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소율

Search Result 751,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 Study on Regression Rate in End-Burning Hybrid rocket with Variation of Swirl Intensity (End-Burning 하이브리드 로켓의 스월 강도 변화에 따른 연료 후퇴율에 관한 연구)

  • Choi, Won-Jun;Woo, Kyoung-Jin;Moon, Hee-Jang;Sung, Hong-Gye;Kim, Jin-K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12.05a
    • /
    • pp.70-75
    • /
    • 2012
  • In this paper, the regression rate of the End-Burning Hybrid Rocket with variation of swirl intensity was investigated experimentally with the variation of fuel diameter, injector shape and angle. When fuel grain diameter is large, fuel mass flow rate increases. And the injector diameter increase, fuel regression rate decrease. The impinging effect of oxidizer flow on fuel surface for fuel combustion efficiency is stronger than swril effect in this End-burning propulsion system. The relation between the regression rate, oxidizer mass flux and swirl intensity was obtained.

  • PDF

Radiation-Implemented Combustion of Homogeneous Solid Propellants (복사 열 속의 영향을 받는 고체 추진제의 연소반응)

  • 남삼식;이창진;김성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8.10a
    • /
    • pp.5-5
    • /
    • 1998
  • 수정된 연소 반응 함수를 이용하여 복사 열속 교란에 대한 연소 반응 특성을 살펴보았다. Catalyzed DB N5 추진제의 연소 반응을 살펴보기 위하여 Son 등의 실험 결과와 비교하였다. Son 등의 연소 반응 함수는 물리적으로 타당하지 않은 활성화 에너지에서 실험 결과를 예측하였지만, 수정된 연소 반응 함수는 비슷한 추진제의 실제 활성화 에너지 범위에서 복사 열속에 대한 연소율의 반응을 비교적 잘 예측할 수 있었다. 이것은 Son 등에 의해 과소 평가된 복사 열속(f, J)의 영향이 고려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민감 변수(sensitivity parameter)들을 구하기 위하여 Ibiricu 등이 제시한 정상 연소 관계식을 이용하였다. AP계 추진제의 표면 온도에 대한 정상 연소율 변화를 살펴본 결과 Zanotti의 AP2 추진제의 실험 결과와 정성적으로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Unsteady Ignition in the Pulse Combustor with Counter Jet Flows (대향분출류가 있는 맥동연소기의 비정상 점화현상)

  • 이창진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1 no.1
    • /
    • pp.64-72
    • /
    • 1997
  • An analytical study has been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unsteady ignition characteristics of pulse combustion. In many combustion applications, strain rate of the flow can significantly affect the combustion features; ignition, extinction, and reignition. In the pulse combustion, two jets (hot combustion gases and fresh mixtures) coming from the opposite side of the combustor will collide in the combustor forming a stagnation region where the chemical reaction is suppressed by the strain rate until this becomes below the critical value. In this research, the method of large activation energy asymptotic is adopted with one step irreversible kinetics to examine the ignition response to the periodic variation of the strain rate of flow. The results show the variation of the maximum value of strain rate can determine whether the ignition or extinction occur.

  • PDF

Effect of acoustic wave on the evaporation/combustion of suspended droplet (음파가 고정액적의 증발/연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Han, Jae-Seob;Kim, Seon-Jin;Kim, Y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6 no.3
    • /
    • pp.53-60
    • /
    • 2002
  •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al investigation on the effect of acoustic wave on the combustion of suspended A-1 jet fuel droplets in atmospheric pressure.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 that A-1 jet fuel droplet burning rate constants $k_c$ were independent of initial droplet size and the relative evaporation/burning-rate constant $k_{e'}k_c$(ratio of the acoustically disturbed evaporation/burning-rate constant to the undisturbed evaporation/burning-rate constant) increased remarkably 1.2~1.51times, 1.04~1.42times, for frequency below 100Hz, and sound pressure level above 80dB.

Experiments for Combustion Analysis of Hybrid Motor (하이브리드 모터의 연소해석을 위한 실험연구)

  • 하윤호;장선용;이창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3.05a
    • /
    • pp.262-265
    • /
    • 2003
  •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instrumenting Hybrid Rocket Motor of ACPL at Konkuk University and researching combustion instability by measuring regression rate versus oxidizer mass flux. In the result of experiment, test fire was moderate and we could acquire data of pressure, thrust, and temperature of combustion chamber. In the future, studying unsteady change of regression rate and pressure characteristic analysis of combustion chamber through hundreds of experiments should be performed. furthermore, researching characteristic velocity by taking a measurement of combustion temperature will be inevitable.

