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구.개발

Search Result 90,514, Processing Time 0.084 seconds

A Study on Determinants of R&D Efficiency of Technology-Innovation SMEs: Considering the Moderating Effect of CEO's Competency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연구개발 효율성 결정요인 분석: 경영주역량의 조절효과를 고려하여)

  • Jeon, Soo-Jin;Hong, Jae-Bum
    • Korean small business review
    • /
    • v.42 no.4
    • /
    • pp.147-172
    • /
    • 2020
  • This study presents the determinants of R&D efficiency as the focus on CEO's competency, which influences R&D competency and R&D efficiency. The research samples are 6,708 technology-innovatio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The independent variable is the R&D competency(existence of R&D organization, level of R&D personnel, R&D personnel management, R&D investment), the dependent variable is R&D efficiency. The moderator is the CEO's competency(experience level in its own industry, technical knowledge level, technology management strategy, management ability). R&D efficiency measur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puts(level of R&D personnel, R&D investment) and outputs(patent applications, prototype) by the DEA. and the determinant analysis uses Tobit regress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existence of R&D organization and R&D personnel management is positively significant, level of R&D personnel and R&D investment is negatively significant for R&D efficiency. The moderating effect of CEO's competen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D competency and R&D efficiency is significant determinants of CEO's experience(experience level in its own industry, technical knowledge level) and technology management strategy. The finding is to measure the efficiency of R&D performance, and to analyze its determinants as the moderating effect of CEO's competency, using the technology appraisal data. In the conclusion session, the limitations of the research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R&D Investment and Financial Performance: The Moderating of Political Ties (기업의 연구개발투자와 재무적 성과 간의 관계에서 정치적 연계의 조절효과)

  • Park, Junho;Lee, Jangwoo
    •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 /
    • v.29 no.2
    • /
    • pp.31-57
    • /
    • 2021
  • So far, several researchers have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search and development investment and firm performance; however, most have focused on linear relationships. Thus, previous studies remain fragmented and show mixed results.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political t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D investment and firm performance. We tested the hypotheses based on extensive 20-year data on enterprises, from 1998 through 2017, as the research period. The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explaining the mixed results of the research between research and development investment and firm performance.

A Study on the Methodology for the Extraction of Core R&D Project (중점 연구개발과제 도출 및 기획을 위한 방법론 연구)

  • Shin, Sungsik;Rim, Myu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365-366
    • /
    • 2015
  • 국가 차원의 연구개발사업 분야 발굴 및 중점 연구개발과제 도출에 필요한 프로세스를 연구한 것으로 연구개발과제의 필요성, 추진내용, 산업-기술연관로드맵, 추진전략, 소요예산, 기대효과 등을 어떻게 구성하고 작성해야 하는지 실무중심으로 프로세스를 제시하고 있다. 이 논문은 스포츠산업 기술개발사업의 중단기 기술개발의 중점 연구개발과제 도출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방법론으로 연구된 것이다.

  • PDF

신기술 발전 추세에 부응한 무기체계 연구개발 절차 개선방안

  • Jeong, Won-Mo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8 s.282
    • /
    • pp.22-31
    • /
    • 2002
  • 우리 군도 신기술 발전 추세에 부응하여 연구개발단계 중에서 탐색개발 단곌ㄹ 통합하여 불요불급한 절차를 단축하고, 핵심기술 연구 확대 및 사전계획성능개량 의무화, 연구개발 기간을 3년 이내로 한정하는 등 체계개발을 위한 제반 여건과 방식을 개선해야 한다. 또한 DFSS의 도입 및 시험평가 제도 개선을 통한 실시간 연구관리체계를 구축하여 사업주관부서의 연구개발 통제력을 강화하고, 연구개발 예산편성 방법을 개선하여 신기술 분야 핵심기술 연구를 활성화시켜야 할 것이다.

  • PDF

방위산업 활성화 방안 연구(4)

  • Choe, Seok-Cheol;Yang, Mi-Ho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10 s.296
    • /
    • pp.64-75
    • /
    • 2003
  • 정부차원에서 연구개발 및 기술관리에 대한 노력이 강화되어야 한다. 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하여 안정적인 국방연구개발비의 투자와 연구개발에 있어서 비용절감과 위험부담을 감소시키고 기술개발 촉진이 가능한 개방적/경쟁적 연구개발체제 및 민.군 겸용기술 개발이 촉진되어야 한다. 또한 정부와 업체차원에서 방산물자 수출활성화와 국제협력 강화노력이 필요하다. 수출활성화를 위해서는 앞에서 언급한 방산연구개발 및 기술관리, 생산관리의 개선을 통한 우수한 제품의 개발과 방산제품의 가격경쟁력이 확보되어야 한다.

