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대산지역

Search Result 58,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Petrological, Geochemical and Geochronological Studies of Precambrian Basement in Notheast Asia Region: 1. Age of the Metamorphism of Jirisan Area (동북아시아지역 선캠브리아 지괴에 대한 암석학, 지구화학 및 지구연대학적 연구 : 1. 지리산 지역 변성암의 변성연대)

  • 박계현;송용선;박맹언;이승구;류호정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9 no.1
    • /
    • pp.29-39
    • /
    • 2000
  • For the determination of metamorphic age of the metamorphic rocks distributed in the Ji-san area of Youngnam massif, Sm and Nd isotopic compositions were analyzed for the whole rock and garnet separates. As the result, we obtained 1799 + 11 Ma from the porphyroblastic gneiss, 1776 +30 Ma from the metapelite, 1714+35 Ma from the mafic granulite xenolith within the porphyroblastic gneiss, and 1776+30 Ma from the metapelite occurred as a xenolith within the quartzofeldspathic gneiss. There have been reports of geologic ages similar to such metamorphic ages of Jirisan area from the other portion of the Youngnam massif, which reveals that very intense metamorphism took place over the vast area of Youngnam massif during the period of 1.7-1.8 Ga ago. The granulite facies metomorphism of the Gyeonggi massif also shows the age similar to this period. Such resemblance in their metamorphic ages suggests that these massifs experienced similar tectonothermal events occurred at about the same Precambrian periods, which implies the possibility that the extension of the collision belt between the north and south China blocks does not extend through some places between the Youngnam and Gyeonggi massifs. On the other hand a quarzofeldspathic xenolith of porphyroblastic gneiss show 1928 +42 Ma which is older than above age of the metamorphism and is identical with the zircon U-Pb age of porphyroblastic gneiss indicating the formation age of the protolith of the porphyroblastic gneiss.

  • PDF

Origin and natural Environment of the Mujechi Highmor Peat Bog Cheongjoksan (정족산 무제치 늪의 성인과 자연환경)

  • 최기룡
    •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 /
    • v.12 no.1
    • /
    • pp.63-76
    • /
    • 1998
  • 한반도는 산악지형이 우세하기 때문에 늪지나 호수의 발달이 불량하다. 현재 소규모 의 자연늪지는 낙동가 하류지역에 분포하며 동해안을 따라 일부 해안지역에 발달하여 있을 뿐이다. 고산지역에도 소규모의 늪지가 최근에 발견되었는데 그중에서도 무제치늪이 국내의 가장 남동쪽에 위치하고 있다. 정족산 정상부를 향하여 4개의 늪지가 차례대로 발달하여있 는데 이들의 성인은 온도차이에 의한 기계적풍화와 암석 차이에 의한 화학적 풍화적작용의 결과로 해석된다, 이들의 형성시기는 제 2늪의 습원퇴적이 가장 오래되 지층으로서 100~ 105cm 심도에서 탄소동위원소 연대측정으로 5,960$\pm$110yr BP. 의결과를 보이고 있드며 제 1늪의 습원 퇴적은 지표로부터 64~69cm 심도의 토탄층 최하부 부분에서 1,785$\pm$120yr BP. 의 연대측정 결과를 확인하였다.

The Geomorphological Development of Marine Terraces UHS (upper higher surface) and HHS (high higher surface) around Yeondae-san, Gampo-Eup, Southeastern Coast of Korea (한국 남동해안 감포 연대산 지역 해안단구 상고위면과 고고위면 지형발달)

  • Hwang, Sangill;Yoon, Soon-Ock
    •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 /
    • v.27 no.4
    • /
    • pp.13-28
    • /
    • 2020
  • In this study, the distribution and topographic development of marine terraces, UHS (Upper Higher Surface) and HHS (High Higher Surface) at Yeondae-san area, Gampo-eup were discussed. We critically examined on the substance of the Yeongdong-myeon (a low-lying erosion surface) in the east coast of Korea. In study area, UHS including UHS-246m, UHS-241m, UHS-235m, UHS-220m, UHS-210m and UHS-220 is found on the highest altitude among the marine terraces in Korea. The existence of UHS requires new interpretation on topographical surface like Yeongdong-myeon, which has been commonly accepted as a theory in the society of Korean Geography. Since UHS is distributed continuously ascending on the altitude of HHS, the period of formation should be understood in the same context. And UHS of paleo-shoreline 246m has been estimated to be formed about 1.5 million years ago.

