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연소법

검색결과 743건 처리시간 0.027초

유성페인트의 화재 위험성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ire Risk Assesment of Solvent-based Paints)

  • 이봉우;권성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1권6호
    • /
    • pp.1-7
    • /
    • 2017
  • 현재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위험물질 가운데 인화성액체가 차지하는 비중은 87 wt% 이상이며 그 중 사용량이, 가장 많은 혼합위험물은 페인트 제품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페인트 제품의 제조, 저장 및 운송에 대한 안전성 확보는 가장 시급하고 중요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위험물안전관리법과 국제 GHS 시험방법 등을 조사 분석하였고 다양한 유성페인트에 대한 위험성 시험을 실시하여, 그 결과들 간의 연관성을 찾아냈으며, 더 나아가 국내 실정에 맞는 위험성 시험방법 및 판정기준을 제시하였다. 페인트는 인화점 시험, 가연성 액체량과 UN-연소지속성 시험 결과의 판정에 따라 위험물 또는 비위험물로 판정한다. 각각의 다른 수지가 사용되는 6종 유성페인트에 대하여 시험결과 그들은 고위험성을 갖는 제 류 위험물 및 제 류 위험물인 것으로 밝혀졌다.

초고층 건축물용 내화벽체 요구성능 및 개발방향 설정을 위한 기초연구 (A Basic Study on Required Performance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Fire Resistance Wall on High-rise Building)

  • 김대회;박수영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5권4호
    • /
    • pp.1-7
    • /
    • 2011
  • 최근 초고층 건축물의 방재분야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화재발생 시 고층으로 인한 피난시간의 증가에 대비하여 건축물내의 화재전파를 최소로 억제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방화구획은 건축물에서 화재전파를 억제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 내화성능이 있는 벽체와 방화문을 이용하여 화재발생 시 해당구획내에서 연소가 종료되거나 타 구획으로의 화재전파시간을 증가시킴으로써 피난시간을 확보하게 된다. 그러나 현행 건축법에는 초고층건축물을 고려치 않은 최대 2시간 내화성능만은 요구하고 있어 초고층 건축물용 방화벽의 개발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내화벽체의 성능등급에 대하여 검토하였으며, 향후 초고층 건축물용 내화벽체 개발을 위하여 내화성능, 시공성, 사용성 등을 고려한 제품개발 방향을 제시하였다.

바이오디젤과 디젤 연기입자의 광학특성 및 무차원 광소멸계수 측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Optical Characteristics for Biodiesel and Diesel Smoke Particles and Measuring their Dimensionless Light Extinction Constants)

  • 최석천;장영석;박설현;김연규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1호
    • /
    • pp.37-42
    • /
    • 2016
  • 바이오디젤(Soy Methyl Ester, B100)과 디젤(Ultra Low Sulfur Diesel, ULSD)의 연소과정에서 발생되는 연기입자의 무차원 광소멸계수를 측정하였다. 무차원 광소멸계수는 633 nm의 He-Ne 레이저를 이용하여 광학적 방법으로 측정된 연기입자의 체적분율과 중력식 필터법에 의해 채집된 연기입자의 체적분율을 비교하여 결정하였다. 633 nm 대역에서 측정된 평균 무차원 광소멸계수는 각각 바이오디젤의 연기입자가 11.8, 디젤 연기입자가 11.1으로 측정 불확도 범위(${\pm}10.1%$) 내에서 거의 유사하였다. 다만, 라만 spectrum 분석결과를 통해 각 연료에서 발생된 연기입자 간의 광소멸(광흡수/광산란) 특성은 서로 상이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race elements of fine ambient particulate in Korea

