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소 기술

Search Result 1,257,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Cyclone 연소기의 연소특성

  • 현주수;최상일;박주식;김성완;하경용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1996.10b
    • /
    • pp.85-90
    • /
    • 1996
  • 석탄 직접연소의 신기술인 Cyclone 연소기술은 환경오염저감 기술증의 하나로서, 고온 연소로 인해 회분이 연소실 내부에서 용융, 제거된 후 고온의 청정연소가스만 보일러로 유입된다. 또한 연소기의 fuel-rich 연소조건하에서 생성된 고온의 불완전연소가스는 보일러 입구에서 충분한 재연소공기를 공급함으로서 완전연소시킬 수 있으므로 적은 시설투자 비용으로 기존 오일이나 가스용 보일러를 석탄용으로 전환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다단 연소방식을 채택하여 NOx 제어도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Cyclone 연소기술의 개발은 석탄의 청정연소 뿐만 아니라 그 기술을 토대로 석탄가스화, MHD 발전, 가연성 폐기물 소각등에도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국내 기술자립을 위해 실험용 Cyclone 연소기를 설계, 제작 및 연소실험을 수행한 결과, Peco-semi탄을 연료로 공급량 약 30 kg/hr, 공기비 약 1.0 일 때 탄소전환율은 약 95% 이며 회분제거율은 약 70%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순산소 연소기술

  • Kim, Seong-Cheol
    • Journal of the KSME
    • /
    • v.50 no.9
    • /
    • pp.34-38
    • /
    • 2010
  • $CO_2$ 포집기술은 크게 연소 후 포집(Post-Combustion Capture), 연소 중 포집기술인 순산소 연소(Oxy-Fuel Combustion) 및 연소 전 포집(Pre-Combustion)으로 구분되며, 이 글에서는 기존의 공기연소 대신에 산소만으로 연소하여 배가스 중의 수분을 응축 제거함으로써 $CO_2$를 포집하는 순산소 기술의 국내 외 개발현황 등을 소개한다.

  • PDF

건식 흡착제를 이용한 $CO_2$ 포집기술

  • Park, Su-Jin;Lee, Seul-Lee
    • Journal of the KSME
    • /
    • v.53 no.6
    • /
    • pp.26-30
    • /
    • 2013
  •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의 포집저장기술(CCS) 중 포집기술에 집중하여 기술하였다. 이산화탄소 포집기술은 연소 후 포집, 연소 전 포집, 순산소 연소 포집기술로 분류되는데, 그 중에서도 연소 후 포집기술은 기존발생원에 적용하기 가장 용이한 기술로 판단되고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연소 후 포집기술에 적용되는 다양한 기술 중 건식 고체 흡착제의 종류 및 건식 고체 흡착제를 이용한 연소 후 이산화탄소 포집기술 개발의 현황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 PDF

Trend of Fuel for Combustion Engine (연소기관연료의 동향)

  • 이창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 /
    • v.9 no.4
    • /
    • pp.23-34
    • /
    • 1987
  • 연소 기관용 연료의 효율적 이용과 연소 효율 향상을 위한 연소 기술의 개발에 더욱 노력을 경주 하여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연소 기술의 개발과 더불어 새로운 대체연료에 관한 연구가 더욱 활발히 이루어 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여기서는 대체 연료로 기대되는 석탄액화유, 알코올연료, 태양에너지 중에서 연소 기관용 연료로 주목되고 있는 알코올연료의 특성과 연소 기관의 적용성과 그 문제점에 대하여 살펴 보기로 한다.

  • PDF

유동층 연소

  • 채재우
    • Journal of the KSME
    • /
    • v.21 no.3
    • /
    • pp.166-174
    • /
    • 1981
  • 광물질(회분, 석회석 또는 모래) 입자의 "유동층" (fuidised bed)에 연료를 유입하여 연소시키는 소위 "유동층 연소" 기술은 최근 몇년동안 상당한 발전을 보이고 있다. 왜냐하면 유동층 연소는 특히 저발열량 연료 (저질탄, 쓰레기등)의 연소에 있어서 여러 가지 장점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저질탄의 연소에 있어서 이 유동층 연소 기술이 갖는 장점을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a) 회분성분이나 비활성(inert) 성분의 조성이 균일하지 않은 저질탄의 연소능력 b) 열전달 면에서 부식문제의 저하 c) 보통 미분연소때보다 입도가 커도 완전연소가 가능하므로 분탄제조비가 저렴 여기서는 이러한 장점을 가진 저질탄의 유동층 연소에 대해서, International Energy Agency에서 1978년 발행된 Combustion of low grade coal 보고서를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보고서를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 PDF

Radical measurement technology in constant-volume chamber (정적연소실 내의 라디칼 계측기술)