  • PDF

A Study on Combustion Instability Characteristics of Hybrid Rocket using Liquefying Solid Fuel (용융성 고체 연료를 사용한 하이브리드 로켓의 연소 불안정 특성 연구)

  • Kim, Soo-Jong;Kim, Hak-Chul;Moon, Hee-Jang;Sung, Hong-Gye;Kim, Jin-K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10.11a
    • /
    • pp.469-473
    • /
    • 2010
  • In this study, combustion tests using liquefying fuels with fast regression rate were performed. The chamber pressure oscillation was analyzed and hazards of combustion instabilities were examined. In case of Liquefying fuel with fast regression rate, the amplitude of chamber pressure oscillation was increased compared to the polymeric fuels. However, the critical combustion instability can hardly occur in liquefying fuel. This is because the rapid change of inner chamber diameter limits the amplification of chamber pressure oscillation. The chamber pressure oscillation due to the large increase of fuel production and the vortex shedding in pre-chamber violently occurs during combustion using single-port axial injector.

  • PDF

Characteristics of Dual Transverse Injection in Supersonic Flow Fields II-Combustion Characteristics (초음속 유동장 내 이중 수직분사의 특성에 관한 연구 II-연소특성)

  • Shin, Hun-Bum;Lee, Sang-Hye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0 no.6
    • /
    • pp.61-68
    • /
    • 2002
  •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dual transverse injection of hydrogen in supersonic air flows were studied using computational methods. Three-dimensional Navier-Stokes with a non-equilibrium chemical reaction model and the k-$\omega$ SST turbulence model were used. A parametric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variation of the distance between two injectors.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dual injection are very different from those of single injection.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two injection flows are very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ignition and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the rear injection flow are strongly influenced by those of the front injection flow. The increase of the distance between two injectors up to a specific distance results in the increase of burning rate. However, the increase of the distance over the specific distance gives no increase of burning rate but makes more losses of stagnation pressure. From the results it can be stated that there exists a distance between two injectors for optimum combustion characteristics.

Reexamination of the combustion instability of solid propellant with radiative heat transfer (복사 열전달을 고려한 고체 추진제의 연소 불안정 현상에 관한 재해석)

  • 이창진;변영환;이재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7.11a
    • /
    • pp.10-11
    • /
    • 1997
  • 고체 추진제를 사용하는 추진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가장 커다란 문제로 인식되고 있는 것은 추진제의 연소 특성을 이해하는 일이다. 그 중에서도 연소실의 압력 진동과 추진제 벽면으로 흡수되는 복사 열전달에 의한 연소율(burning rate)의 변화로 인하여 발생하는 연소 불안정에 대한 이해는 아직도 완전히 규명되지 않고 있다. 고체 추진제의 연소 불안정에 대한 이론적 해석은 준-정상 1차원 해석(Quasi-Steady Homogeneous One-Dimension) 방법에 의하여 단순화된 지배방정식을 해석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잘 알려져 있는 방법이다. 이 가정은 고체 추진제가 연수되는 영역을 두께가 매우 얇은 영역의 표면반응영역(surface reaction layer)과 화학반응이 없는 응축상태영역(condensed phase zone) 그리고 기체상태의 연료와 화염이 존재하는 기체상태영역(gas phase zone) 등의 3영역으로 구분하며, 기체상태영역에서 발생하는 교란에 대한 응축상태영역의 반응시간 크기(response time scale)가 매우 크기 때문에 응축상태영역의 반응은 준 정상적으로 일어난다고 가정하는 것이다.그러나, 연소실의 온도가 $3000^{\circ}K$ 정도의 높은 온도이어서 복사 열전달에 의한 고체 추진제의 가열이 중요한 열전달 방법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이를 무시한 이론적 해석은 물리적인 중요성이 약하여질 수밖에 없다. 본 연구에서는 기체영역으로부터 전달되는 복사 열전달은 투명(transparent)한 표면반응영역을 통과하여 응축상태영역에서 모두 흡수되며 추진제 표면에서의 복사열방출(emission)을 고려하였다. 또한 연소불안정 현상을 해석하기 위하여 표면반응영역에서의 경계조건은 선형교란량으로 대치하는 Zn(Zeldovich-Novozhilov)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 방법은 기체상태영역에 대한 구체적인 해석없이도 연소불안정 현상을 해석할 수 있는 장점이 잇다. 즉 응축상태영역에서의 연소율과 표면온도는 각각 기체영역으로부터 전달되는 온도구배와 연소압력, 그리고 복사 열전달의 함수관계이므로 선형교란에 의한 추진제표면에서의 교란경계조건을 얻을 수 잇으며, 응축영역의 교란지배방정식과 함께 사용하여 압력교란과 복사 열전달의 교란에 대한 연소율의 교란 증감 여부를 판단하여 연소 불안정 현상을 해석할 수 있다.

