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속적층방식

Search Result 6,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A study on application techniques in design phase of applying a crossing stacking method of modular housing (모듈러 저층집합주거의 교차적층방식 설계 적용기술 연구)

  • Jun, Young-Hun;Lee, Young;Kim, Kyoon-Ta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Conference
    • /
    • 2014.11a
    • /
    • pp.81-82
    • /
    • 2014
  • Modular housing has many advantages such as economy, flexibility and reusability. The domestic modular housing of a continuous stacking method has been built in military facilities, and dormitories. However, there is a limit to present diversity of low-rise multi-family housing. A cross stacking method is a way to pursue diversity of that but there is a difficulty to apply it owe to lack of cases and related technologi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pplication techniques in design phase of applying the crossing stacking method in advance.

  • PDF

RP model decomposition algorithm for making 3D layer (3D layer 생성을 위한 RP 모델 분할 알고리즘)

  • 이재호;박준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724-727
    • /
    • 2000
  • Rapid Prototyping(RP)이란 3차원 솔리드 모델을 단면화한 뒤 하나씩 적층하는 가공방식을 총칭한다. 이때 단면화하는 방법에 따라서 uniform, adaptive slicing으로 나뉘며, 입력 모델에 따라서 direct slicing과 STL을 이용한 방식으로 나뉜다. 적층 방법에 따라서는 연속된 2D 윤곽을 기반으로 적층하는 vertical layer 방식과 인접한 두 개의 2D 윤곽들을 연결하며 만들어진 3D layer를 기반으로 가공하는 sloping layer방식으로 나뉠 수 있다. 현재 상용 RP 시스템들에서는 거의 모든 경우 vertical layer 방식이 채택되어 사용되고 있다. RP와 절삭 공정, 예를 들면 CNC 밀링의 장점을 효율적으로 결합하기 위해서는 임의의 복잡한 형상을 갖는 솔리드 모델을 정밀도에 제한이 없이 제조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절삭 공정은 특별한 전문적 지식들을 필요로 한다 또한 상용 RP에서 사용하는 순차적인 적층 작업으로는 가공할 수 없는 형상들이 많다. 대표적인 것으로 지지대를 필요로 하는 형상들이 있다. 이러한 형상들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3D 형상을 절삭 가능한 형식으로 분할하는 것과 적층 가능한 순서대로 공정 계획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SDM에서 제시된 3D 분할 방법이 솔리드 모델을 기반으로 전개되어 STL file과 같은 삼각다면체 형식으로 근사화된 모델에 적용하기 어렵다는데 착안하여 STL file에서 읽어들인 삼각 다면체 모델을 가공 가능한 3D 형상으로 분할하는 알고리즘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dsorption Properties of Nickel ion from Plating Rinse Water Using Hybrid Sulfonated Bead and Fibrous Ion Exchanger (설폰산형 비드와 섬유 혼성체를 이용한 도금수세수 중의 니켈 흡착 특성)

  • 황택성;조상연
    • Polymer(Korea)
    • /
    • v.27 no.1
    • /
    • pp.61-68
    • /
    • 2003
  • In this study, we have investigated the preparation of mixed bead and fiber type hybrid ion-exchanger for recovering nickel ion from plating rinse water. There was little dependence of adsorption capacity for nickel ion on the mixing ratio of resin type and fiber type of ion exchangers. However, it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resin content in the mixed bed. It was shown that the data Langmuir and Freundlich's adsorption isotherm model were well fitted to the linear. Affinity between the functional groups in the ion exchanger and nickel ion in the process was confirmed. The pressure drop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number of stage in the multistage bed, but it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resin content in the mixing bed. The initial breakthrough time in the multistage bed was short due to the increase of number of stage in the continuous process. It was found that the final breakthrough time of the multistage bed was little changed. The breakthrough time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amount of fibrous ion exchanger in the mixed bed. The maximum adsorption capacities of the mixed and multistage beds were 2.51 meq/g and 2.69 meq/g, respectively. The desorption time for the nickel ion with $1N H_2SO_4$ solution was lower than 10 minutes and the yield of desorption was greater than 98 percent.

High Temperature Properties of Cement Mortar Using EVA, EVCL Redispersible Polymer Powder and Fly Ash (EVA, EVCL 분말수지와 플라이애시를 혼입한 시멘트 모르타르의 고온특성)

  • Song, Hun;Shin, Hyeonuk
    • Journal of the Korean Recycled Construction Resources Institute
    • /
    • v.6 no.4
    • /
    • pp.365-372
    • /
    • 2018
  • 3D printing technology of construction field can be divided into structural materials, interior and exterior finishing materials, and is mainly done by extruding and adapting. Particularly when it is applied as an exterior materials, it is mainly applied to an unstructured exterior materials and high accuracy is required. The exterior materials can be used as a cement composite materials, it is suitable also for a additive type manufacturing, and the role of a redispersible polymer powder is important. But, high temperatures, redispersible polymer cement base material beget dehydration and micro crack of cement matrix. In this research, we developed a EVA, EVCL redispersible polymer cement base material applicable as a 3D printing exterior materials, confirmed density and strength characteristics for application as an exterior materials, a flame retardancy test for improving the fire resistance of buildings and confirmed its possibility. From the test result, developed EVCL redispersible polymer cement mortar showed good stability in high temperatures. These high temperature stability is caused by the ethylene-vinyl chloride binding. Thus, this result indicates that it is possible to fire resistant 3D printing interior and exterior finishing materials.