  • PDF

Development of Light Seat for high Speed Railroad (고속전철용 경량 시트 개발)

  • 최기섭;구재광;박세진
    • Proceedings of the KSR Conference
    • /
    • 2000.11a
    • /
    • pp.198-209
    • /
    • 2000
  • 본 연구는 '선도기술개발사업' 중 최고운행속도 350㎞의 한국형 고속전철 시스템개발 및 관련 핵심기술 확보를 사업 목표로 하는 '한국형 고속전칠 기술개발 사업' 연구과제의 하나로 수행된 과제이며, 한국형 고속전철에 적용하기 위한 한국인의 정서와 체형에 적합한 한국형 경량 Seat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경량 Seat 개발을 위한 기초기술 연구로서 인간공학적 Seat 설계기술 개발, 경량 소재 개발, 구조물 접합기술 개발, 난연소재 개발, A/V 내장기술 개발 등의 연구를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토대로 하여 경량 Seat의 Prototype 설계와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Mock Up Seat를 제작하였다.

  • PDF

The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ization process in government-sponsored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Korean Case (정보통신 국책개발 기술의 상용화과정 특성에 관한 연구)

  • 이영덕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19-35
    • /
    • 2001
  • 우리나라에서 수행된 국책연구개발기술과 관련된 기존 연구는 주로 기술개발에 초점이 맞추어진 관계로, 개발기술의 상용화는 연구개발 결과평가요인의 하나로서 다루어졌을 뿐, 그 자체를 효율화하기 위한 체계적인 연구는 없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러한 결과로 실제 국책연구개발의 기술적인 이전이 부족하고, 여러 분야에로의 2차 확산을 통한 상용화에 대한 성공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또한 국내에서 출원된 특허를 포함한 산업재산권의 휴면 율이 55%-65% 수준에 이르고 있다. 이와 같이 연구개발기술의 산업계로의 확산이 부족한 관계로 국제적인 기술경쟁력의 제고가 어려우며, 기술발전과 산업발전이 상호 작용하는 선 순환적 구조를 이루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기술집약형 중소기업 또는 기술벤처기업을 통한 정보통신산업분야의 정부지원 연구개발 기술의 상업화를 촉진하기 위한 효율적 방안의 도출을 위하여, 일차적으로 연구개발 기술의 상용화프로세스 모형을 도출하고, 다음으로 도출된 모형의 단계별 특성에 대한 기술개발자, 기술사용기업, 지원기관간의 중요도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기존의 기술상용화 관련문헌 분석과, 우리나라의 정보통신 분야의 상용화 특성분석을 통하여, 우리나라 기술개발특성에 맞는 6 단계의 상용화프로세스 모형, 즉 1) 연구개발 계획 및 제안서 작성, 2)연구개발의 수행, 3)개발기술의 인큐베이팅과 시작품제작, 4)테스팅, 엔지니어링 및 시험생산, 5) 공장입지 결정 및 대량생산, 6) 시장판매, 마케팅 및 확산 등을 도출하였다. 아울러 동 모형의 단계별 특성을 설문지로 작성하여, 기술사용기업(벤처기업 및 기술집약형 중소기업), 기술개발자(국책연구소, 대학, 및 일반기업), 관련기관(정부, TBI운영기관, 정책 및 지원기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회수 및 사용된 142개 설문지 분석을 통하여, 일차적으로 정보통신 국책개발기술의 상용화에 관한 변수들의 중요도 순위로 본 중요도 실태를 분석하였으며, 나아가 이들 변수에 대하여 앞에서 제시한 기술사용기업-기술개발자-관련기관 즉 세 집단 간의 차이분석 즉 ANOVA 분석을 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우리나라 정보통신 국책연구개발기술의 상용화와 관련된 특성을 도출하는 동시에, 이를 촉진하기 위한 인프라조성과 관련한 중요한 특성 및 지원정책 대안을 도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