  • 장영준;전충환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 /
    • v.15 no.6
    • /
    • pp.14-22
    • /
    • 1993
  • 본 글에서는 자동차엔진을 모형화한 정적연소기내의 라디칼 계측기술에 관해 언급하고자 한다. 밀폐연소기내에서 연소반응에 의해 발생된 국소 및 평균 라디칼 강도를 계측하여 순간당량비를 구할 수 있는 관계식을 유도할 수 있으며, 이것을 이용하면 기관에서 발생되는 연소과잉에 의하여 순간당량비를 구하거나, 각종 산업용 버너 등 다양한 연소기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케로신/액체산소 다단연소 사이클 로켓엔진용 산화제 과잉 예연소기 기술

  • Mun, Il-Yun;Yu, Jae-Han;Ha, Seong-Eop;Mun, In-Sang;Lee, Su-Yong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7 no.2
    • /
    • pp.151.2-151.2
    • /
    • 2012
  • 터보펌프 구동에 사용된 가스발생기 생성가스를 연소기로 공급하여 주추력 발생에 사용하는 다단연소 사이클 로켓엔진은 고추력을 요하는 우주 발사체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다단연소 사이클 로켓엔진에 사용되는 가스발생기를 예연소기라 부르며 케로신과 액체산소를 추진제로 하는 다단연소 사이클 로켓엔진에는 산화제 과잉 예연소기가 사용된다. 예연소기는 터보펌프 구동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예연소기 생성가스의 횡단면 온도분포는 터빈에 의해 제한되는 온도범위 내에서 균일하여야 하며 넓은 운전영역에서 안정적인 연소가 이루어져야 한다. 산화제 과잉 예연소기는 모든 추진제가 혼합헤드를 통해 분사되는 방식과 추진제를 혼합헤드와 연소실로 나누어 공급하는 방식이 있다. 기술검증을 위해 산화제 일부와 연료를 혼합헤드를 통해 연소실에 공급하여 1차 연소시키고 나머지 산화제를 연소실 냉각채널을 거쳐 연소실 중앙의 분사공을 통해 연소실로 주입하여 기화시키는 형태로 최종적으로 연소압 20MPa, 혼합비 60에서 작동하는 산화제 과잉 예연소기를 설계하여 연소시험을 수행하였다. 혼합헤드에는 별도의 점화용 분사기 없이 전체 연료 분사기를 통해 점화용 연료인 TEA/TEB 혼합물을 분사하여 점화하였다. 추진제를 2단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고안된 가압식 연소시험 설비에서 10회, 누적 60초 이상의 연소시험이 성공적으로 수행되었다. 연소시험결과 넓은 작동영역에서 안정적 연소특성과 생성가스 온도 분포의 균일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온 고압의 산화제 과잉 예연소기 기술 확보를 통해 케로신/액체산소 다단연소 사이클 로켓엔진 개발을 위한 기술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High-Pressure Subscale Thrust Chamber for Verifying Core Technology for KSLV-II Performance Enhancement (한국형발사체 성능 고도화 핵심기술 검증을 위한 고압 축소형 연소기 개발)

  • Kim, Jonggyu;Kim, Seong-Ku;Joh, Miok;Ryu, Chuls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25 no.4
    • /
    • pp.19-27
    • /
    • 2021
  • In this study, a high-pressure subsacle thrust chamber was developed to verify the core technology for KSLV-II performance enhancement. The core technologies are the design of an injector for high-pressure combustion, development of a combustion stabilization device using the additive manufacturing technique, and the design and fabrication of mixing head and regeneratively cooled combustion chamber. The core technologies, which have been verifi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high-pressure subscale thrust chamber, will be used to develop large engine liquid rocket engine thrust chamber in the future.

Establishment of Test Facility for Flue Gas Treatment Technologies and Utilization (연소배가스 처리기술 평가를 위한 설비구축 및 활용방안)

  • 박성열;한근희;현주수;민병무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2003.05a
    • /
    • pp.545-550
    • /
    • 2003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서는 국내에서 개발된 연소배가스 처리기술의 상용화를 위한 실증용 설비구축 사업이 2002년부터 2005년까지 4년 동안 정부의 지원으로 추진 중에 있다. 본 사업은 시간당 1.0톤의 석탄 연소가 가능한 순환 유동층 연소보일러 및 부대 장치를 이용하여, 10,000 Nm$^3$/hr의 연소 배가스를 공급할 수 있는 설비와 개방형 실험실을 구축함과 동시에 전문가 집단에 의한 기술지원체계를 확립하는 것이 최종 목표이다.(중략)

  • PDF

Comparison of Reactivity of Oxygen Carrier Particles by TGA (TGA를 이용한 매체순환식 가스연소기 산소공여입자의 반응성 비교)

  • 임남윤;류호정;진경태;배성렬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2003.05a
    • /
    • pp.621-625
    • /
    • 2003
  • 최근 지구온난화 문제와 관련하여 국제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CO_2$ 저감 및 처리기술 중에서 연소 후 처리가 아닌 신개념 연소기술로서 NO$_{x}$가 배출되지 않고 $CO_2$의 고농도 원천분리가 가능하여 새로운 연소 및 발전기술로 부상하고 있는 매체순환식 가스연소기술(Chemical-Looping Combustion Technology, CLC)에 대한 연구가 국내외적으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