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연소관 조립체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4초

연소관 조립체의 접착 체결부에 대한 비파괴 시험 방법 연구 (A Study on the Nondestructive Test Method for Adhesively Bonded Joint in Motor Case Assembly)

  • 황태경;이상호;김동륜;문순일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343-352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금속 연소관, 단열 고무 그리고 내열 복합재로 구성된 연소관 조립체의 접착 체결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변형률, 음향방출 신호 그리고 초음파 시험자료를 이용한 비파괴 시험 방법이 제시되었다. 또한 내압 상태에서 연소관 조립체의 각 계면 접착 상태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유한요소 해석이 수행되었다. 공압 시험 중 계측한 변형률 값과 음향방출 신호 상관관계 연구를 통해 연소관 조립체의 접착 건전성 평가가 가능했다. 그리고 연소관 조립체의 여러 접착 계면 중 첫 번째 계면인 연소관과 고무간의 접착은 초음파 방법으로 분류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연소관 조립체의 모든 접착 계면은 1) 초기 완전 미접착, 2) 공압 시험 중 완전 접착 분리, 3) 공압 시험 중 부분 접착 분리, 4) 완전 접착 등 4가지 형태로 분류 및 검출되었다.

유동가압성형(TPM)을 이용한 휴대용 유도무기용 연소관 조립체 제작공정연구 (A study on the manufacturing of motor case assembly for K-PSAM propulsion system by Trans. power molding(TPM) process)

  • 정상기;윤남균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107-115
    • /
    • 1998
  • 복합재료와 금속 튜브 사이의 좁고 긴 원통형 공간을 EPDM(Ethylene propylene dien ter polymer)으로 충전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휴대용 유도무기의 추진기관을 개발하기 위하여 소형 연소관 조립체를 설계하고 제작하였다. 연소관 조립체는 연소관 금속튜브, 연소관 내열재, 그리고 연소관 단열재로 이루어져 있는데 연소관 내열재는 탄소/페놀릭을 사용하여 롤링 공법으로 제작하였으며 연소관 단열재는 EPDM을 사용하여 TPM 공법으로 제작하였다. EPDM의 조성 선정을 위하여 내열 삭마특성, 열분해특성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흐름성, 접착성, 경도측정 등을 통하여 최종 조성을 결정하였다. 연소관 조립체를 제작하기 위한 EPDM 충전을 위하여 TPM 공법을 설계하고 금형과 치구를 제작하였다. 충전된 연소관 조립체는 비파괴검사를 통하여 접착, 기공 등을 검사하여 최종 선정되었다.

  • PDF

로켓 연소관 조립체의 음향방출 신호해석 (Interpretation of AE Signals from Rocket Motor Case Assembly)

  • 이상호;황태경;문순일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488-496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금속재 연소관내부에 단열고무/내열복합재로 구성된 연소관 조립체의 품질평가에 적용 가능한 음향방출 비파괴 시험 평가 기법을 정립하기 위하여 그간 수행되었던 시험결과를 종합하여 실제 생산에 적용 가능한 평가 기법을 정립하였다. 유한요소 code를 사용하여 연소관 조립체 구조 해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내열복합재에 절개선이 있는 연소관 표면의 스트레인과 절개선이 없는 연소관 표면의 스트레인 값을 비교하였다 해석결과는 공압시험 중 연소관 표면에 부착된 스트레인 값과 음향방출센서로부터 측정된 신호와 비교함으로써 연소관과 단열고무 접착성이 확인되었다. 음향방출법을 이용하여 금속재 연소관과 단열고무와의 접착성을 평가하는 방법으로서 실제 생산과정에 적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KSLV-I KM 연소관 제작 공정 개발 (Development of the KSLV-I KM Case Manufacturing Process)

  • 김중석;이원복;조인현;길경섭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7년도 제28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93-196
    • /
    • 2007
  • KSLV-I은 100 kg급의 인공위성체를 지구 저궤도에 진입시키는 국내 최초의 우주발사체이다. 이 우주발사체는 2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고체 추진기관인 2단은 순수 국내 기술로 설계, 제작 및 인증시험을 통하여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 KM의 연소관은 중량의 감소와 성능의 증대를 위하여 체결을 위한 구조체를 제외하고 복합재료를 사용하여 제작하였다. 연소관의 제작 공정인 내열재, 필라멘트 와인딩, 각종 인터페이스 체결을 위한 구조물의 조립 공정 등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 PDF

연소관 조립체 접합계면의 평가를 위한 비파괴시험에 관한 연구 (Nondestructive testing for the evaluation of adhesive layer in rocket motor case assembly)

  • 박준수;송성진;김영환;임수용;윤남균;조정표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1년도 제17회 학술발표회 논문초록집
    • /
    • pp.90-93
    • /
    • 2001
  • In the present work, ultrasonic testing method has been developed to evaluate adhesive layers in rocket motor case assembly for the reliability of the rocket. The main objective of the present work was to find debonding between steel and rubber layers. The relationship between adhesion ratio and reflected ultrasonic amplitude was calculated by considering reflection coefficient at the interface between steel and rubber layers.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amplitude of ultrasound is reflected for the debonding area, and shown good agreements with experimental results. The ultrasonic C-scan images offers good implements for the determination of debonding area. The nondestructive testing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micrography of destruective testing. As results, ultrasonic testing could be utilized for the evaluation of adhesive layer in the rocket motor case assemb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