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신사

Search Result 36,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Development of High Sensible Fabrics Using Worsted Yarn Drawing Technology (소모사 연신기술 이용 고감성 직물 개발)

  • 김승진;박경순;김진학;정기진;강지만;서옥교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14-18
    • /
    • 2003
  • 국내 소모방 업체는 원료를 외국에서 수입하고 있기 때문에 wool 원료를 이용한 고감성 고기능성 제품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기존 제품은 국제 가격 경쟁력을 상실한 상태이므로 물성개전과 기능성을 향상시킨 획기적인 소재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호주의 CSIRO 연구소에서 개발된 $\ulcorner$Optim$\lrcorner$$^{(R)}$ 은 광택이 뛰어난 모섬유 소재로서 국내에서 수입되어 고감성 의류용 직물로서 상품화가 되고 있다. 그러나 원료가격이 고가인 관계로 원료수금이 원활치 못한 실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생산원가가 저렴하며 50%까지 연신함으로써 광택은 물론 물세탁이 가능한 기능성을 부여할 수 있는 방적 소모사 상태에서 연신하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최적 공정 조건을 결정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고 이들 소모사를 이용한 직물의 의류물성을 분석하여 소모사 상태에서 연신기술을 응용한 광택이 우수한 고감성 직물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 PDF

The Characteristic of Dyeing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Draw Textured Yarn with High Oriented Yarn (고속방사소재 가연사의 물성 및 염색 특성)

  • Kim, Su-A;Lee, Min-Su;Kang, Ji-Man;Lee, Jun-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12.03a
    • /
    • pp.86-86
    • /
    • 2012
  • 고속방사소재는 연신공정이 없이 6,000m/min이상의 고속방사공정만이 있으므로 원가절감이 되고, 빠른 냉각, 높은 변형속도 등으로 섬유의 결정화도, 분자와 결정의 배향 및 모폴로지(morphology) 변화 등의 기계적 및 섬유상의 특성이 종래의 원사와는 다르게 된다. 방사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배향도가 증가하면서 결정영역 또한 증가한다. 또한 기존 연신사에 비해 큰 결정크기를 갖는데 방사속도에 에 따른 방사응력의 증가가 응력유도 결정화도를 유발하여 결정크기 및 결정화도를 증가시키고,따라서 고분자의 용융점도를 고온측으로 이동시키는 현상을 나타내게 한다. 즉, 고속방사에 있어서는 연신에 필요한 임계응력 이상의 과도한 응력이 가해짐으로 인해 결정구조가 일반 연신사에 비해 현저히 발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고속방사 원사를 통일한 조건으로 염색하는 경우 기존의 연신사보다 염착량이 많아 농색으로 염색이 가능하고 염착속도도 빠른 특징을 갖는 데이는 고속방사 원사의 비결정 배향이 낮고 느슨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염료의 침투가 용이한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PET 섬유는 방사 후 형태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염색 전처리 공정에서 열을 가하게 된다. 이런 과정에서 섬유의 미세구조가 변하게 되는데,특히 고속방사의 경우 섬유 형성과정이 연신사와는 다르므로 열에 의한 구조 변화와 이에 따른 염색성 변화에 대해 검토해 보는 것은 고속방사의 응용면에서 꼭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고속방사소재의 가장 단점인 잔류신도, 저수축현상, stiff감을 보완하면서 고속방사소재의 장점인 심색성을 부각시켜 차별화된 복합사 제조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그 기술개발이 기초 연구로서 일반 일반 DTY사와 고속방사소재인 HOY사를 이용한 DTY사의 물성 및 염색 특성을 비교분석 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High Sensible Fabrics Using Worsted Yarn Drawing Technology (소모사 연신기술 이용 고감성 직물소재 개발)

  • Kim, Seung-Jin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0 no.4
    • /
    • pp.623-629
    • /
    • 2007
  • Recently, the $"Optim"^{(R)}$ which is the wool fibre with high lustre developed by CSIRO in Australia is imported and commercialized as a high sensible fabrics for garment. But the price of this $"Optim"^{(R)}$ fibre is very high so material demand and supply is not smooth. This study is aiming to develop the drawing technology of the worsted yarn with washable function, lustre and low production cost. For this purpose, drawing yarns are made using developed drawing machine and high sensible fabrics are woven using this yarns, and various physical properties of the fabric specimen are measured and analysed with garment characteristics such as sewability and formability. The final objective of this study is seemed to be achieved by making the high sensible fabrics using drawing worsted yarns with high lustre such as $"Optim"^{(R)}$ fibre.

