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소 면적

Search Result 224,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Fracture Toughness Evaluation of a Solid Propellant Considering Viscoelasticity (점탄성을 고려한 고체추진제의 파괴인성 평가)

  • Ha, Jaeseok;Kim, Jaehoon;Jung, Gyoodong;Park, Jaebeom;Yang, Hoyoung;Seo, Bohwi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17 no.2
    • /
    • pp.57-62
    • /
    • 2013
  • A crack in a solid propellant increases the area of burning surface, which leads to excessive burning that causes motor failur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valuate fracture toughness of solid propellants.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measure fracture toughness of solid propellants because of the nonlinear mechanical behavior. In this study, evaluation of fracture toughness on a solid propellant was carried out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solid propellant is a linear viscoelastic material. Actual displacements from fracture toughness tests using CCT specimens were converted into pseudo-elastic displacements by using stress relaxation characteristics and fracture toughness was evaluated using ASTM E399 standard. Also, effects of test temperature and speed on the fracture toughness were considered.

Implementation of IoT Application using Geofencing Technology for Mountain Management (산악 관리를 위한 지오펜싱 기술을 이용한 IoT 응용 구현)

  • Hyeok-jun Kweon;Eun-Gyu An;Hoon Kim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 /
    • v.27 no.3
    • /
    • pp.300-305
    • /
    • 2023
  • In this paper, we confirmed that an efficient sensor network can be established at a low cost by applying Geofencing technology to a LoRa-based sensor network and verified its effectiveness in disaster management such as forest fires. We detected changes through GPS, gyro sensors, and combustion detection sensors, and defined the validity size of the Geofencing cell accurately. We proposed a LoRa Payload Frame Structure that has a flexible siz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ensor information.

축소 노즐에서의 슬롯 막냉각 열전달 특성에 관한 연구

  • 조용일;조형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0.04a
    • /
    • pp.33-33
    • /
    • 2000
  • 고온의 연소가스로부터 노즐 표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슬롯을 통하여 냉각 유체를 분사하는 슬롯 막냉각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냉각효율 및 열전달 특성은 주유동과 2차 유동의 분사율에 따라 크게 달라지며, 형상변화 및 유동가속에 의해서도 냉각 효과의 변화를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험을 통하여 면적비가 16:1인 축소노즐에서 압축성 효과를 배제할 수 있는 유동속도 범위 내에서 분사율 변화(0.5 $\leq$ M $\leq$ 3.0)에 따른 슬롯 막냉각 열전달 특성을 고찰하고, 평판 슬롯 막냉각 경험식의 결과와 비교하였으며, 수치해석을 통하여 축소노즐과 원형관에서의 냉각효율 및 열전달 특성을 비교함으로서 이를 검증하였다. 축소노즐에서의 슬롯 막냉각 열전달 특성은 단열벽면조건을 형성하여 노즐 표면을 따라 설치된 열전대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상대적으로 낮은 분사율(M=0.5, 1.0)에서 분사율 증가에 따른 냉각효율의 증가가 크게 나타났으며, 분사율이 높아짐(M $\geq$ 2.0)에 따라 냉각효율의 증가폭이 점점 감소하고, 일정 분사율 이상에서는 냉각 효율의 증가가 크게 둔화되었다. 분사율이 낮을 경우 평판 슬롯 막냉각 경험식으로 주어진 결과보다 상류에서는 높으나 하류로 진행하면 비슷한 냉각효율을 보였고, 분사율이 높은 경우 평판보다 전 범위에서 약간 높은 냉각효율을 나타냈다. 수치해석 결과에서는 분사율이 낮을 경우 축소노즐의 냉각효율이 원형관에서의 냉각효율 보다 낮거나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분사율이 높아짐에 따라 축소노즐에서의 냉각효율이 오히려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타내었다. 액체 제트의 속도는 처음에는 일정하게 유지되다가 운동량을 보존하기 위해 가스로부터 운동량을 받아 점차 가속되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본 규격은 키, 총장, 어깨길이, 등길이, 머리길이, 머리둘레, 진동둘레, 목둘레, 가슴둘레, 허리둘레, 배둘레, 엉덩이둘레, 앞품, 뒤품, drop치를 포함하고 있고, 각 규격에서 호칭간 치수 간격도 함께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 결과에서 보듯, 현행 8규격의 무진복의 각 호칭간 적정 허용범위를 고려해 합리적인 치수체계를 정립한다면 치수에 대한 적합도가 상당히 증가할 뿐 아니라 생산비용도 상당히 감축할 것으로 생각된다.나타났다. 4) 호감적 서비스능력 차원에서 세 독립변수간에 유의한 3원 상호작용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나( $F_{2,228}$=15.62, P<.001) 20대에 적합한 의복 착용시( $F_{2,228}$=3.98, P<.05)와 60대에 적합한 의복 착용시( $F_{2,228}$=16.55, P<.001) 점포유형과 격식차림간에는 유의한 상호작용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호감을 구성하는 세 요인들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호감적 인상차원은 29%(P<.001), 호감적 서비스능력차원은 6%(P<.001)의 구매의도를 설명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노년 소비자에게 호감을 주는 판매원의 외모는 구매의도에 영향을 주어 실버의류산업의 이익증대와 밀접한 연관을 갖는 서비스품질의 중요한 요인으로 밝혀졌다.중요한 요인으로 밝혀졌다.로운 단백질 EPSPS가 다른 여러 식물에 이미 존재하고 있는 단백질로서 우리가 이미 이러

