 하안면 고경 (SnMe')은 치료 후 유의성 있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3. 상순의 philtrum길이 증가에 상악 전치의 정출 ${\Delta}U1V$이 가장 큰 영향을 주었으며 하순의 philtrum길이 증가에는 치료 전 overjet이 가장 큰 영향을 주었다. 4. 상,하순의 vermilion height감소에 상순의 두께 감소가 가장 큰 영향을 주었다.

  • PDF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 사용후 측모 변화 및 안정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PROFILE CHANGE AND STABILITY OF TREATMENT AFTER WEARING FACE MASK)

  • 박영철;신자영;유형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20
    • /
    • 1997
  • 골격성 제III급 부정교합은 성장과 연관되어 나타나는 부정교합의 형태로서 성장이 진행됨에 따라 그 심각성이 더해가는 데에 문제점이 있다. 성장기 골격성 제III급 부정교합의 원인은 크게 세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하악의 과성장으로 인한 경우, 상악의 열성장으로 인한 경우, 그리고 이 두가지가 복합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그것이다. 상악의 열성장을 동반한 골격성 제III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성장의 조기에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 장치의 효과 및 측모변화에 대한 연구는 많이 시행되어 왔다. 그러나, 국내외 많은 선학들의 다양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치료 후 측모 변화 및 치료 효과의 안정성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 이다. 이에 본 저자는 상악골 열성장으로 인한 성장기 골격성 제III급 부정교합으로 진단받고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로 치료받은 환자 중 재진단(follow-up)이 가능한 50명(남:18명, 여:32명)의 환자를 선별하여 성별, 치료개시 나이별, 구강내 장치 종류별로 분류한 뒤, 치료후 나타나는 측모 변화 및 치료의 안정성에 대하여 알아보고, 한국인 정상교합아동 20명(남:10명, 여:10명)과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로 치료받은 환자사이에서 성장량에 어떠한 차이가 존재하는지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 사용전과 사용후를 비교한 결과 악안면 골조직과 연조직 및 치아의 계측항목에서 많은 변화량을 관찰할 수 있었다. 2.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와 상악골 급속 확장장치(R.P.E.)를 함께 사용한 군에서는 악안면 골조직의 변화량이 크게 나타났으며 순설측 유지장치 (La-Li)를 함께 사용한 군에서는 치아의 변화량이 크게 나타났다. 3.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 착용기간동안 치료군에서 나타나는 변화량과 정상군의 성장량을 비교하여 보면 상악골 전방성장량이 치료군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4.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 제거후 치료군에서 나타나는 성장 변화량과 정상군의 성장량을 비교하여 보면 상악골 전방성장량에 있어서 치료군의 성장량이 정상군의 성장량보다 적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상악골 전방견인장치를 사용하는 중에는 상악골의 전방성장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으나 전방견인이 끝난 후에는 상악골 성장의 자극효과가 소멸되어 상악골 열성장의 양상으로 되돌아가는 경향을 관찰하였다.

  • PDF

여자 부정교합자의 치료전후 연조직 측모 변화에 관한 두부 방사선학적 연구 (A CEPHALOMETRIC STUDY ON THE SOFT TISSUE PROFILE CHANGES BY ORTHODONTIC TREATMENT IN FEMALE PATIENTS)

  • 박숙규;서정훈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13-130
    • /
    • 1991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soft tissue profile changes by orthodontic treatment in female patients. Traditional cephalometric appraisal yields data of dubious scientific value, the soft tissue profile forms were evaluated by finite element method. The subject was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Angle's classification and each group was composed of 25 female patients averaged aged 12-14 years at the start of treatment. The changes in soft tissue form were evaluated by computing the degree of distortion in each triangle after treatment compared with the triangle before treatment.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1. The soft tissue profile forms were evaluated by finite element method and independent evaluation of each element by local changes was possible. 2. Maximum and minimum principal strains showed marked variability depending on the particular finite element and each group and Class II, III sample was greater than Class I sample. 3. Soft tissue size changes as a result of orthodontic treatment was not related to those of shape. 4. Soft tissue changes by orthodontic treatment were variable in individual patient, and were not related to Angle's classific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