  • PDF

A Study on the Manufacture of Polypropylene Split Yarn and Tensile Property of Its Woven Fabric (폴리프로필렌 스플리트사의 제조와 이를 이용해 제조한 제직포의 인장특성 평가)

  • 박태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2003.04a
    • /
    • pp.126-129
    • /
    • 2003
  • 폴리프로필렌(PP) 필름사는 크게 스플리트사(split yam)는 슬리트사(slit yarn)로 구분된다. 이러한 PP 필름사의 제조공정은 필름압출와 연신공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고도로 연신되고 가공되기 때문에 전형적인 멀티필라멘트사 제조공정과 비교하여 압출공정이 간단하고 소규모로도 가능하므로 경제적이라 할 수 있다[1-3]. 스플리트사는 슬리트사 제조공정에서 연신과정에 새로이 해섬장치를 부착하여 기계적으로 슬리트된 필름사를 일정한 기하학적 구조로 미세화하여 제조한다[2]. (중략)

  • PDF

The Crystal 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ick & Thin yarn According to Production Condition (제조조건에 따른 태세사(Thick & Thin yarn)의 구조와 물성)

  • Park Myung Soo
    • Textile Coloration and Finishing
    • /
    • v.17 no.3 s.82
    • /
    • pp.43-48
    • /
    • 2005
  • 시료는 POY사 104/192로 Draw-Winder(독일, Zinser)를 이용하여 기존의 태세사 제조장치의 부분적인 개조를 통하여 길이방향으로 강제적인 태세사가 형성되도록 하는 제조기술을 이용하여 Thin-thick yam(T&T사) 6종류를 제조하였으며 제조 조건에 따른 구조변화와 물성에 대하여 연구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다. 결정화도의 변화는 Draw-winder의 R2 roller 온도가 상온인 경우보다 $100^{\circ}C$인 경우가 높게 나타났으며 태세사의 세(thin)부분의 복굴절률은 연신비가 높고 Draw winder의 roller(R2)의 온도가 높을수록 복굴절 값은 선형적으로 증가하였다. T&T사 제조시 연신 온도가 상온인 경우는 Thin부분만 연신이 진행되고 Thick 부분은 원사인 POY사의 성질이 그대로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R2 roller 온도가 상온에서 제조된 시료의 초기탄성률은 약1.5-2.0kgf/denier 정도로 높게 나타났으나 $100^{\circ}C$로 제조된 시료는 약 0.2-0.8kgf/denier 정도로 낮게 나타났다.

Study on development of Nylon6 high bulky yarn (나일론6 권축사 개발에 관한 연구)

  • Sim, Seung-Bum;Son, Hyun-Sik;Choi, Kwang-Seok;Kim, Dae-Yung;Park, Myu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11.03a
    • /
    • pp.94-94
    • /
    • 2011
  • 스포츠웨어 바람막이용도에 사용되는 대부분의 소재는 폴리아미드계 소재이며, 국내에서는 대부분 나일론6 소재를 사용하고 있다. 최근 소비자들의 요구는 점점 경량화되고 있고 야외활동 증가와 더불어 착용감이 우수한 소재를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시즘에 국내에서 많이 사용되는 나일론6 소재를 이용하여 직물단계에서 경량감과 스트레치성이 발현될수 있는 나일론6 세섬 권축사 개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에서는 직물단계에서 경량감과 스트레치성이 발현될수 있는 나일론6 세섬 권축사 개발을 위해 공중합 나일론6 폴리머와 일반 나일론6 폴리머를 복합방사설비를 이용하여 SIDE BY SIDE POY 26d/6f 원사를 제조하였다. 원사물성은 섬도 25.8d, 절단신도 71%, 절단강도 4.3g/d의 물성을 가졌으며, Nip Belt 가연설비로 연신비, 가연 1st 히터온도, 벨트각도 조건에 따라서 제조된 나일론6 가연사 DTY 20d/6f의 물성을 평가하였고, 비교사로서 T사에서 생산되고 있는 나일론6 가연사 DTY 20d/6f와 비교평가하였다. 비수탄성율은 가연 연신비가 높고, 1st 히터온도가 높은 조건에서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으며, 염색 가공 공정에서의 전처리단계에서 $100^{\circ}C$정도의 열을 받았을 때의 수축에 따른 권축효과 발현에 따른 신축성 변화에 대한 상대평가를 사단계에서 유추할 수 있다. 권축효과가 높게 나타난다 하더라도, 사의 수축힘이 적으면 권축효과 발현특성에 큰 차이가 없으므로 열응력을 측정을 한 결과, 가연 연신비가 높고 가연 1st 히터온도가 높은 조건에서 열응력이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으며, 비교사에 비해 약간 높은 열응력 값을 보였다. 절단강도는 가연조건에 따라서 큰 변화가 없었고, 절단신도는 연신비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으며 비교사와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음. 따라서, POY 26d/6f 원사에 적합하고, 권축효과가 우수한 가연조건을 도출하였고, 가연현장 작업시 문제가 없는 가연 최적조건을 도출하였다. 향후, 가연조건에 따른 제조된 가연사를 이용하여 제직 및 염색가공 공정을 거친후, 직물신축성 평가를 실시할 계획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