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안관측

Search Result 686,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Comparison of Red Tide Algorithm for Coastal Red Tide Detection (연안적조관측을 위한 적조 알고리듬 비교)

  • 정종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3.04a
    • /
    • pp.280-284
    • /
    • 2003
  • 국내에서는 매년 연안에서 발생하는 적조에 의해 많은 수산자원의 피해를 입고 있다. 이를 방재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이 연구 개발되고 있으며, 원격탐사기법의 활용이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위성자료에 의한 연안해역에서의 적조관측은 시-공간적인 범위에서 많은 제약을 받고 있으며, 이로 인해 위성자료의 분석을 위한 적조 알고리듬은 국내외적으로 제시된 바가 매우 미약하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위성자료에 의해 관측된 적조의 패취를 구분하고 이를 정성적으로 분류해내기 위한 적조 알고리듬을 비교하였다. 특히 시-공간해상력에서 많은 차이를 가지고 있는 Landsat TM, AVHRR, SeaWiFS의 위성자료를 비교하여 관측주기가 다르고 분광해상력에서 차이를 나타내는 이들 위성자료를 이용한 적조 관측 알고리듬의 활용 가능성을 비교하였다.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연안에서 발생한 적조의 공간적 분포를 구분화하고 이를 현장관측 자료와 비교하여 분석결과의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 PDF

Recent changes in springtime discharge and nutrient fluxes to the vicinity of the Korean Peninsula (2012-2021) (봄철 한반도 연안으로 유입되는 하천 유량과 영양염류 유출량 변화량 (2012-2021))

  • Ye Na Kim;Jong Hun Ka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45-145
    • /
    • 2023
  • 육지의 영양염류는 강수를 통해 강을 따라 바다로 흐른다. 연안 수질과 생태계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수계를 통해 연안으로 배출되는 육상 영양염류 유출의 변화를 연구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제한적인 수량과 수질 동시 관측자료로 인해 한반도 연안으로 유입되는 영양염량 변화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내륙에서 주변 연안 지역으로 유출되는 영양염류의 유출량과 그 변화량을 추정 및 분석하고 유출량에 대한 수량과 수질 변화의 기여도를 정량적으로 조사하였다. 2012-2021년 봄철(3-5월)에 한반도 연안 주변의 75개의 하천 지점에서 측정된 수질 농도 및 유량 관측 데이터와 한반도 연안 375지점에서 측정된 해양 수질 농도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더불어 22개의 해안지역 하천 유량 관측소와 근접한 수질 관측자료를 통해, 총 질소(TN), 총 인(TP), 클로로필a의 봄철 영양염류 유출 총량을 추정하고 그 변화량을 평가하였다. 그리고 영양염류 유출 변화량을 모델 수식으로 분해하여 유출 총량 변화량에 대한 하천 유량과 영양염류 농도 변화의 상대적인 기여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연간 봄철 TN, TP, 클로로필a 유출 총량의 변화율이 영양염류의 농도 (각각 19%, 48%, 5%)보다는 하천 유량 (각각 84%, 51%, 91%)에서 더 많은 영향을 받았음을 보여주었다. 한반도 연안을 서해, 남해, 동해로 나누어 영양염류 유출 총량을 분석한 결과, 한반도 전체 유출량에서 서해의 가장 큰 기여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한반도 내륙에서 유출된 영양염류 총량이 연안의 수질에 끼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내륙 하천과 연안의 수질 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여 간접적으로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분석적인 접근을 통해 하천과 연안 수질 환경에서 수문학적인 연결고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영양염류 유출 변화가 해안에 서식하는 생태계와 양식산업 생산성에 미치는 잠재적인 영향을 강조하였다.