청주화강암의 U-Pb 스핀 연대

  • 정창식;정연중;길영우;정기영
    • Proceedings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05a
    • /
    • pp.53-53
    • /
    • 2003
  • 남한에 분포하는 현생 화강암류는 트라이아스기-쥬라기의 소위 대보화강암과 백악기-제3기의 불국사화강암으로 분류되어 왔다. 대보조산운동은 대동누층군의 퇴적이후에 일어난 조구조운동을 지칭하므로 트라이아스기의 화강암을 포함하는 대보화강암이라는 명칭은 그와 사실상 직접적인 관계는 없다. 트라이아스기-쥬라기의 화강암은 영덕, 청송 암체 외에는 경상분지 밖에 위치하고 백악기-제3기의 화강암은 속리산, 월악산 암체 외에는 경상분지 안쪽에 주로 분포한다. 트라이아스기-쥬라기의 화강암 중 영광-대전-청주-충주-원주-강릉 방면에 걸쳐 북동-남서 방향으로 분포하는 화강암질 저반은 남한에서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화강암체지만 신뢰할만한 연대측정 자료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 화강암질 저반에 대해서는 Rb-Sr, K-Ar법이 해답을 주기 어렵다. 예를 들어 청주-음성-증평 지역의 화강암류에 대한 Rb-Sr 전암 자료는 분산이 심하며 약 380 Ma에 해당되는 초시선을 보여 기원물질의 불균질성 내지 불완전한 혼합 효과를 반영하고 있다. 옥천대와 영남육괴에 분포하는 일부 화강암체에 대해 잘못 보고된 Rb-Sr 전암연대 역시 모두 중광물의 U-Pb 연대보다 오래된 값을 보이는 것으로 보아 이들은 생성 당시부터 일정한 $^{87}$ Sr/$^{86}$Sr 초기치를 가지지 않고 Rb/Sr 비에 따른 양(+)의 기울기를 가졌음이 확실하다. 과잉의 방사기원 Ar을 가지거나 폐쇄온도가 낮은 광물들을 대상으로 한 K-Ar 자료 역시 화강암체의 관입편대를 정확하게 지시할 수는 없다. 우리는 이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충청남도 청원군의 물류센터에서 채취한 중립질의 흑운모화강암 한 시료에 대한 U-Pb 스핀연대측정 결과를 다음과 같이 보고한다. $^{206}$ Pb$^{*}$ /$^{238}$ U age = 174.6$\pm$2.7 Ma $^{207}$ Pb$^{*}$ /$^{235}$ U age = 170.3$\pm$14.6 Ma $^{207}$ Pb$^{*}$ /$^{206}$ Pb sup */ age = 111$\pm$187 Ma 위에서 볼 수 있듯이 청주화강암의 스핀에 대해 콘코던트(concordant)한 연대가 얻어졌으며 자료의 오차, 스핀의 U-Pb계에 대한 폐쇄온도 및 화강암의 솔리더스(solidus)를 고려할 때 $^{206}$ Pb$^{*}$ /$^{238}$ U 연대인 174.6$\pm$2.7 Ma를 관입정치시기로 해석한다. 동일 시료의 흑운모에 대해서는 145 Ma의 Rb-Sr 연대가 얻어졌으며 따라서 관입이후 약 35$0^{\circ}C$까지 대략 1$0^{\circ}C$/Ma의 냉각속도를 구할 수 있었다. 청주화강암의 쥬라기 중기 연대는 영광-대전-청주-충주-원주-강릉 지역의 화강암질 저반이 대동누층군 퇴적 이후에 일어난 지구조 사건과 연관되었을 가능성을 지시하지만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자료가 요구된다. 우리는 현재 충주, 괴산 지역의 화강암체에 대해서도 스핀 연대측정을 수행중에 있으며 이들 자료를 암상을 구분하여 해석한다면 우리나라 중생대 지구조운동에 대한 새로운 사실이 밝혀질 수 있을 것으로 믿는다.

  • PDF

A Petrological Study of the Mudeungsan Tuff Focused on Cheonwangbong and Anyangsan (천왕봉과 안양산을 중심으로 한 무등산응회암의 암석학적 연구)

  • Jung, Woochul;Kil, Youngwoo;Huh, Min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3 no.4
    • /
    • pp.325-336
    • /
    • 2014
  • Even though Mesozoic Mudeungsan tuff, located within Neungju Basin, has been named several rock names, it should be named as Mudeungsan tuff due to several evidences, such as fiamme, welded texture and rock fragments in the Mudeungsan tuff. Volcanic eruption boundary between the Cheonwangbong and Anyangsan areas is not clear, but petrochemical and mineral chemical evidences with different ages indicate clear petrological boundary between Cheonwangbong and Anyangsan. The Mudeungsan tuffs from Cheonwangbong and Anyangsan is welded crystal tuff with dacitic composition and were generated from cogenetic calc-alkaline magma in the volcanic arc environment. Geochemical events indicate that magma beneath Cheonwangbong was seems to have been evolved from the magma beneath Anyangsan due to fractional crystallization dominated by plagioclase.

