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연령 차이

검색결과 4,404건 처리시간 0.03초

연령별 시민참여형 도시공원 관리의지 비교 연구 -인천광역시 도시공원을 대상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Willingness to Manage Urban Parks by Age - Focusing on the Case of Incheon City Park -)

  • 유재섭;이재호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16-26
    • /
    • 2021
  • 도시공원의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시민참여를 통한 생활권 녹지 조성방안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지만, 기존의 연구에서는 시민을 동일한 성격의 집단으로 인식하고 이용자의 특성 차이에 따른 공원관리 참여에 대한 연구는 진행되지 않고 있다. 특히 기존의 연구는 이용자의 만족도나 애착심과 같은 개념적인 변수를 통한 차이만 보고자 하였고, 이용자의 연령과 같은 사회인구학적 요소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수행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한계점을 가지고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의 10개 구·군에 광역적으로 존재하는 도시공원을 대상으로 연령별 선호하는 공원과 공원관리 참여방법의 차이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인천시 거주주민과 공무원을 대상으로 하였고, 10개 구·군에 인구 비례 할당을 적용하여 총 1,226부의 설문을 걷어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만족도 및 다른 요인보다 이용자의 연령에 따른 차이가 공원관리 의지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친다는 결과를 얻었고, 이를 바탕으로 연령별 선호하는 도시공원 및 관리방법 차이를 알아내기 위해 카이스퀘어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젊은층보다는 50대이상의 연령층이 공원관리 의지가 통계적으로 높음이 확인되었으며 선호하는 공원유형과 희망하는 공원녹지화 방법에 대한 차이를 통해 연령별 공원관리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1인가구의 종사상지위 및 연령에 따른 건강행태 비교: 음주 및 흡연을 중심으로 (Comparison of health behaviors by status of workers and age of single households: focusing on drinking and smoking)

  • 조필규;오유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331-336
    • /
    • 2019
  • 1인가구주의 종사상지위와 연령에 따라 음주, 흡연 등의 건강행태에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고자 종사상지위 및 연령별로 층화추출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총 566명). 분석결과에 따르면, 음주빈도에서는 연령별 유의적 차이가 발견되었으며(p<0.001), 흡연여부(p<0.001) 및 흡연량(p<0.001)에서도 연령별 유의적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금연 계획에서는 정규직이 다른 집단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p<0.05), 금연이유에 대해서는 담뱃값 부담 때문이라는 응답이 20대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p<0.001). 전체적으로 볼 때, 음주 및 흡연 등의 건강행태에서는 종사상지위와 같은 사회경제적 특성보다는 연령 등과 같은 개인적 특성이 더 유의적인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

Quality Determination of Different Wholesale Cuts of Goat Carcass at Different Ages

  • Islam, R.;Rahman, S.M.E.;Khan, M.;Akhter, S.;Hossain, M.M.;Ding, Tian;Kim, Jai-Moung;Oh, Deog-Hwan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51-257
    • /
    • 2010
  • 본 연구는 도매상에서 판매하고 있는 염소육의 영양학적 및 미생물학적 품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시료는 1년생, 2년생, 3년생 염소육을 대상으로 수행하였으며, 각 연령별에서 3마리씩 4부분의 다른 부위(어깨, 목, 허리, 다리)를 선정하여 총 36점을 대상으로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염소육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각 시료의 외형, 색, 냄새, 육즙, 일반조성분, pH, 총균수, 대장균군과 효모수를 측정하였다. 각 부위별 염소육의 pH는 평균적으로 5.647-5.692로 나타내어 각 부위별 염소육의 pH는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연령별 염소육의 pH는 5.585-5.743로 유의적 차이(p < 0.01)를 나타냈다. 각 연령별 염소육의 육즙함량은 32.24-42.10%로 유의적인 차이(p < 0.01)를 나타내었으며, 마블링은 다른 부위보다 목살부위에서 더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염소육의 단백질 함량은 20.78-27.71%의 결과로 유의적 차이(p < 0.01)를 나타내었고, 다리부위는 다른 부위에 비하여 높은 단백질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각 부위별 염소육의 지방 함량은 2.657-11.469%로 유의적인 차이(P < 0.01)를 나타냈다. 염소육의 수분함량은 69.20-73.31%, 1년생 염소육의 회분함량은 0.989 $\pm$ 0.129%로 다른 연령대의 염소육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결과 또한 유의적인 차이(P < 0.01)를 나타내었다. 칼슘의 함량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은 반면 1년생 염소육의 인의 함량은 0.149 $\pm$ 0.0251%로 다른 년생의 염소고기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나타냈다. 연령별 염소육의 총균수 수준은 5.05-5.15 log cfu/g으로써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은 반면 각 부위별 염소육의 대장균군의 오염수준은 2.56-3.05 log cfu/g으로 유의적인 차이(P < 0.01)를 나타냈다. 연령별 염소육 또한 대장균군 오염수준은 2.79-2.84 log cfu/g으로써 유의적인 차이(P < 0.05)를 나타냈으며 1년생 염소육의 대장균 오염 수준은 다른 연령의 염소육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효모의 오염수준 또한 각 부위별(P < 0.01), 연령별(P < 0.05)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염소육의 영양학적, 미생물학적 품질은 염소의 연령과 판매 부위에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사료된다.