  • PDF

Examination of the Ground Remote Monitoring System for Coastal Environmental Elements - Marine Radar and Camera System - (연안 환경 요소에 대한 지상 원격 관측 방법 고찰 - 마린 레이다와 카메라 시스템 관측을 중심으로 -)

  • Kim, Tae-Rim;Jang, Seong-Woo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27 no.4
    • /
    • pp.403-410
    • /
    • 2011
  • Consistent observation with high temporal and spatial resolution is required for an efficient monitoring of coastal environments. Remote monitoring system installed on the ground is capable of simultaneous observation of wide coastal area and consistent observation with high frequency, which a small number of in-situ measurements cannot manage. This paper studies two typical ground based coastal monitoring system, marine radar and camera system. Marine radar can produce time series of frequency spectrum by integrating wave number spectrum calculated from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 of waves in the radar image. The time averaged radar images of waves can analyze wave breaking zone, rip currents and location of littoral bars. Camera system can observe temporal variation of foam generation originated from coastal contamination as well as shoreline changes. By extracting the part of foams from rectified images, quantitative analysis of temporal foam variation can be done. By using the two above systems of different characteristics, synergetic benefit can be achieved.

The Validation of chlorophyll-a band ratio algorithm of coastal area using SeaWiFS wavelength (SeaWiFS 밴드역에 의한 연안해역의 엽록소 밴드비율 알고리듬 검증)

  • 정종철;유신재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16 no.1
    • /
    • pp.37-45
    • /
    • 2000
  • Since being launched for ocean observing in 1997, the SeaWiFS sensor has supplied data on ocean chlorophyll distribution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of the atmosphere. Until now, a lot of SeaWiFS data have been archived and utilized for ocean monitoring and land observation. The SeaWiFS sensor has 1km spatial resolution,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obtain data at the coastal zone. Since atmospheric correction algorithms at the coastal area have not been confirmed for chlorophyll algorithm, the ocean color data analysis for coastal zone is not common. In particular, domestic coastal areas have high suspended sediments concentrations and higher absorption influence of colored dissolved organic matter (CDOM), released from in-land, than open-sea. Thus, a useful algorithm for analysis of chlorophyll distribution in domestic coastal areas has not been developed. In this study, empirical algorithms, using data from the ocean color sensor, were developed for monitoring of chlorophyll distribution of coastal areas. In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the algorithms, we can find that the red band (665nm) should be used for analyzing of domestic coastal areas near the Yellow Sea.

한국연안의 이상고수온과 저수온 주기현상

  • 서영상;황재동;장이현;강용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05a
    • /
    • pp.208-209
    • /
    • 2000
  • 국립수산진흥원에서 관측한 한국 주변 13개 연안관측점의 29년간(1969-1997) 월별 표면수온자료에 대한 통계분석을 통하여 한국연안의 이상고수온과 저수온 주기현상과 지역적 상관관계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중략)

  • PDF

Positive correlation water temperature increase with thermal front retrogression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남해 연안수의 수온상승과 수온전선 후퇴와의 상관성)

  • Kim, Yeong-Taek;Lee, Ho-Jeong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4a
    • /
    • pp.122-123
    • /
    • 2010
  • 2000~2009년 동안 격월로 관측한 수온 관측 자료를 분석하여 표층 수온이 10년 동안 약 $1{\sim}1.9^{\circ}C$ 상승하는 경향을 관찰하였다. 상승폭이 해역마다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부산해역은 약 $1.5^{\circ}C$, 여수해역은 약 $1.7^{\circ}C$, 제주북부에서도 약 $1.7^{\circ}C$의 상승폭을 보임으로서 남해 동쪽보다는 서쪽해역의 상승폭이 약간 높게 나타났다. 남해 연안수의 평균 수온이 증가하는 추세경향으로 미루어 볼 때 남해 수온전선이 약해지게 되어 결과적으로 연안쪽으로 밀릴 것으로 추정된다. 제주도 모슬포는 약 $1.9^{\circ}C$ 가 상승하였으며 제주도 성산포는 2004~2009년 동안 약 $1.2^{\circ}C$ 상승하는 추세를 보였다. 이와 같은 수온의 변동성은 조위관측소에서 관측된 수온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데 부산은 $0.2^{\circ}C$/8년, 여수 $0.4^{\circ}C$/10년, 제주북부는 $1.5^{\circ}C$/10년, 모슬포와 성산포는 $1^{\circ}C$/6년, 서귀포는 $1.7^{\circ}C$/8년 상승폭을 보인다. 조위관측소의 수온 상승폭보다 한국연안해류조사의 수온 상승폭이 약간 높게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관측소의 위치가 해안가에 있는 반면 연안해류조사는 선박을 이용하여 외해쪽에서 수온을 관측하기 때문에 고온 고염의 대마난류(Tsushima Warm Current) 영향을 더 많이 받았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해수의 수온 상승 현상은 증가율이 약간 낮기는 하지만 50m 수심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부산해역, 여수해역, 제주북부 해역은 모두 약 $1.2^{\circ}C$의 상승폭을 보였으며, 제주도 성산포는 약 $1.1^{\circ}C$인 반면, 모슬포 해역에서는 약 $1.5^{\circ}C$로 상승추이가 크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남해 연안수가 표층과 저층에서 동반 상승했다는 것은 대마난류의 세력이 강해졌다는 것을 보여주는 지시자(indicator)로서 최근 제주도와 남부지방의 기후온난화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상승률은 관측기간이 길어질수록 작아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남해의 물리적 특성 변화를 보다 명확히 규명하기 위해서는 좀 더 장기적인 자료가 필요하다.

