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동조절장치

Search Result 28,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특집 : IT 융복합의료기기 기술 - 3차원 가상현실과 연동되는 노인 심폐기능증진을 위한 지면 변화 트레드밀 기기

  • Jeong, Gyeong-Yeol;Im, Byeong-Ju;Lee, Seong-Su;Han, Dong-Uk;Kim, Jin-Yeong
    • 기계와재료
    • /
    • v.23 no.1
    • /
    • pp.60-69
    • /
    • 2011
  • 지면 변화 트레드밀 기기는 경사도 변화가 가능하며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안전장치, 노인의 보행속도에 적합한 속도를 구현할 수 있는 자동 속도 구현장치, 기존 트레드밀에서 구현하지 못하는 다양한 지면 조건을 현실화할 수 있는 재질의 바닥 및 가상현실 컨텐츠와 연동하여 속도 조절이 가능한 지능형 조절장치로 구성된다. 때문에 가상의 외부 환경이 3D로 구현된 컨텐츠와 연동하여 노인들이 걷기 운동을 즐길 수 있도록 구현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본 고에서는 노인 및 장애인들에게 적합한 속도 구현과 안전사고 예방 및 다양한 지면 조건을 구현한다는 장점이 있는 지면 변화 트레드밀 기기에 대해 소개하였다.

  • PDF

Suggestion on ubiquitous healthcare device on the basis of ECoG and Optogenetics (광유전학과 피질전도 측정 장치 기반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장치 제안)

  • Jeong, Jae-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07a
    • /
    • pp.153-155
    • /
    • 2017
  • 최근 건강관리 및 질병관리 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와 관련 기기에 대한 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이다. 또한, 관련 기기가 단순히 건강진단 및 질병진단과 더불어서 치료까지 하나의 기기에서 이루어지는 테라그노시스 방향으로 개발되고 있다. 또한 치료를 위해 광유전학 기술을 이용하여 광반응성 단백질인 ChR2로 뇌세포의 자극을 조절할 수 있다. 뇌세포의 자극을 조절함으로써 뇌 질환의 발현 시 유용하게 대처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뇌의 전기적 신호를 획득하는 기기와 연동되는 IoT 시스템을 통해서 유비쿼터스 헬스케어에 대한 방법론에 대해서 서술한다. 특히, 뇌의 전기적 신호를 획득하는 장치를 통한 뇌, 신경 질환인 뇌전증에 대한 진단과 치료의 유무를 판단하는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시스템에 대해서 서술한다. 이처럼 웨어러블 뇌파 신호 측정 장치와 연동되는 IoT 시스템을 통해 뇌파 신호를 지속적으로 모니터함으로써 사용자의 뇌전증의 발현 시 진단 및 치료, 긴급연락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의 돌발 사태에 대해서 대처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한다.

  • PDF

Auto Flow Rate Regulating System Synchronized with Room Control (난방시 실별 연동형 세대자동유량제어 시스템)

  • Kim, Young-Kyun;Kim, Nam-Gun;Seo, Bum-Suk
    • Proceedings of the SAREK Conference
    • /
    • 2009.06a
    • /
    • pp.77-82
    • /
    • 2009
  • If we can supply accurate minute flow rate to the households, we can solve many problems that are occurring in consequences of uncontrolled flow rate for the households. Therefore, this paper presents an innovative solution to the source of the problems by illustrating how we can control the flow rate to the household. This paper proves such problems even can be solved in a case when there is a room turned off the heating.

  • PDF

Fine Flow Controlling Device for Medicine Injection (의료 약물주입용 미세 유량 제어 장치)

  • Cho, Su-Chan;Shin, Bo-Sung
    • Journal of the Microelectronics and Packaging Society
    • /
    • v.28 no.4
    • /
    • pp.51-55
    • /
    • 2021
  • The nurses manually carry out the intravenous therapy for the patients. Using an Arduino, the fine flow controlling device was invented to provide an ongoing patient care. The medication is injected through a peristaltic pump, and the amount of the solution is controlled with a RGB color sensor. The power of the device is supplied through the batteries. An amount of the injection is measured with LIG strain sensor fabricated by 355nm UV pulsed laser. This system will provide a better medical service.

Study on the improvement of productivity and quality on the Aluminum wheel by low pressure die casting (저압주조 알루미늄 휠 생산성 향상 및 품질개선에 관한 연구)

  • 이영철;최정길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1.05a
    • /
    • pp.224-228
    • /
    • 2001
  • 자동차용 Al Wheel의 반복 금형 주조 공정에 있어서의 적정 냉각조건 확립 및 수축공 등의 주조결함을 제어하기 위하여 3차원 응고, 유동, 응력 해석 프로그램 연동 기술과 자동 금형온도 조절장치를 실제 현장에 적용하여 생산되는 Al Wheel 제품의 최적 주조조건 및 냉각조건을 확립하였다. 주조과정 중의 금형의 온도 변화 및 주물의 응고, 유동 거동은 수치해석 결과와 잘 일치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금형온도 자동 조절 장치를 사용함으로서 금형 작업온도의 가열 및 유지가 정량적으로 제어 가능하며, 제품 품질의 유지 및 Cycle Time 최적화를 이룰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금형 수명 연장 및 생산성 향상 등을 이룰 수 있었다.