  • PDF

Estimation on Greenhouse Gases(GHGs) Emission of Large Forest Fire Area in 2013 (RapidEye 영상을 활용한 대형산불피해지의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

  • Won, Myoung-Soo;Kim, You-Seung;Kim, Kyong-Ha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7 no.3
    • /
    • pp.54-67
    • /
    • 2014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stimate Greenhouse gases(GHGs) emissions from biomass burning at large forest fire(Ulju, Pohang and Bonghwa) in 2013. The extended methodology to estimate GHGs adopted the IPCC(Intergover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Guidelines(2006) equation. For classifying fire damaged area and analyzing burn severity of total three large-fire area damaged, this study used post-fire imagery from Rapideye imagery to compute the Maximum Likelihood Classifiction (MLC). The result of accuracy assessment on burn severity from imagery showed that average overall accuracy was 75.93% and Kapp coefficient was 0.67 Finally, GHGs emissions from biomass burning in the three large-fire area 2013 were estimated as follows: Ulju $CO_2$ 63,260, CO 5.207, $CH_4$ 360, $N_2O$ 28.0 and $NO_x$ $4.4g/kg^{-1}{\cdot}ha^{-1}$, Pohang $CO_2$ 28,675, CO 2.359, $CH_4$ 163, $N_2O$ 12.7 and $NO_x$ $1.9g/kg^{-1}{\cdot}ha^{-1}$ and Bonghwa $CO_2$ 53,086, CO 1,655, $CH_4$ 114, $N_2O$ 23.5 and $NO_x$ $3.6g/kg^{-1}{\cdot}ha^{-1}$.

Development of a Core management Algorithm for Optimal Design of AMBIDEXTER Transient Cores (AMBIDEXTER 천이노심 설계최적화를 위한 노심관리 알고리즘 개발)

