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구수행

Search Result 68,893, Processing Time 0.079 seconds

A Study On Method Of Local Software Restore Using Remote Software Object Information (원격지 소프트웨어의 객체정보를 활용한 로컬 소프트웨어로의 복구 방법에 관한 연구)

  • Song, Ho-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04a
    • /
    • pp.1283-1285
    • /
    • 2012
  • 수행중인 로컬 소프트웨어의 내부 실행상태를 실시간으로 원격지의 소프트웨어로 반영하여 예상치 못한 장애 상황에서 실행 중이던 소프트웨어를 끝까지 수행 할 수 있도록 복구 방법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방법은 수시로 소프트웨어 내부 상태 정보를 외부의 저장 서버로 전송하게 되며 원격에 존재하는 소프트웨어에서 그 저장 정보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최신까지의 상태를 업데이트 하여 원래의 소프트웨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갑작스런 하드웨어 장애 발생시 상태 점검 프로세스에 의해서 점검되며, 장시간에 걸쳐 수행되고 있는 소프트웨어를 다시 처음부터 수행하지 않고 실시간 정보를 통하여 계속적으로 수행을 완료 할 수 있게 된다. 장시간 동안 시뮬레이션 하는 시스템에서 적용 될 수 있으며 특히 OS 종류나 Server 종류에 종속 되지 않고 동작하며 소프트웨어 개발에 있어서도 프로그램 랭귀지에 상관 없이 구현 할 수 있다.

Effects of Leader Selection Procedure and Collective Efficacy on Group Performance (리더 선출 방법과 집단 효능감이 집단수행에 미치는 영향)

  • Cho, Eun-Nu-Ri;Seok, Dong-Heon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1 no.6
    • /
    • pp.227-235
    • /
    • 2020
  • This study expanded the superiority of random leader selection procedure on group decision-making task to actual group performance task, and examined the interaction effects of leader selection procedure(LSP) and collective efficacy(CE) on group performance. 2(LSP: formal/random)×2(CE: low/high) between subject design was used. The result revealed the significant main effect of LSP, which showed that groups with random leader performed better than those with formally selected leader. Further,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f LSP and CE revealed that when group's CE was high, group with random leader performed better than group with formally selected leader, and th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was not significant when group's CE was low.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LSP should not impair shared social identity of the group in order to maintain the positive effect of CE on group performance. The necessity for expanding these results to work team was discussed.

업종별 산업간호사의 보건관리업무 분석

  • Yun, Sun-Nyeong;Park, Jeong-Hui;Kim, Myeong-Sun;Im, Hye-Gyeong;Lee, Ae-Gyeong;Lee, Nam-Jun;Hyeon, Hye-Jin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 /
    • v.2
    • /
    • pp.13-25
    • /
    • 1992
  • 본 연구는 업종별 산업간호사의 보건관리업무의 내용과 수행정도를 측정하고 업종별 보건관리업무 수행정도를 비교 분석코저 한다. 연구방법은 산업간호사회에 등록된 산업장중 서울, 인천, 마산, 창원, 부산, 울산 지역에 있는 130개 산업장을 임의로 선정하여 산업간호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자료분석은 반도와 백분율, 업종간의 보건관리업무 내용별 수행정도는 일원분산분석과 다중검증 비교로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업종별로 산업간호사의 업무수행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보건관리내용은 서비스업에 있어서 근로자의 건강사정에 대한 수행정도가 제조업과 기타제조업에서 보다 높게 나타났다.(F=4.23, P=.0167) 반면에 근로자의 건강진단과 계속관리, 작업환경 관리업무 수행정도는 제조업과 기타제조업에서 서비스업보다 높게 나타났다.(F=9.78, P=.0001 ; F=5.366. P=.005) 2) 업종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보건관리내용은 산업장진단 또는 건강문제분석, 보건교육, 통상증상에 대한 투약, 기록과 보고, 건강관리실 운영 등이었으며 업무수행정도는 가끔 또는 필요시하는 정도로 나타났다. 반면에 조사, 연구 참여에 대한 수행정도는 세 업종 모두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산업장 간호사의 신규교육이나 직무교육과정운영이 업종별로 운영되어야 함을 시사해 준다고 볼 수 있으며 또한 산업간호사의 직무 중 보건 교육, 통상질환에 대한 투약, 기록 및 보고, 건강관리실운영등은 업종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으나, 수행정도는 낮은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실제적인 직무교육이 강화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보건교육도 업종별로 차이가 있으므로 다양한 보건교육교재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PDF