Comparison of Heat Insulation Characteristics of Multi-layer Thermal Screen and Development of Curtain System (다겹보온자재의 보온성 비교 및 커튼개폐장치 개발)

  • Lee, Si-Young;Kim, Hark-Joo;Chun, Hee;Yum, Sung-Hyun;Lee, Hyun-Joo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16 no.2
    • /
    • pp.89-95
    • /
    • 2007
  • This study was accomplished to compare energy saving effects of several heat insulation materials in greenhouse and to develop new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equipment which is suitable to the most effective heat insulation material. To find out more effective heat insulation material, the magnitude of heat transfer occurred through aluminum screen (ALS), non-woven fabric (NWF), double-layer aluminum screen with chemical cotton sheet (DAL), and multi-layer fabric screen material quilted with non-woven fabric, chemical cotton, poly foam, and polypropylene (MLF) were compared relativel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lative magnitude of heat transfer occurred through MLF was lower than DAL and ALS by 23.3% and 43.0% respectively. MLF screen material was the most effective compared with other heat insulation materials. But because of thickness, there was a need of new mechanism for automatic operation in greenhouse. Accordingly, new screen system using MLF-thick but profitable for keeping warm in greenhouse-was developed. Opening & closing equipment was designed to roll MLF with pipe axis during opening process and pull MLF with string during closing process with electric motors, clutches, drums, and so on. In hot pepper cultivation and energy saving test during winter time, the early stage yield of pepper under MLF screen system was higher than NWF by 27%, and gasoline consumption of MLF screen system was lower than NWF by 46%.

Implementation of DMX512 Receiver using Constant Current LED Driver (정전류 LED 구동방식을 사용한 DMX512 수신 장치 제작)

  • Kim, Cheol-Oh;Lim, Kye-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9.10a
    • /
    • pp.121-124
    • /
    • 2009
  • 전 세계적인 에너지 절약 정책에 대응하여 새로운 고효율 LED 및 드라이버 IC의 출시가 활발하다. 단색 또는 칼라 LED를 사용하여 경관조명, 무대조명, 음악분수 등에 많이 활용되는데 다양한 전압 및 LED 구동 방식 등에 따라 LED의 수명과 비용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LED의 밝기 및 색상 등을 조절하여 멋진 연출을 위해 마이크로컨트롤러의 사용이 필수적이고, 다수의 장치를 함께 연동하는 경우에는 이들을 통신으로 연결하여 사용하는데, 본 논문에서 조명 장치에 표준으로 많이 사용하는 DMX512 통신 프로토콜, 몇 가지 정전류 구동 방식에 대해서 살펴보고, 저가격의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사용하여 DMX512 수신 장치를 구현해 보았다.

  • PDF

Temperature Controlling Effect of Side Vent Controller using Difference of Indoor and Outdoor Temperature in Single Span Greenhouse (단동형 비닐하우스의 내외부 온도차를 이용한 측창개폐 제어장치의 내부온도 조절효과)

  • Lee, Si-Young;Kim, Hyung-Jun;Jeon, Hee;Kim, Hyun-Hwan;Kim, Jin-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2002.04a
    • /
    • pp.110-114
    • /
    • 2002
  • 단동형 비닐하우스는 연동형 비닐하우스에 비해 생력화 및 자동화가 미흡한 재배시설이다. 그러나 전국 시설면적 52,189 ha 중 90%이상이 단동형 비닐하우스로서 대부분 초기투자 부담이 적고 파이프를 이용하여 손쉽게 설치할 수 있는 단동형 비닐하우스를 선호하고 있는 실정이다. 단동형 비닐하우스는 각 지역의 특성에 적합한 고유형 시설로 발전하여 왔기 때문에 폭이 5-6m, 높이가 2-3.5m 정도인 대형 터널형태와 폭이 l0m 이상인 광폭형태 등 규격이 다양하게 설치되어있다. (중략)

  • PDF

Method for Power control of Wired and Wireless linkage Sensor Network for Low-power Wireless network (저전력 무선 네트워크를 위한 유무선 연동 센서 네트워크의 전력 제어 방법)

  • Lee, Kyung-Sook;Kim, Hyun-Deok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 /
    • v.12 no.3
    • /
    • pp.27-34
    • /
    • 2012
  • In this paper, using a new low-power consumption method for ZigBee device, which consume low-power using an output power control algorithm through RSSI monitoring as interlocking wireless network using ZigBee which has advantages of a low-power consumption, a low-cost, a compatibility and a draft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enacted by IEEE and ZigBee Alliance, with wired network using built coaxial cable to overcome the disadvantage of the existing wireless sensor network, is proposed. Effectiveness of the output power control algorithm through RSSI monitoring has been verified by experimentation for more optimized low-power consumption.

Development of Fog Cooling Control System and Cooling Effect in Greenhouse (온실 포그 냉방 제어시스템 개발 및 냉방효과)

  • Park, Seok Ho;Moon, Jong Pil;Kim, Jin Koo;Kim, Seoung Hee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29 no.3
    • /
    • pp.265-276
    • /
    • 202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a basis for raising farm income by increasing the yield and extending the cultivation period by creating an environment where crops can be cultivated normally during high temperatures in summer. The maximum cooling load of the multi-span greenhouse with a floor area of 504 ㎡ was found to be 462,609 W, and keeping the greenhouse under 32℃ without shading the greenhouse at a high temperature, it was necessary to fog spray 471.6 L of water per hour. The automatic fog cooling control device was developed to effectively control the fog device, the flow fan, and the light blocking device constituting the fog cooling system. The fog cooling system showed that the temperature of the greenhouse could be lowered by 6℃ than the outside temperature. The relative humidity of the fog-cooled greenhouse was 40-80% during the day, about 20%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eenhouse, and this increase in relative humidity contributed to the growth of cucumbers. The relative humidity of the fog cooling greenhouse during the day was 40-80%, which was about 20%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eenhouse, and this increase in relative humidity contributed to the growth of cucumbers. The yield of cucumbers in the fog-cooled greenhouse was 1.8 times higher in the single-span greenhouse and two times higher in the multi-span greenhouse compared to the control greenhou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