  • Yu, Geuk-Jong;Sin, Dong-Hun;So, Sun-Gyu;Lee, Yeong-Jun;Kim, Jin-Seong;O, Se-Gi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2004.10a
    • /
    • pp.99-100
    • /
    • 2004
  • AMBIDEXTER-NEC의 천이노심은 $^{Nat}Th$$^{Nat}U$의 주입만으로 전 출력의 Break-even 노심에 도달하기위한 중간 단계이다. 선행연구에서 수행한 전 출력노심인 평형노심의 핵종수밀도에 도달하기 위해서 평형노심에서의 기저물질, 잠재핵분열성물질, 핵분열물질의 수밀도를 각 SEU-기반, Pu-기반, ADS-기반에서 그대로 유지하여 초기노심을 구성하였다. 또 각 시나리오에 대해 최대첨두출력과 원자로의 안전성을 고려해 Excess Reactivity를 5mk 내에서 초기노심을 결정하였다. 각 노심은 주 핵분열성물질 $^{235}U$, $^{239}Pu$$^{233}U$의 핵반응단면적 특성에 따라 평균 전환율이 각각 0.95, 0.83 및 1 .21 로서 핵연료물질의 적절한 선택만으로도 전환로, 연소로 및 증식로로 설계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Th/^{233}U$, U/Pu 핵연료주기를 사용하는 AMBIDEXTER-NEC 용융염핵연료 원자로의 초기노심에서 시작한 천이노심은 평형노심에장전할 충분한 $^{233}U$ 양을 확보해야 하므로 천이노심의 목표는 평형노심 $^{233}U$의 요구량에 최소한의 기간에 가장 적은 외부주입을 통해 도달하는 것이다. 천이노심에서 임계가 유지되는 AMBIDEXTER-NEC 원자로시스템의 3군 핵종변환 코드인 HELIOS-SQUID-AMBIBURN 체제를 개발하였고 그림 1.에 나타내었다. 이 알고리즘은 각 초기노심 중원소의 미시단면적, 중원소를 제외한 원소들의 거시단면적, 임계도를 만족하는 중성자속 및 외부주입율을 계산하여 SQUID 및 AMBIBURN 입력자료를 제공한다. 또한 일정시간 중원소의 핵종농도, 외부주입율과 중성자속이 일정하다는 가정 하 에 반복수행 하고 SEU-기반과 Pu-기반의 경우에는 각각 핵변환을 거쳐 재순환되는 $^{233}U$$^{239}Pu$의 양을 바로 주입하는 최대재순환 경우와 평형노심 요구 장전량에 이를 때까지 시설 내 저장하는 최소재순환 경우로 상황을 모사하였다. 그림 2 는 각 시나리오별 초기노심에서부터 200FPD까지 단위 용융염 체적당 $^{233}U$의 수밀도 시간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을 보면 50일 이후부터는 수밀도의 변화가 일정한 기울기를 보이고 있고 재처리공정에서 $^{233}Pa$를 분리하는 최소재순환의 경우에는 최대재순환보다 2-3%정도에 지나지않아 그림에서 나타내지않았다. SEU-기반 및 Pu-기반에서 $^{233}U$의 증가율이 각각 2.54E+13, 2.81E+13 #/cc/d 로 Pu 기반이 조금 더 큰 증가율을 나타내고 있지만 평형노심 농도 1.04E+20 #/cc/d 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두 경우 모두 매우 긴 시간이 걸릴 것을 예상할 수 있다. 요컨대 250MWth AMBIDEXTER-NEC가 평형노심을 이루기 위해 필요로 하는 $^{233}U$을 생산하는데 제안한 SEU-기반, Pu-기반 시나리오는 천이노심주기기간이 전형적인 원자로 수명 3-40년 보다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장전될 $^{233}U$의 확보를 위한 최적옵션은 초기노심부터 ADS와 같은 외부생산시설로부터 전량을 공급 받아 운전하는 것이라 판단된다.

  • PDF

The Study on the Countermeasure Plans about Leakage, Explosion and Fire Accidents of Atmospheric Storage Tank (옥외저장탱크 누출, 폭발 및 화재사고 대응방안에 관한 고찰)

  • Lee, Gab-Kyoo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30 no.6
    • /
    • pp.48-56
    • /
    • 2016
  • A crude oil leakage from a large atmospheric storage tank occurred on 4 April 2014 at 14:50 in Ulsan City, while storing the crude oil in the tank. Emergency Rescue Control Group was deployed in the scene. The company, Fire Service Headquarters and associated agencies got together in Command Post (CP) for discussing an effective corresponding strategy. Many solution plans were drafted in the debate such as power down, stopping the facilities, checking the density of inflammable gas, suppressing oil evaporation, moving the leaked crude oil to a nearby tank and a processing plant and avoiding marine pollution. All the solutions were carried out in cooperation with several agencies and partners. The oil leakage accident was successfully settled up within the process of responding, The Fire Service Headquarters and the company thought that the most important thing was the suppression of oil evaporation and the elimination of ignition source. With Fire Service Headquarters and several agencies' every effort, an explosion and a fire didn't occurred in the scene. This study suggest the improvement of the operating system in Emergency Rescue Control Group in case of petroleum leakage, explosion and fire accidents of atmospheric storage tank, different from a ordinary disaster. Assuming that petroleum leakage in atmospheric storage tank develop the explosion and fire accidents, the spreading speed of the flame and the burning time was experimented and compared with each other. Furthermore, this study concentrates on the effective field response plan prepared for the afterward explosion and fire accidents from petroleum leak in a storage tank, with the database experimented and analyzed in accordance with the angle of radiation in the foam nozzle and the pressure of pumping in a fire engine.