  • PDF

Analysis of Coastal Wetalnd NDVI using High Resolution Satellite Data (고해상도 위성자료를 이용한 연안습지 식생지수 분석)

  • Jeoung, Jong-Chul;Yong, Yoo-Hong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7.03a
    • /
    • pp.37-40
    • /
    • 2007
  • 대규모 연안개발은 연안지형의 변화와 함께 다양한 식물상의 변화를 만드는 원인이 되고 있다. 때문에 시화방조제, 새만금방조제, 남양만 방조제 등의 대규모 방조제 공사 이후에 연안갯벌에서 나타나는 식물상의 변화를 관측하는 것은 연안습지환경의 변화를 분석하는 중요한 척도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아리랑 2호 의 고해상도 자료를 바탕으로 연안습지의 지형변화에 따라 나타나는 생물상의 식생지수를 분석하고 이들의 시-공간적변화가 연안지형의 특성과 공간규모의 대칭적 특성을 나타내고 있음을 제시하였다. 특히,중급해상도에 의해 분석되었던 식생지수를 고해상도 위성관측 자료와 현장조사 자료를 비교하여 이를 검증하였다.

  • PDF

Hydrographic Observations around Korean Peninsula: Past, Present and Future (한반도 주변의 해양관측:과거, 현재, 미래)