Jiri Mountain, Korea : A Window into the Deep Crust (지리산 : 지각 깊은 곳을 들여다보는 창문)

  • Song, Yong-Sun;Park, Kye-Hun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6 no.4
    • /
    • pp.385-398
    • /
    • 2017
  • Jiri Mountain lies in the southwestern portion of the Yeongnam massif, which is one of the Precambrian basement massifs of the Korean Peninsular, consisting essentially of high-grade metamorphic rocks. The geology of the area mainly consists of Paleoproterozoic metasedimentary migmatitic gneisses, granitic gneisses which are classified into granitic gneiss, (K-feldspar porphyroblastic) granitic gneiss and quartzo-feldspathic gneiss, charnockite and anorthosite based on their occurrence and petrographic characteristics. The ages obtained from these rocks mainly span a narrow range between ca. 1,876 and 1,856 Ma although inherited cores of zircons from massive granite gneiss yielded much older age spectrum (>2,029 Ma). The age of major metamorphism is ca. 1850-1840 Ma and the metamorphic condition obtained from mineral assemblages and geothermobarometers is about 4-6 kb and up to $700-750^{\circ}C$.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n the area intense granitic magmatism and metamorphism occurred in the deep crust during Paleoproterozoic orogeny. Some younger age of charnockite (1,856-1,865 Ma) and anorthosite (1,861-1,862 Ma) might indicate the beginning of intraplate rifting leading to felsic and mafic magmatism just after the orogeny. In conclusion, the rocks in the Jiri Mountain area which formed at a mid to deep crustal zone provide us windows into the deep crust.

Neotectonics and late Quaternary Marine Terraces along the Coastal Zone of the Northern Chile. (칠레 북부해안에 발달된 제4기 해안단구(고해수면)와 신구조운동)

  • 한상준
    •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 /
    • v.9 no.1
    • /
    • pp.61-86
    • /
    • 1995
  • 칠레 북부해안에는 여러개의 해안 단구들이 발견되는데 이는 지구조 운동과 하께 해수면 변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단구의 형성시기는 전부 밝혀지지는 않았으며 여전히 논란이 되고 있다,. 안토파가스타에서 이끼케까지 9개지역에서 발견되는 여러단구에 대한 탄 소 연대측정 전자스핀 공명법, 우라늄측정, 아미노산 연대측정 방법들을 이용하여 그 형성시 기를 측정하였다, 그결과들은 기본적으로 3∼4개의 뚜렷한 단구를 선정하여 지역간에 서로 대비하였다, 대부분의 단구들은 산소 동위연소 연대(Oxygen Isotope State) 3에서 11범주에 들어가는데 이것은 계단식 단구들이 단지 지구조 운동만으로 형성된 것이 아니라 전지구 기 후 변동과 밀접하게 관련된 전세계 해수면 변동에 의해 강한 영향을 받았음을 시사한다. 특 히 플라이스토세에 형성된 일련의 해빈 사구들은 플라이스토세 초기에서 중기사이 반복된 간빙기를 나타낸다.

  • PDF

Dendro-anatomical Study for Identification of Pine at Korea (국내산 소나무 식별을 위한 연륜해부학적 연구)

  • Lee, Kwang Hee;Seo, Yeon Ju;Kim, Soo Chul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 /
    • v.38 no.2
    • /
    • pp.109-116
    • /
    • 2022
  • This study identified Korean red pine (Pinus densiflora) and exotic pines (Pinus resinosa, Pinus sylvestris) with a similar anatomical structure using a dendro-anatomical method that applied dendrochronology, tracheid length, and uniseriate ray cell size. Korean red pin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13 national parks, while exotic pine samples were secured from two wood importers. Tracheid length was measured by distinguishing earlywood from latewood, and uniseriate ray height and cell number were determined. As the exotic pine tree-ring chronology was consistent with the foreign standard tree-ring chronology and displayed high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country and region where the pine samples had been felled and the exact felling date were confirmed. According to the results, which compared tracheid length and uniseriate ray size, no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Korean red and Russian pines. However, the tracheid length of the Russian pines turned out to be slightly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Korean red pine. Additional research securing a larger number of exotic pines (P.resinosa, P.sylvestris) is required to yield more accurate results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