Identification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Ancient Charcoals Excavated from Chudong-ri Site, Korea (서천 추동리 문화유적에서 채취된 숯의 수종식별과 물리적 특성)

  • Kim, Myung-Jin;Lee, Jong-Shin;Park, Soon-Bal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 /
    • v.24
    • /
    • pp.13-22
    • /
    • 2008
  • The identification of species, hygroscopic property, and ability of ethylene gas absorption of 23 ancient charcoals excavated from wooden coffin burials and roof-tile kilns of Chudong-ri cultural site were investigated. All of the 12 charcoals excavated from wooden coffin burials were broad-leaved trees. Among the total 12 samples, 9 samples were Lepidobalanus and others were Celtis spp.. On the other hand, other 11 charcoals from roof-tile kilns were needle-leaved tree, Pinus spp.(hard pine). The broad-leaved tree charcoals from wooden coffin burials showed a higher moisture absorption capacity than needle-leaved tree charcoals from roof-tile kilns. The ethylene gas absorption was greater in the Lepidobalanus charcoal than that of Celtis spp. and Pinus spp. (hard pine) charcoal. The broad-leaved tree charcoal having high absorption ability of substances was due to a large microporous and specific surface area. Therefore, it was estimated that broad-leaved tree charcoals were filled in order to make favorable condition in tomb. The wood quality of pine is soft and easy to burn because of low specific gravity, as well as high calorific value by resin in wood. We could assume that the pine wood was used as fuel for roof-tile kilns because of easy control of heating and thermal power.

  • PDF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Agroecosystems (농업생태계(農業生態系)의 구조(構造)와 기능적(機能的) 특성(特性))