Elucidating the Optoelectronic Properties of Metal Halide Perovskites (페로브스카이트 소재의 광전자 특성 분석)

  • Lee, Wonjong;Choi, Hajeong;Lim, Jongchul
    • Prospectives of Industrial Chemistry
    • /
    • v.24 no.5
    • /
    • pp.1-14
    • /
    • 2021
  • 유무기 하이브리드 금속-할라이드계 페로브스카이트(organic-inorganic metal halide perovskite) 페로브스카이트 반도체 소재는 광전자 소자와 소재 연구에 새로운 연구 흐름을 만들고 있다. 태양전지 성능이 불과 과거 몇 년 사이의 짧은 연구 기간에도 불구하고, 광-전 변환 소자 중에서도 단일 소자와 적층 소자(tandem)에서 높은 광-전 변환 효율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이러한 급격한 연구 성과와 성장에도 불구하고, 페로브스카이트 소재의 다양한 광전자 특성의 평가와 결과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특히 내부 이온 이동이 광전자 원거리 이동 특성 평가와 해석에 영향을 주는 경우, 페로브스카이트 소재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광전자 소자의 성능 향상과 해석에 여전히 모호함을 준다. 달리 얘기하면, 이 소재의 기초 특성을 이해하고자 적용하는 다양한 기존 특성 평가 분석법의 활용과 해석에도 복잡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페로브스카이트 소재 내에서 광전자 원거리 이동을 측정하는 새로운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첫 번째 방법으로, Quasi-steady 상태에서 광전도도를 전기적 특성으로 측정하고, 광조사 하에 투과 및 반사를 광학적으로 측정하여, 전도도와 광전자 밀도를 동시에 평가하는 방법으로, photo-induced transmission and reflection (PITR) 분광분석법이다. 이 분광분석법은 실제 소자의 구동조건을 구현한 상태에서 광전자의 원거리 이동에서 발생하는 광전자 밀도 변화를 반영한 광전자 이동도 특성 평가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두 번째 방법으로, 기존의 연속 전압 인가 방법 대신 펄스형 전압 인가 방식을 도입하는 방법으로, pulsed voltage space charge limited current (PV-SCLC) 분석법이다. 이는 펄스형 전압 인가 방법으로 이온의 이동을 최소화하여, 전류-전압 측정에서 히스테리시스가 없고 측정결과의 재현성과 신뢰도가 매우 높은 장점이 있다.

The study of Rolled Steel Process Wastewater by Superconducting High Gradient Magnetic Separation (초전도 마그네트를 이용한 고구배 자기분리 열연강판 폐수처리에 관한 연구)

  • Kim, Tea-Hyung;Ha, Dong-Woo;Oh, Sang-Soo;Kim, Ho-Sup;Ko, Rock-Kil;Kwon, Jun-Mo;Lee, Nam-Jin;Kim, Young-Hun;Kang, Chae-Hun;Ha, Tae-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9.05a
    • /
    • pp.11-11
    • /
    • 2009
  • 종래의 산업폐수 처리기술로는 중금속 함유 폐수에 수용성의 금속염을 첨가하여 가성소다 혹은 소석회를 이용하여 pH를 조정하고 고분자 응집제를 첨가하여 금속의 수산화물을 생성시켜 이를 부상 혹은 침전시켜 Sludge화하여 제거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 외 질소, 인, 유기물이 함유된 폐수의 경우에는 Biological Oxidation Techniques, 활성탄 흡착방식이 주로 채택되고 있다.[1-3] 이러한 폐수처리기술은 화학약품 사용량이 과다하고 이는 Sludge 생성량을 증대하고 2차 폐수처리가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고, 처리장이 면적이 넓어야 하고 대용량의 Sludge 제거창치가 필요하여 고비용의 처리공정으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2-3]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존 기술의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고 기존 기술로는 완벽하게 처리하기 곤란한 악성 폐수들에 대한 새로운 고도처리기술로 초전도 마그네트를 이용한 고구배 자기분리기술에 대한 기초연구를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고구배 자기분리 시스템은 무헬륨 전도냉각방식으로 자기분리를 위해 사용한 필터는 SUS 430 재질의 메쉬 형태로 제작하여 실험하였다. 또한, 자기분리 처리를 위한 전처리 공정으로는 응집제를 첨가하여 자기분리 효율을 높이고자 하였다. 자기분리 처리대상수로는 포항제철에 압연 강판에 사용되는 냉각수를 대상으로 자기분리 처리에 대한 효과를 실험하였다. 또한, 자기분리에 대한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강자성의 $Fe_3O_4$ 미세자성분말을 첨가하여 처리수내의 들어있는 유기물질에 대해 자기분리 자장 및 유속에 대한 처리효율을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자기분리 처리는 1~6 Tesla에서 자기필터는 디스크 형태로 다층으로 연속적으로 적층하였으며, 처리유속은 1~4 l/min으로 하였다. 고농도인 처리폐수를 자가분리 인가 자장에 따라 처리하여 고농도에서는 70%, 저농도에서는 98 %까지 처리되었다. 또한, 자기분리용 필터는 SUS 430 재질의 mesh 망을 사용하였으며 인가자장 및 유속변화에 대한 실험 결과 탁도 및 농도는 필터 크기의 영향은 거의 차이가 없었으며 단지 인가자장 및 유속에 따라서 지수적으로 감소하였다. 자기분리된 용액 내 $Fe_3O_4$ 입도 분석 결과 자기분리 이전에 분포하던 $10\sim20\;{\mu}m$의 입자는 거의 제거되었으며 2 ${\mu}m$ 이하의 입자들은 실험 횟수에 따라 점점 직경이 작은 쪽으로 분포가 좁아졌으며, 마그네타이트의 자화율을 분석한 결과 약 0.8 Tesla에서 포화 되었으며 처리수의 탁도 및 농도가 자장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