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구경험

Search Result 17,777,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The Effect of Dynamic Shopping Experience on Experiential Perception of Value : Internet Shopping and TV Shopping (동태적 쇼핑 경험이 경험 가치 지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인터넷 쇼핑과 TV 홈쇼핑을 중심으로)

  • 이승창;유수연
    • Proceedings of the Korean DIstribution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05a
    • /
    • pp.149-175
    • /
    • 2003
  • 1990년대 이후 인터넷을 비롯한 각종 기술의 발달로 TV 홈쇼핑, 인터넷 쇼핑, 카탈로그 쇼핑, 모바일 쇼핑 등과 같은 새로운 소매업태가 등장함에 따라 각기 다른 소매업태, 즉 각기 다른 쇼핑 환경들이 어떻게 소비자의 가치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인지 심리학의 한 이론인 인지 연속성 이론의 동태적 과업시스템을 소비자의 쇼핑 행동에 적용하였다. 즉 소비자의 쇼핑 경험을 소비자와 쇼핑 환경이 상호작용하는 동태적 과업으로 간주하였으며 이에 따른 가치지각을 연구하고자 한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동태적 쇼핑 경험의 구성요소로서 내ㆍ외면적 특성인 소비자의 쇼핑성향과 쇼핑 환경을 정의하였으며 소비자의 경험가치에 있어서는 Holbrook의 경험가치 척도를 적용하여 소비자의 동태적 쇼핑경험이 쇼핑가치지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경험가치척도는 경제적 가치, 효율성, 내면적 즐거움, 현실도피성과 같은 추구 가치와, 시각적 매력, 엔터테인먼트 가치, 서비스 우수성과 같은 수동적 가치로 구분되며 실증분석 결과 이러한 경험가치들은 각각 동태적 쇼핑 경험의 내ㆍ외면적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영향을 받는 것이 검증되었다.

  • PDF

The Effect of Memorable Tourism Experience(MTE) on Destination Satisfaction and Loyalty (기억할만한 관광경험(MTE) 측정척도 기반의 관광지만족도 및 충성도 연구)

  • Yoon, Yooshik;Yoo, Hana Hyunkyung;Kim, Miseong;Song, Raeheun
    • Korea Science and Art Forum
    • /
    • v.28
    • /
    • pp.175-184
    • /
    • 2017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between the components of memorable tourism experience(MTE) and satisfaction, as well as loyalty. Research method and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Using the advance research of memorable tourism experience theory, the measurement scales were developed for the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major cities in Dajeon, Korea between Jun. 1~Jul, 10, 2016. Of the 295 surveys collected, the researchers retained 274 usable responses. Data were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 among characteristics of memorable tourism experience, satisfaction, and loyalt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omponents of memorable tourism experience comprise nine factors. Moreover, part of the factors revealed to have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satisfaction and loyalty.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implications for determining how tourism operators should prioritize their business resources in developing tourism programs.

Is the statement, "What is beautiful is usable", always true?: The Empirical Research on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Usage Perio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esthetics and User Experience (What is beautiful is usable이 항상 유지되는 것인가?: 심미성이 사용자 경험 요소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용 기간의 조절 효과에 대한 실증적 연구)