  • Lim, Jong-Myoung;Lee, Jin-Hong;Kim, Ki-Hyun
    • 분석과학
    • /
    • 제18권3호
    • /
    • pp.241-249
    • /
    • 2005
  • 기기 중성자방사화분석법을 이용하여 대전시 도로변 대기분진(PM2.5)을 대상으로 As, Mn, Se, V, Zn 등의 독성금속을 포함하여 약 30여종의 미량성분을 분석하였다. 도로변 PM 2.5내 미량성분들의 농도는 자연적 발생원에 기인한 원소가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K과 Fe이 671과 $653ng/m^3$으로 높은 농도를 보였다. 반면, Lu과 Dy는 0.01과 $0.04ng/m^3$으로 가장 낮은 농도를 보여 최대농도와 최소농도 간에는 $10^5$ 이상으로 차이가 벌어져 있음을 알 수 있었다. PM2.5와 미량성분간의 상관분석 결과, 도로변 지역에서 발생되는 PM2.5는 토양기원의 미량성분과 더 큰 상관을 보였다. 인자분석결과, 연구대상지역의 오염원은 재비산된 토양입자, 화석연료의 연소, 자동차 배기가스, 삼원촉매장치, 해염입자, 재련공장 등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부화계수분석의 결과는 인자분석으로부터 발견된 사실과 부합함을 알 수 있었다.

큰 개구부가 있는 공간의 화재와 제연의 대와류모사 (Large Eddy Simulation of Fire and Smoke Control in a Compartment with Large Openings)

  • 박외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7-12
    • /
    • 2003
  • 지하철 역과 같이 대형 개구부가 있는 공간의 화재와 제연을 조사하기 위해, 지하철 역과 유사한 구조의 4 m ${\times}$ 1 m ${\times}$ 1.5m 크기의 공간 내 50 kW의 폴리우레탄 화재에 대한 수치모사를 수행하였다. 대와류모사를 난류모델로 사용하고, 혼합분율 연소모델과 복사 유한체적법을 사용하였다. 화재 발생 후 5초부터 급배기방식과 급기방식, 배기방식의 세가지 기계 제연방식이 각각 작동했을 때 제연방식에 따른 승강장과 출입통로의 공기온도와 연기이동을 비교하였다. 제연방식 가운데 급배기방식의 제연성능이 가장 좋고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하철 역에 사용되고 있는 급기방식은 급기구를 통해 공급된 공기가 고온의 연기와 혼합됨으로써 제연성능이 오히려 자연제연방식보다 불량하므로 지하철 역과 같은 구조에서는 적합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실내화재에서 연기거동에 미치는 복사영향에 대한 수치해석적 연구 (A Numerical Study of Radiation Effect under Smoke Movement in Room Fire)

  • 정진용;유홍선;홍기배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6-12
    • /
    • 2000
  • 본 연구는 두 가지 유형의 3차원 실내 공간 내에서 화재 발생시 연기거동에 미치는 복사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자체개발한 SMEP(Smoke Movement Estimating Program) Seld 모델을 사용하여 수치해석하였다. PISO 알고리즘과 부력항을 포함한 수정 k - e 난류모델을 사용한 SMEP은 연속, 운동, 에너지, 농도 그리고 복사 열 전달 방정식을 풀었으며, 복사 열 전달 방정식의 해석을 위하여 S-N 구분종좌표법을 채택하여 사용하였다. 수치해석 결과 연기의 온도분포는 복사를 고려하지 않고 대류만을 고려했을 경우 실험치와 많은 오차를 보였으나 복사를 함께 고려했을 경우는 실험치와 작은 오차범위로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것은 연기속에 포함되어 있는 연소생성물 중 H2O와 CO2 가스의 복사 영향 때문이며, 따라서 좀더 실제적인 화재해석에 있어서 복사는 반드시 고려되어야만 한다.