  • Hyun, Jae-Seo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 /
    • v.3 no.2
    • /
    • pp.55-61
    • /
    • 1984
  • 농업(農業)은 동식물(動植物)을 대상으로 하는 응용생태학(應用生態學)의 한 분야(分野)로 그의 발전과정(發展過程)은 환경(環境)과 밀접(密接)한 관계가 있다. 환경조건(環境條件)의 다양성(多樣性)은 대상생물(對象生物)의 종류(種類)를 풍부하게 하고 순화(馴化)된 생물(生物)의 사양(飼養) 과정에서 다양(多樣)한 농업형태(農業形態)를 발전시켰다. 생웅계(生熊系)는 자연(自然)의 한 단위로 구성요소(構成要素)들은 기능적(機能的)으로 통일성(統一性)을 유지하고 있다. 농생태계(農生態系)는 생산(生産)을 목표(目標)로 하는 동식물(動植物)을 중심(中心)으로 하는 생태계(生態系)로 자연생태계(自然生態系)와 기본적(基本的) 성질(性質)은 동일하나 인위적(人爲的) 요소(要素)가 크게 작용하고 있는 특리(特異)한 생태계(生態系)이다. 작물(作物)이나 가축(家畜)은 수천년에 걸친 생산력(生産力)의 증대(增大)를 목표(目標)로 인위적(人爲的)인 선발을 거친 것으로 자연조작하(自然條作下)에서 심한 경쟁(競爭)을 거치면서 진화(進化)한 야생생물(野生生物)들에 비하면 선천적(先天的) 포약성(胞弱性)을 갖고 있어 인간(人間)의 보호(保護)(에너지보조(補助))를 필요로 하고 있다. 농생태계(農生態系)는 공간적(空間的) 격리(隔離)와 구성종(構成種)의 단순화(單純化)로 공간적(空間的) 연쇄성(連鎖性)과 종다양도(種多樣度)가 큰 자연생태계(自然生態系)에 비하면 외적(外的) 충격에 대한 내부적(內部的) 완충능력(緩衝能力)이 약하다. 더우기 농생태계(農生態系)는 시간적(時間的) 연속성(連續性)이 없어 극상천이(極相遷移)단계에 달할 수 있는 시간적(時間的) 여유가 없어 생물상호간(生物相互間)의 관계는 초기(初期) 천이(遷移)단계의 특성(特性)인 종다양도(種多樣度)가 낮고 직선적(直線的)이고 단순(單純)한 먹이연쇄성(連鎖性)을 갖고 있다. 생물군집(生物群集)의 천이진행(遷移進行)에 따르는 종다양도(種多樣度)의 증가(增加)는 생물군집내(生物群集內) 현재량(現在量) 증가와 더부러 먹이 연쇄상(連鎖相)을 직선상(直線狀)에서 망상(網狀)으로 변화시키고 주된 물질(物質)${\cdot}$유전회로(流轉回路)를 포식(捕食)먹이 연소회로(連銷回路)에서 부식(腐食)먹이연쇄회로(連鎖回路)로 전환시켜 생태계(生態系)의 물질(物質)은 생태군집내(生態群集內)에 보존(保存)하는 능력(能力)을 증대(增大)시키고 토양(土壤)의 물리(物理) 화학적성질(化學的性質)을 개선하여 계내(系內) 물질(物質)의 유실(流失)을 억제하기도 한다. 농생태계(農生態系)는 생산성(生産性)의 증대(增大), 관리(管理)의 편의(便宜) 기타의 이유(理由)로 구성종수(構成種數)를 인위적으로 제한(制限)하고 관리(管理)를 통하여 발아(發芽), 생장(生長), 개화(開花)등 여러가지 생물학적(生物學的) 현상을 극도로 균질화(均質化)시키고 있어 어떤 생육단계(生育段階)의 생물(生物)이 넓은 면적(面積)에 동시에 존재하게 되는데 이것은 외적조건(外的條件)의 변동(變動)에 대한 감수성(感受性)을 증대시킨다. 이와 같은 자연생태계(自然生態系)와 농생태계(農生態系)의 생태학적(生態學的) 특성(特性)에 관한 이해(理解)와 인식(認識)은 농생태계(農生態系)의 생산성(生産性) 증대(增大)와 영구적(永久的) 유지(維持)를 위한 합리적(合理的) 관리(管理)를 위한 기본(基本)이 될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Application Scheme of Fire Identification Considering the Heat Release Rate Characteristics of Inflammable Material (가연물의 발열량 특성을 고려한 화재감식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 Kang, Jung-Ki;Oh, Jin-Hee;You, Woo-Jun;Ryou, Hong-Sun;Choi, Don-Mook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8 no.6
    • /
    • pp.52-57
    • /
    • 2014
  •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e fundamental method for the prediction time of the fire origin by analyzing the combustion phenomenon of inflammable material in the building structure. The heat release rate (HRR) with time variant is evaluated for the interphone as a inflammable material, which is opted from the fire incidents in the stairwell. the fire dynamics simulator (FDS ver. 6.1) is applied in order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the smoke inflow time to the downstair from the fire event area with various fire pattern. The results show that the maximum inflow time difference for the case of the interphone made from ABS materials is about 4.93 times with the input conditions of heat flux values and the environment in the FDS for the fixed stairwell which composed of total volume $291.3m^3$, floorage $23.3m^2$ and the height of each floor 2.5 m. This research can be practical information for the application method of simulation scheme with experimental data to the fire Identification.

Multi-stage Membrane Process for $CO_2$ Separation from Flue Gas Using PES Hollow Fiber Membrane Modules (폴리이서설폰 중공사모듈을 이용한 연소배가스로부터 이산화탄소 분리회수를 위한 다단계 막분리공정 연구)

  • Choi Seung-Hak;Kim Jeong-Hoon;Kim Eeom-Sik;Lee Soo-Bok
    • Membrane Journal
    • /
    • v.15 no.4
    • /
    • pp.310-319
    • /
    • 2005
  • This paper describes the preliminary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ulti-stage membrane demonstration plant for removal of carbon dioxide from flue gas stream being emitted from LNG boiler in thermal power generation plant. The prerequisite requirement is to design and develop the membrane process producing a $99\%\;CO_2$ with $90\%$ recovery from LNG flue gas of 1,000 $Nm^3$/day. Asymmetric polyethersulfone hollow fiber membranes and membrane modules developed in this laboratory[1] were used in this study. Using the permeation data for the hollow fiber membranes, modelling on the membrane module and multi-stage membrane process was done to meet the requirement condition of the process design. The effects of the operating pressure of feed and permeate side and feed concentration on $CO_2$ purity and recovery were investigated experimentally with the developed hollow fiber modules. These experimental results matched well with theoretical modelling res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