  • 한상복
    • 한국해양학회지
    • /
    • v.27 no.4
    • /
    • pp.332-341
    • /
    • 1992
  • 한반도 주변의 정규적인 해양관측 효시는 1910년대로부터 시작된다. 1915년 6월부 터 원산, 부산 등 12개 항구의 중앙부에서 10일 간격으로 해양관측이 시작되었으며, 1916년 7월부터는 거문도 해야 어청도 등 10개 등대관측소에서 연안정지관측을 역일로 시작했고, 1917년 5월부터 정선해양관측이 이루어 졌는데 이들은 총독부 수산과에서 수산시험조사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되었고 1921년부터 총독부수산 시험장에서 이들을 더욱 발전다. 1930년대에는 정선해양관측이 매월 초순 각 도별로 수항되어 가장 훌륭 한 관측결과가 생산되었다. 1961년부터는 항구관측을 폐지하고 연안정지관측과 정선해 양관측만 이루어 지고 있으며 해양조사선을 20여개로 수정하여 2개월마다 조사에 임하 고 있다. 이들은 기본적으로 해양생물자원의 경제적 획득에 목적을 두고 있으나 자료 를 널리 공개하여 전세계의 어느 해양연구자들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1960년 부터는 우리 나라 연안의 조석관측도 연속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1990년 현재 21개 정 선해양관측자료와 42개의 연안정지관측자료, 매일의 표면수온분포도 21개의 평균해면 자료가 공개적으로 이용가능하다. 앞으로 유명한 연구소일수록 해양관측자료를 공개하 여 공동이용할 수 있어야 하며 해양관측의 활성화를 위해 첫째 해양관측기구를 소모품 으로 취급할 것이 요구되고, 둘째 관측선 요원의 정당한 처우가 이루어져야 하며, 셋 째 세계적인 해양조사 사업은 국가기관에서 더욱 성실히 수행될 수 있도록 여건을 조 성할 필요가 있다. 과거에는 어업활동을 위해 해양조사가 현재에는 기후변동연구에 중 요한 자료로도 이용되고 있으므로 우리는 우리주변의 해양관측을 미래학문의 기초자료 로 끊임없이 수행해야 할 중차대한 임무를 지니고 있다.는 대체로 Weddell Sea쪽에서 남동쪽으로 가면서 증가하며, 영 양염 농도가 낮은 얼음 녹은 물의 유입이 얼룩소 a의 농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사료 된다.되어, 경기만에서 출현하는 식물플랑크톤이 서해 중동부 연안수역에서 출현하는 식물 플랑크톤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광에 적응되어 있었다. the most important in the global optimum analysis because small variation of it results in the large change of the objective function, the sum of squares of deviations of the observed and computed groundwater levels. 본 논문에서는 가파른 산사면에서 산사태의 발생을 예측하기 위한 수문학적 인 지하수 흐름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 모델은 물리적인 개념에 기본하였으며, Lumped-parameter를 이용하였다. 개발된 지하수 흐름 모델은 두 모델을 조합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비포화대 흐름을 위해서는 수정된 abcd 모델을, 포화대 흐름에 대해서는 시간 지체 효과를 고려할 수 있는 선형 저수지 모델을 이용하였다. 지하수 흐름 모델은 토층의 두께, 산사면의 경사각, 포화투수계수, 잠재 증발산 량과 같은 불확실한 상수들과 a, b, c, 그리고 K와 같은 자유모델변수들을 가진다. 자유모델변수들은 유입-유출 자료들로부터 평가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Gauss-Newton 방법을 이용한 Bard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서울 구로구 시흥동 산사태 발생 지역의 산사면에 대하여 개발된 모델을 적용하여 예제 해석을 수행함으로써, 지하수 흐름 모델이 산사태 발생 예측을 위하여 이용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imple DGPS for the Coastal Survey (연안 해양 관측을 위한 간역 DGPS 개발 연구)

  • 이상룡;문동준;전호경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8 no.1
    • /
    • pp.10-17
    • /
    • 1996
  • A real time simple DGPS (SDGPS) for coastal survey is developed and in situ tested. While the accuracy of the system is almost the same as that of existing commercially available DGPS, it is very economical compared to the commercial ones. The RMS error of the positions fired by the system is estimated to be less than 2 m within the range of 30 km from the reference station. Even if the coordinates of the reference station are uncertain, they can be fixed, from the continuous GPS observation of one day, with the maximum error less than 1 m. The system is believed to be helpfully utilized to most of coastal surveys despite of some minor defects.

  • PDF

안목항 방파제 건설로 인한 연안 토사 이동경향의 변화

  • 김인호;이정렬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490-495
    • /
    • 2004
  • 안목항의 방파제 확장 건설로 인하여 항남측에 심각한 침식현상이 광범위하게 발생하고 있는 데 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현재 주변 해안선 변형 현상을 기초로 연안 표사 이동(littoral drift)도를 정성적으로 작성하였으며 수치 모형실험을 통하여 상세할 표사이동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수치모형 실험은 파랑 변형 및 해빈류 예측 모형인 WADEM-P, DISEM-R로 수행되었다. 항 내 매몰 및 하천 폐색을 근본적으로 해결하면 해안선 침식문제를 완화 시 킬 수 있는 장치로서 모래운송장치(sand transfer)의 필요성이 언급되었으며 앞으로 연안 표사량이 많은 동해안에서의 항만 건설시 꼭 필요한 부대장치임을 강조한다. 또한 주기적인 연안관측 프로그램을 수립하여 연안 표사량 및 해안 침식율을 산정한 후 모래이송장치의 설치 여부 및 그 규모를 판단할 필요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