  • PDF

Combustion of Nano-scale Aluminum and Liquid Water for Pressure Sensitivity (물을 산화제로 하는 나노 알루미늄 분말 연소의 압력 민감도 실험)

  • Lee, Sang-Hyup;Lim, Ji-Hwan;Yoon, Woong-Sup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10.05a
    • /
    • pp.476-482
    • /
    • 2010
  • 알루미늄은 많은 이점에도 불구하고 표면의 높은 용융점을 가지는 산화 피막 효과로 인해 원활하게 점화와 연소 반응이 일어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그런데 산화피막을 제거하는 방법은 매우 복잡하며 용이하지 않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연소율은 압력에 비례한다는 원리를 이용하여 접근하였다. 연소 속도의 압력에 따른 민감도를 알기 위해 압력 용기를 설계하였고 아르곤 가스를 이용하여 80nm의 알루미늄 분말과 산화제인 증류수의 혼합물을 3, 5, 10 기압의 압력 조건에 따른 연소속도의 변화를 측정하고 해외의 연구와 비교 분석하였다.

  • PDF

Numerical Modeling for Turbulent Combustion Processes of Vortex Hybrid Rocket (Vortex Hybrid 로켓 난류연소과정의 모델링 해석)

  • 조웅호;김후중;김용모;윤명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3.05a
    • /
    • pp.244-245
    • /
    • 2003
  • 고체나 액체 추진로켓에 비하여 하이브리드 추진 시스템은 작동조건의 안정성과 안전함등의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HTPB와 같은 고체연료는 제작 및 저장, 운송 그리고 장착상의 안정성을 가지고 있으며 하이브리드 로켓의 고체연료로의 산화제의 유입을 제어하면서 추력의 변화와 엔진내부의 연소중단과 재 점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하이브리드 엔진은 좀 더 경제적인 장치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하이브리드 로켓 엔진은 고체 추진 로켓에 비하여 낮은 연료 regression 율과 연소효율을 가지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고 요구되어지는 추력값과 연료유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고체연료의 표면적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기존의 하이브리드 엔진에서는 연료 그레인에 다수의 연소포트를 만들어 표면적을 증가시켰으나 이는 비 활용 공간의 증가와 추진제의 질량 및 체적분율의 상당한 감소를 초래한다. 지난 수십년간에 걸쳐 하이브리드 엔진에서 연료의 regression 특성 및 엔진 성능 향상을 위한 연구가 계속되어 왔으며 최근에 엔진의 체적 규제를 경감시키고 연료의 regression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선회유동을 이용하는 하이브리드 로켓 엔진들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선회유동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로켓은 고체연료 그레인에 대하여 평행하게 유입되는 기존의 하이브리드 로켓에 비하여 고체연료 벽면에서의 대류열전달이 현저하게 증가하게 되어 아주 높은 고체연료의 regression율을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선회유동 하이브리드 로켓의 연소과정은 고체 연료의 열분해과정, 대류 열전달, 난류 혼합, 난류와 화학반응의 상호작용, soot의 생성 및 산화과정, soot 입자 및 연소가스에 의한 복사 열전달, 연소장과 음향장의 상호작용 등의 복잡한 물리적 과정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물리적 과정 중 난류연소, 고체연료 벽면 근방에서의 대류 열전달 및 연소과정에서 생성되는 soot 입자로부터의 복사 열전달, 그리고 고체연료 열 분해시 표면반응들은 고체연료의 regression율에 큰 영향을 미친다. 특히 고체연료의 난류화염면의 위치와 폭, 그리고 비 예혼합 난류화염장에서 생성되는 soot의 체적분율의 예측은 난류연소모델, 열전달 모델, 그리고 regression율 모델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수치모델의 예측 능력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러한 물리적 과정을 정확히 모델링해야 할 필요가 있다. 특히 vortex hybrid rocket내의 난류연소과정은 아래와 같은 Laminar Flamelet Model에 의해 모델링 하였다. 상세 화학반응 과정을 고려한 혼합분율 공간에서의 화염편의 화학종 및 에너지 보존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화염편 방정식과 혼합분률과 scalar dissipation rate의 관계식을 이용하여 혼합분률과 scalar dissipation rate에 따른 모든 reactive scalar들을 구하게 된다. 이러한 화염편 방정식들을 mixture fraction space에서 이산화시켜서 얻은 비선형 대수방정식은 TWOPNT(Grcar, 1992)로 계산돼 flamelet Library에 저장되게 된다. 저장된 laminar flamelet library를 이용하여 난류화염장의 열역학 상태량 평균치는 presumed PDF approach에 의해 구해진다. 본 연구에서는 강한 선회유동을 가지는 Hybrid Rocket 연소장내의 난류와 화학반응의 상호작용을 분석하기 위하여 Laminar Flamelet Model, 화학평형모델, 그리고 Eddy Dissipation Model을 이용한 수치해석결과를 체계적으로 비교하였다. 또한 Laminar Flamelet Model과 state-of-art 물리모델들을 이용하여 선회 유동을 갖는 하이브리드 로켓 엔진의 연소 및 Soot 생성 및 산화과정을 살펴보았으며 복사 열전달이 고체 연료 표면의 regression율에 미치는 영향도 살펴보았다. 특히 swirl강도, 산화제의 유입위치 그리고 선회유동의 형성방식이 하이브리드 로켓의 연소특성 및 regression rate에 미치는 영향을 상세히 해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