The Study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clinical competence, and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students (간호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과 임상수행능력 및 임상실습만족도에 관한 연구)

  • Yang, Jin Ju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5 no.1
    • /
    • pp.443-449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clinical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in a college nursing students.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self reported questionnaires about clinical performance,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given to 55 nursing students at June, 2017. Results: The mean score of total clinical performance was 3.70 (${\pm}.54$). Total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was 3.57 (${\pm}.44$) and clinical satisfaction was 3.93 (${\pm}.72$). Regarding clinical performance, psycho-social competence was highest followed by basic care competence, educational care competence, nursing process competence, observing and monitoring competence, and nursing intervention competenc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clinical competence. Conclusion: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developing various clinical education and teaching learning methods for clinical competence is necessary to promot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nursing students.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valuation Procedure for the Educational Facility Safety Certification (교육시설의 안전인증 평가절차 개선 연구)

  • Seung-Hoon, Han;Seung-Ju, Choe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14 no.1
    • /
    • pp.99-114
    • /
    • 202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view the adequacy and applicability of the safety certification system for educational facilities which was implemented in 2021 and to derive possible improvements to the existing certification system. This study analyzed the existing certification system, examined similar systems from abroad, conducted interviews with certification experts, and presented the proposed improved system to experts for review and advice. The proposed model replaced the current certification process with three stages of follow-up management. This allows for problems that may occur in the evaluation process and the composition of evaluators to be prevented by applying a feedback system. In the review stage of the newly proposed certification system, certification experts recommended specifying the detailed standards of certification performance such as criteria for selecting examiners and arbitrators. They concluded that there were no fatal flaws in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evalu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review, the proposed evaluation system was proven to be an effective improvement to the existing system.

The Influence of Nursing Students' Learning Experience, Recognition of Importance, and Learning Self-Efficacy for Core clinical Nursing Skills on their Self-Confidence (간호대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에 대한 학습경험과 중요성인식, 학습 자기효능감이 수행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 Kim, Soon Ok;Kang, Bok 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451-452
    • /
    • 2016
  • 본 연구는 핵심기본간호술 학습경험과 중요도인식, 학습 자기효능감이 수행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학습전략 마련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D지역 소재 일개대학 간호학과에 재학중인 학생 23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학습경험은 학년에 따라, 학습 자기효능감과 수행자신감은 전공만족도와 실습만족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핵심기본간호술 학습경험과 수행자신감, 학습 자기효능감과 수행자신감에서 긍정적 상관관계, 수행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습 자기효능감과 학습경험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전략 수립 시 학습 자기효능감을 강화시키고, 학습경험을 증가시키는 방안이 필요하다.