연령별 향 감성구조 및 향 감성에 따른 자율신경계 반응 (Psychological Structure and ANS Response by Odor Induced Emotion)

  • 박미경;정희윤;이경화;최정인;이배환;손진훈
    • 감성과학
    • /
    • 제4권2호
    • /
    • pp.39-45
    • /
    • 2001
  • 본 연구는 향에 대한 연령별 감성구조를 밝히고, 향 감성에 따른 자율신경계 반응을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실험 참여자는 연령별(10대, 20대, 40대)로 24명씩 총 72명이고, 자극향은 cederwood, grapefruit, teebaum, peppermint, rose향을 사용하였다. 향이 제시되는 동안 혈류량, 피부온도, 피부전기 반응, 심전도 반응을 측정하였고, 향에 대한 주관적 감성을 측정하였다. 향에 의한 심리적 감성구조는 심미성, 강도, 자연성, 개성성, 낭만성의 다섯 요인이 확인되었고, 연령별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향 선호도를 예측하는 감성요인은 연령별에 따라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감성적으로 “나쁜” 향은 “좋은” 향보다 교감신경계 활동에 의한 자율신경계 반응이 더 크게 일어났다.

  • PDF

유머 종류에 따른 유머 선호와 활용에 관한 연구: 성별.연령별 차이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ifferences of Humor Preferences and Uses)

  • 조현지;김욱영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31권
    • /
    • pp.355-378
    • /
    • 2005
  • 이 연구는 유머 종류에 따른 유머 선호와 활용이 성별 연령별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수도권 지역 143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유머 종류에 따른 유머 선호와 활용에 있어서 성별로는 남성이 여성에 비해 공격적 유머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체적으로 큰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연령별로는 상당히 많은 차이가 났다. 특히, 10대는 비언어적 유머를 선호하는 반면, 40대 이상은 언어적 유머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활용에 있어서는 $10{\sim}20$대를 중심으로 하는 저연령층에서 유머를 더 많이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차이보다 연령별 차이가 큰 이유에 대해 한국인의 전통적 체면 의식과 연관시켜 논의하였다.

  • PDF

고령층 연령에 따른 뱅킹앱 사용성 인식에 대한 차이 분석 -PACMAD 모델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n the difference in banking app usability by elderly age - Focusing on the PACMAD model -)

  • 정현석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2호
    • /
    • pp.61-75
    • /
    • 2023
  • 본 연구는 고령층에서도 많이 사용하는 뱅킹앱의 사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모바일에서 사용될 수 있는 사용성(People At the Center of Mobile Application Development) 모델을 설명하고 60세 이상의 고령층을 대상으로 사용성 평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은행앱을 사용해 본 경험이 있는 고령자 165명을 대상으로 SPSS 25.0를 이용해 기술통계 및 분산분석을 실시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효율성, 만족도, 효과성은 상대적으로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학습가능성, 기억가능성, 오류, 인지부하는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보였다. 또한, 연령별 차이 검증에서 모든 변수가 연령별로 차이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했다. 이러한 결과는 뱅킹앱에 대한 고령층의 사용성 평가와 연령별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컨택스트 부분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시하지만, 연령이 고령층에 한정되어 일반인과의 비교가 어렵다는 점과 다양한 통제변수를 고려하지 못한 한계도 존재한다.

사회참여노인의 활동수준과 삶의 질 - 성별과 연령 차이를 중심으로 - (Activity Level of Social Participation and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in Korea -Focusing on gender and age differences-)

  • 주경희
    • 사회복지연구
    • /
    • 제42권2호
    • /
    • pp.5-39
    • /
    • 2011
  • 본 연구는 사회참여노인의 활동수준에 따른 삶의 질의 차이를 살펴보고 성별 및 연령 차이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복합적이고 다양한 노인의 사회참여와 삶의 질의 관계성을 분석하기 위해 활동의 양적 수준과 질적 수준을 포함한 총체적인 활동수준과 삶의 질 모형을 제시하고 분석을 통해 성별 및 연령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수도권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60대 이상 사회참여노인 총 586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다집단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각 사회참여의 활동수준과 삶의 질에 대한 가설검증 결과에서는 경제참여활동의 몰입경험, 사교친교참여활동의 몰입경험, 자기개발참여활동의 몰입경험이 삶의 질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참여의 활동수준과 삶의 질 간의 관계에 대한 성별 차이에 대한 다집단 분석 결과, 사교친교참여활동의 활동량과 삶의 질의 경로에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연령에 대한 다집단분석 결과는 경제참여활동 몰입경험과 삶의 질의 경로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론적 및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아동 돌봄의 사회화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정치성향과 세대(연령)의 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gnition of Socialization in Caring : Effects of Political Ideology and Generation(age))