  • PDF

톨루엔의 위험성 평가를 위한 연소특성치 측정 및 고찰 (Measurement and Investigation of Combustible Characteristics for Risk Assessment of Toluene)

  • 하동명;정기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76-81
    • /
    • 2010
  • 톨루엔의 안전한 취급을 위해서 $25^{\circ}C$에서 폭발한계와 폭발한계 온도의존성을 고찰하였다. 또한 인화점과 최소발화온도를 측정하였다. 공정의 안전을 위해서 톨루엔의 폭발하한계는 1.13vol%, 상한계는 7.9vol%를 추천한다. 유통법에 의한 하부인화점은 $5^{\circ}C$, 상부인화점은 $40^{\circ}C$로 측정되었으며, Setaflash 장치에 의한 상부인화점은 $41.5^{\circ}C$로 측정되었다. ASTM E659-78 장치에 최소자연발화온도는 $547^{\circ}C$로 측정되었다. 그리고 톨루엔의 새로운 폭발한계 온도의존식을 제시하였으며, 제시한 온도의존식은 문헌값과 일치하였다.

이중 오리피스 연료 노즐 최적설계 (Optimum Design of Dual Orifice Fuel Nozzle)

  • 임오강;최은호;김성섭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407-416
    • /
    • 2007
  • 가스터빈에서 연료 분무 노즐은 연소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부품이다. 스월 분무 장치를 설계하기 위하여 유량과 분무액적 평균 직경을 설계변수로 정하고 연료 분무 노즐의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설계변수는 이중 노즐의 실험값들을 비교하여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선정하였다. 민감도는 유량과 분무액적 평균 직경의 변화에 따른 값을 사용하였다. 이중 오리피스형 스월 분무장치의 형상 최적설계를 통하여 유량의 미립화를 높이도록 연구하였다. 최적설계를 위하여 실험 계획법을 이용하였으며, 영향을 적게 미치는 설계변수들은 설계대상에서 제외하였다. 분무 노즐의 분무액적 평균 직경을 사용한 결과는 Jasuja의 액적 평균 이론을 이용하여 도출된 결과와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연구 결과는 이중 오리피스형스월 분무장치와 이와 비슷한 종류의 노즐 최적화를 위한 특성을 파악하고 최적의 유량과 허용 공차를 제시하였다.

화재시 비차열 유리의 복사열에 관한 실험적 연구 (The Experimental Study for Radiant Heat Flux of Non-insulated Glazed Window in Fire)

  • 박수영;서희원;김대회;왕남웅;여인환;최동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8권2호
    • /
    • pp.26-33
    • /
    • 2014
  • 최근 국내에서는 건축물에서 공간의 미관이나 활용성 때문에 유리창 및 유리벽체의 사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건축물의 내부공간은 화재시 연소확대 및 인명피해를 막기 위해 건축법에 따라 내화구조로 방화구획을 하여야 한다. 이러한 방화구획벽에 비차열 유리를 사용할 경우, 화재시 인접 거실로 복사열에 의한 화재의 확대, 인명 피해가 일어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차열 유리창에 대한 복사열의 위험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내화실험을 실시하여 실험체 이면에서의 온도와 열류량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다구치 기법을 사용한 나노클레이가 첨가된 아마섬유 강화 복합재료의 충격 거동 및 연소 특성 (Impact and Fire Retardant Properties of Flax Fiber Reinforced Nanoclay Composites by Taguchi Method)

  • 원천;김진우;이동우;김병선;송정일
    • Composites Research
    • /
    • 제26권3호
    • /
    • pp.189-19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단방향, 직교방향, 임의의 방향 총 세 방향성을 가진 아마섬유에 첨가형 난연제로 널리 쓰이는 나노클레이를 분사한 뒤, 이 섬유를 복합재료의 제조에 사용하였다. 나노클레이는 분산성이 다른 세가지 분사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제조에 사용한 기지재는 열가소성 수지인 폴리프로필렌과 열경화성 수지인 에폭시이다. 다구찌 실험계획법을 이용해서 실험을 단순화 하였으며, 실험결과 인장강도, 탄성계수, 총 충격흡수에너지, 열 방출율에 대한 최적의 복합재료 제조 조건을 얻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