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립부정방정식

Search Result 5, Processing Time 0.02 seconds

History of Indeterminate Equations (불정방정식의 역사)

  • Hong, Young-Hee
    •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 /
    • v.18 no.3
    • /
    • pp.1-24
    • /
    • 2005
  • Although indeterminate equations were dealt in Jiu zhang suan shu and then in Sun zi suan fing and Zhang Giu Jian suan Jing in China, they did not get any substantial development until Qin Jiu Shao introduced da yan shu in his great book Shu shu jiu zhang which solves goneral systems of linear congruences. We first investigate his da yan shu and then study the history of indeterminate equations in Chosun Dynasty. Further, we compare Qin's da yan shu with that in San Hak Jung Eui written by Chosun mathematician Nam Byung Gil.

  • PDF

The geometry of Sulbasu${\={u}}$tras in Ancient India (고대 인도와 술바수트라스 기하학)

  • Kim, Jong-Myung;Heo, Hae-Ja
    •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 /
    • v.24 no.1
    • /
    • pp.15-29
    • /
    • 2011
  • This study was carrying out research on the geometry of Sulbas${\={u}}$tras as parts of looking for historical roots of oriental mathematics, The Sulbas${\={u}}$tras(rope's rules), a collection of Hindu religious documents, was written between Vedic period(BC 1500~600). The geometry of Sulbas${\={u}}$tras in ancient India was studied to construct or design for sacrificial rite and fire altars. The Sulbas${\={u}}$tras contains not only geometrical contents such as simple statement of plane figures, geometrical constructions for combination and transformation of areas, but also algebraic contents such as Pythagoras theorem and Pythagorean triples, irrational number, simultaneous indeterminate equation and so on. This paper examined the key features of the geometry of Sulbas${\={u}}$tras and the geometry of Sulbas${\={u}}$tra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sacrificial rite and the fire altars. Also, in this study we compared geometry developments in ancient India with one of the other ancient civilizations.

Bearing Coefficient Identification of a Machine-Tool Spindle System (공작기계 주축계의 베어링계수규명에 관한 연구)

  • 김석일;곽병만;이후상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15 no.5
    • /
    • pp.1426-1432
    • /
    • 1991
  • 본 연구에서는 Timoshenko보이론과 전달행렬법에 의해서 얻어지는 베어링의 반력들과 주축계의 불완전진동모드간의 선형관계를 이용하여 원리적으로 반복계산없이 반경방향과 굽힘모멘트방향의 선형등방성 베어링계수들을 규명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규명방법은 주축계에 사용된 베어링의 수보다 진동모드에 대한 측정점의 수가 2배 이상 많아야 한다는 조건을 가지고 있다. 또한 선형 연립방정식으로 부터 직접 규명된 베어링계수들의 일부가 정보의 부정확성에 의해서 물리적으로 타당성이 없는 음수로 나타나는 경우에는 측정결과와의 차이를 최소화시키면서, 물리적으로 타당성이 있는 양수의 베어링계수들을 규명할 수 있는 방법이 제안조건들을 가진 최적화문제의 형태로 제시되었다. 그리고 제시된 최적화문제의 해는 선형화방법(linearization method)를 통해서 얻었다. 아울러서 주축계의 실험모델에 대한 가진실험결과를 이용 하여 제안된 규명방법의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Mathematical Rhymes in Oriental Mathematics and Their Didactical Implications (동양 수학에서의 구결 및 그 교수학적 함의)

  • Chang, Hye-Won
    •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 /
    • v.19 no.4
    • /
    • pp.13-30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 and roles of rhymes in oriental mathematics. To do this, we consider the rhymes in traditional chinese, korean, indian, arabian mathematical books and the mathematical knowledge which they implicate. And we discuss the reasons for which they were often used and the roles which they played. In addition, we suggest how to use them in teaching mathematics.

  • PDF

Effect of Tributary Inflow on Downstream Water Level of the Han River (한강하류부 지천의 유입량이 한강수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Lee, Jong Kyu;Jang, Ki Hwan;Yang, Hee 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1366-1370
    • /
    • 2004
  • 한강은 남한 제1의 하천으로 지리적으로 한반도의 중심부에 위치하여 동에서 서로 흐르는 대하천이다. 매년 발생하는 홍수에 대한 한강하류부의 홍수관리는 대단히 중요하다. 본 연구는 한강의 지천유입량이 한강본류 수위에 미치는 영향을 수리학적 홍수추적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수리학적 홍수추적 모형은 하천의 지형적 특성과 여러인자들을 반영하여 하천의 흐름을 해석하기 때문에 하천에 설치되어 있는 교량, 수중보, 지천유입량, 조도계수 등을 적절히 반영하였을 때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1차원 부정류 흐름으로 해석하였으며 미국 NWS(National Weather Service)에서 기존의 DWOPER 모형과 댐파괴 모형인 DAMBRK 모형을 통합하여 개선한 FLDWAV 모형을 사용하였다. 이 모형의 지배방정식은 연속방정식과 운동량방정식으로 구성되어 확장된 Saint-Venant 방정식이고, 수치기법으로는 가중4점음해법을 이용하려 비선형 연립방정식을 Newton-Raphson 방법으로 해석한다. 모형의 상류경계는 팔당댐 시간 방류량을 하류경계로는 전류수위표 지점의 수위를 이용하였다. 한강하류부에는 많은 지천들이 흘러들어 유입되고 있는데 지천유입량이 한강수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비교적 유역면적이 큰 왕숙천, 탄천, 중랑천, 안양천 등의 지천유입량을 고려하였다. 2000년과 2001년에 발생한 2개의 실측사상을 FLDWAV 모형을 이용하여 계산된 수위값과 검증해 본 결과 실측수위를 잘 재현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검증된 모형을 가지고 동일한 사상에 대해서 지천 유입량을 고려하지 않고 모의를 한 결과 지천유입량을 고려하였을 때와 고려하지 않았을 때의 지천유입량에 대한 수위상승량은 $1\~5cm$ 정도로 나타났다. 지천유입량에 의한 수위상승이 어느정도 일어나고 있지만 홍수기간에 이 정도의 수위상승은 한강의 흐름이나 한강하류부에 설치된 구조물의 침수피해에 크게 영향을 주지않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강하류부의 수위는 지천유입량의 영향보다는 팔당댐의 방류량에 의해서 좌우되고 있고 홍수시에는 한강의 수위상승으로 인하여 지천에 미치는 배수영향이 훨씬 더 클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