  • PDF

Scientists Behaving Badly, Why? : 연구윤리의 저해요인들

  • Park, Gi-Beom;Kim, Jong-Yeong;Lee, Gwang-Ho
    • 한국과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6a
    • /
    • pp.1-34
    • /
    • 2008
  • 본 인식 조사에서 나타난 결과와 개선 방안의 도출과 관련한 시사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연구부정행위 실태는 우려할만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위조, 변조, 표절, 부당한 저자 배분, 업적 부풀림 등 연구부정행위에 대해 연구비 유용이나 횡령보다 훨씬 더 만연한 것으로 응답하였다. 연구부정행위가 발각되는 정도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였으나 처벌의 수위는 엄격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인의 연구윤리 의식이 타인에 비해 높은 것으로 자부하고 있으나 부정행위 인지시의 행동에 대해서는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행동과 자신의 예상 행동 사이에 괴리를 보였고,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행동도 매우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부정행위 실태 조사에서 나타난 중요한 사실은 주로 기초 연구를 수행하는 과기부/교육부 사업 수행자가 응용이나 개발 연구를 수행하는 산자부/정통부 사업 수행자에 비해 자신의 연구 분야에서 연구부정행위가 훨씬 더 만연해 있는 것으로 응답한 것이다. 둘째, 가장 심각한 연구윤리 저해 요인에 대해서는 단기간 성과의 강조, 연구 수주의 경쟁 심화, 정량적 성과 주의 등을 꼽았으며, 전체적으로 개인적/문화적 요인보다는 구조적/조직적 요인, 특히 구조적 요인이 더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신뢰도 분석 결과 제3장에서의 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구조적, 조직적, 개인적, 문화적 요인의 구분은 유효한 구분으로 나타났다. 대학에 비해 정출연 소속 연구자들이 구조적 요인이 연구부정행위와 더 관련이 많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기업 소속 연구자들은 구조적 요인이나 조직적 요인과의 관련성이 더 적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어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여러 저해 요인들이 대학이나 정출연에 더욱 밀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적 요인에 대해서는 여성이나 고연령층에서 부정행위와의 관련성을 더 크게 느끼고 있었다. 셋째, 개선 방안에 대해서는 과도한 연구비의 집중 방지, 소규모 개인과제 확대, 평가의 전문성과 공정성 확보를 가장 효과적인 방안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부정행위에 대한 처벌의 강화와 양적 평가의 개선에 대해서도 효과를 높이 기대하고 있었다. 연구윤리 교육이나 상대 평가의 강화, 진실성 검증 시스템의 보완 등에 대해서는 큰 효과를 기대하지 않고 있었으나 이는 국내에서 그동안 연구윤리에 대한 체계적 교육이나 진실성 검증 시스템이 존재하지 않은 탓에 연구자들이 그 효과를 잘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개선 방안을 크게 평가, 선정, 수행, 연구윤리의 인프라로 구분하였을 때에는 선정과 평가와 관련된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사업별로는 과기부/교육부 사업 수행자가 선정과 관련된 개선의 효과를 더욱 크게 느끼고 있었고 소속기관으로는 대학 연구자들이 더욱 크게 느끼고 있어, 소규모 과제의 확대와 연구비 집중 문제 해결, 경쟁 완화 등이 대학과 기초연구분야에 더욱 절실하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전체적으로 제시된 세부 항목에 대해 과기부/교육부 사업 수행자가 산자부/정통부 사업 수행자보다 효과성을 높게 보고 있는 것은 연구부정행위 실태에 대해서도 더 심각하게 인식하는 것과 맥락을 같이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여러 개선 방안들을 단계적으로 적용한다고 할 때 우선 기초연구나 개인 단위 과제 중심으로 적용하는 것이 효과성이나 필요성의 측면에서 모두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Convergence Study on Mediating Effect of Clinical Compet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Retention Intention among New Graduate Nurses (신규간호사의 그릿과 재직의도의 관계에서 임상수행능력의 매개효과에 대한 융복합적 연구)

  • Ko, Jin-Hee;Gu, Mee-Ock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1 no.4
    • /
    • pp.369-380
    • /
    • 202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ate the mediating effect of clinical compet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retention intention among new graduate nurses. Participants were 232 nurses working at hospitals with over 300 beds in Korea.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following the Baron and Kenny method and Sobel test for mediation.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grit and clinical competence(r=.38, p=.011), grit and retention intention(r=.32, p=.016), and clinical competence and retention intention(r=.33, p<.001). Clinical competence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retention intention(z=3.14, p<.001).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terventions enhancing grit would be useful to improve retention intention of new graduate nurses.

Convergence among Resilience,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Stress in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Students (간호대학생의 회복탄력성, 임상실습 수행능력, 임상실습 스트레스 간의 융합관련성)

  • Shin, Mi-Ja;Chun, Yeol-eo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9 no.2
    • /
    • pp.19-32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nvergence that resilience has on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and stress in clinical practice in order to prepare effective educational materials for clinical practice. The results showed that satisfaction of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of nursing major and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had significant effects on resilience,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and stress in clinical practice. Also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ilience and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of nursing students was positive(r=.510).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ilience and stress in clinical practice was negative(r=-.153).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re is a need to improve resilience of nursing students to promote the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and to lessen stress in clinical practice. The results should be reflected in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programs.

Convergence Effect of Locus of Internal & External Control, Stress and Fatigus on the Geriaic Hospital Nurses' Terminal Care Performance (요양병원 간호사의 내·외적 통제신념과 임종간호 스트레스 및 피로 관계에서 임종간호 수행의 융복합적 영향)

  • In, Hee-Young;Yun, Mi-Jin;Kwon, Young-Chae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7 no.12
    • /
    • pp.329-336
    • /
    • 2019
  •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hat examines the level of terminal care nursing care and the effects on terminal nursing in the internal and external control beliefs of nurses in the nursing geriaic hospital.. The subjects consisted of 442 nurses,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tructured questionnaire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that used SPSS WIN 22.0, and AMOS 5.0 statistical program was hypothetical model and path analysis of research hypothesis. As a result, terminal care of geriatric hospital nurses was statininificant to the terminal care stress, fatigue and locus of internal & external control. and the higher the internal control belief, the less stress of the terminal care and the higher the terminal care performance As a result, this study providers a more terminal care performance, It is considered that nursing hospital nurses who develop strategic programs and terminal care nursing will need to provide quality nursing education and work environment improv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