  • 정은수;임효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431-443
    • /
    • 2017
  • 본 연구는 아동돌봄의 사회화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 아동돌봄 문제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저변의 확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실시되었다. 정치성향과 세대(연령)의 차이는 아동돌봄의 사회화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변수로 증명되었다. 특히 연령은 유교사상의 영향을 받은 한국사회에서 연령이 높을수록 돌봄 문제를 개인의 문제로 한정하는 경향이 있어 돌봄 문제의 사회화 인식에 세대(연령)이라는 중요한 변수가 있음을 다시 한번 확인하게 되었다. 또한 정치성향이 진보적일수록 돌봄의 사회화 인식이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이는 한국사회에서 돌봄의 사회화 문제가 과도하게 정치적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는 것을 반영하는 결과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제언할 수 있는 것은 소득이라는 변수가 돌봄 문제의 사회화에 영향을 미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로 도출 되지 못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지 증세와 관련하여 소득계층에 따라 국민적 저항을 유발한다고 이야기 하지만 아동의 돌봄 문제에 대해서는 소득수준은 아동돌봄의 사회화 인식이 변화에 유의한 변수로 분석되지는 못하였다. 이는 돌봄 문제는 소득의 계층차이 보다는 다양한 사회적 요인으로 결정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발견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돌봄 문제에 대하여 사회적 해결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정치적 수단화를 경계할 방안을 모색하고 연령에 따른 가치관의 차이를 극복하고 사회통합이라는 거시적 관점을 적용하여 접근할 구체적 시도를 마련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우수 온라인 강의콘텐츠에 대한 원격대학 학습자의 연령별 인식 (Perceptions of Distance University Learners' Satisfaction on Online Lecture Content by Age Group)

  • 정혜령;우영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429-437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원격대학의 온라인 강의콘텐츠에서 학습자들이 인식하는 만족 요소 및 불만족 요소를 살펴보고, 이에 대한 연령별 차이를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성인학습자들은 우수한 온라인 강의콘텐츠 요소로 지적 자극을 제공하는 내용, 이해하기 쉬운 교수자의 설명, 열정적이고 학생을 존중하는 교수자의 태도, 길지 않은 강의시간을 전연령대에서 공통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연령대별 차이를 보였는데 20, 30대는 실무나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강의내용, 시청각에 민감한 화면구성, 최근 강의 영상인지에 대한 여부 등을 중요하게 인식하는 반면, 40대 이상은 교수자의 열정과 태도, 이해를 돕는 교수자의 설명을 우수한 온라인 강의로 인식하는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온라인 강의콘텐츠가 우수하다는 인식이 학습자의 연령대로 다를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최근 코로나19로 확대되고 있는 온라인 강의콘텐츠 제작시 학습자의 연령대를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노후불안인식 영향요인: 연령집단별 비교 (Study on Variables Affecting Aging Anxiety: Comparison among Age Groups)

  • 정순둘;정주희
    • 한국노년학
    • /
    • 제38권2호
    • /
    • pp.365-383
    • /
    • 2018
  • 본 연구는 노후불안인식의 수준과 노후불안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각 연령집단별로 살펴보고, 노후불안을 낮추기 위해 사회적으로 어떠한 대안이 마련되어야 하는지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2017 연령통합 설문 조사"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총 1,017명의 조사대상자를 청년층 307명, 중년층 357명, 노년층 353명의 3개 연령집단으로 구분하여 노후불안인식 영향 요인들을 비교분석하였다. 각 연령집단 간 노후불안인식의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분산분석을 통해 살펴보았으며, 노후불안인식에 대한 각 변수들의 영향력을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해 보았다. 분석결과, 각 연령집단별 노후불안인식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집단 간 차이가 있었다. 노후불안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한 회귀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노인낙인은 모든 연령집단에서 노후불안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가능연령은 청년층과 중년층에서 노후불안인식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사회공정성인식은 중년층과 노년층에서 노후불안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연령통합인식과 고령친화적 환경 변인은 노년층에서만 노후불안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본 연구는 노후불안에 대해 사회적 관점에서 접근하고자 하였으며, 노년기에 대한 인식과 사회 환경에 대한 인식과의 연관성을 통해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