  • Kim, So-Lyung;Kim, Ji-Hyun;Lee, In-Seong;Kim, Jin-Woo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2a
    • /
    • pp.776-784
    • /
    • 2009
  • 2000 년 이후부터는 HCI 분야에서도 감성적 측면의 연구 중에서 특히 미학(Aesthetics)과 아름다움 (Beauty)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 기존 HCI 분야가 유용성, 사용성과 같은 인지적 측면의 경험 요소들을 추구하기 위해 집중했다면, 최근에는 심미성이나 즐거움 등과 같은 감성적인 측면의 경험 요소도 함께 중시하는 추세이다. 심지어 실용적인 측면을 강조했던 핸드폰이나 냉장고 등의 전자제품에서도 디자인의 심미성과 같은 감성적인 측면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현재까지 HCI 분야에서 심미성에 대한 연구가 다수 진행되어왔다. 그 중에서 Tractinsky (2000)는 지각된 심미성과 지각된 사용성이 양의 상관관계를 가짐을 보여주었다. HCI 분야에서 Tranctinsky 와 더불어 Hassenzahl (2004, 2008) 역시 심미성과 다른 사용자 경험 요소들의 상관관계를 밝히기 위해 여러 시도를 해오고 있다. 그러나 상위 연구들은 주로 심미성과 다른 사용자 경험 요소들과의 상관관계에만 초점을 맞추었고, 모두 실험 상황에서만 연구가 진행되었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즉, 실험 상황에서 도출된 결과는 실제로 사용자가 구매 시점이나 사용 상황에서 심미성을 얼마나 중요하게 고려하는지, 심미성 다른 사용자 경험 요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 영향력이 사용 경험에 따라 변화가 없는지 사용 정황이 반영된 시사점을 찾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크게 두 가지 목적을 가지고 있다. 첫째, 지각된 심미성이 다른 사용자 경험 요소들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고, 둘째, 지각된 심미성이 다른 사용자 경험 요소에 미치는 영향력을 사용 경험 기간의 조절효과 관점에서 연구하는 것이다. 우선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 경험 요소를 다차원적인 관점에서 접근하여, 여러 사용자 경험 요소들을 실용적 차원과 유희적 차원으로 나누었다. 그리고 사용 경험 기간의 조절효과를 보기 위해, 장기간 사용하는 전자제품을 선정하고 이를 실제로 사용하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대규모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Tractinsky(2000)의 기존 연구를 사용 기간의 조절효과 관점에서 진행한 것에 의의를 가질 뿐만 아니라,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제품 개발이나 디자인 종사자들에게 HCI 관점의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PDF

A Marketing Theory-Based Approach to Customer's Perceived Shopping Experience (고객의 지각된 쇼핑경험에 대한 마케팅 이론적 접근)

  • Yoon, Sung-Joon;Choi, Dong-Choon
    • Asia Marketing Journal
    • /
    • v.10 no.1
    • /
    • pp.95-131
    • /
    • 2008
  • This study serves the main research purpose of verifying the hypothetical relationship between antecedent and consequence variables of shopping experience based on the classification system by Schmitt (1999) who dimensionalized experience into five components (sense, feel, think, act, relate). Specifically, the study seeks to fulfill the following three research objectives. First, it substantiates dynamic relationships among the five experiential components comprising the strategic experiential modules that serve as the basis of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he study. Especially, it focuses on interactive relationships among the experiential components by taking a holistic view of the experience. Second, the study seeks to uncover the effects of pre-experiential antecedents such as shopping motivation and shopping involvement, based on taxonomy of motivation as product-centered vs. experience-centered. Third, the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shopping experience on intention to revisit with regard to department store, discount store, and Internet shops, based on customers' store experiences. The major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ive experiential components were found to have a high level of correlations according to hypothesis verification. Second, shopping motivation was learne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preference toward thinking as well as feeling experiences. That is, product-centered (vs. experience-centered) shopping motivation exerted a greater influence on cognitive (vs. affective experience than affective (vs. cognitive) experience.

  • PDF

과학경험 측정을 위한 도구 개발 및 적용 : 고등학생 사례를 중심으로

  • Kim, Nak-Gyu;Ryu, Chun-Ryeol;Lee, Chang-Jin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4a
    • /
    • pp.17-17
    • /
    • 2010
  • 본 연구는 학생들의 과학 경험의 정도를 정량화 하는데 있어 통일된 측정 도구를 제시하는 것이다. 측정 도구를 구성하는 요인들은 선행연구를 통해 학교 안 과학 경험은 일반 활동 경험, 과학 탐구 경험, 실험 기구 경험으로 세분화 되며 학교 밖 과학 경험은 일반 활동 경험, 취미 활동 경험, 현장 견학 경험 6개의 영역으로 구분을 할 수 있었다. 각각의 요인을 구성하는 질문은 NAEP(1987)에서 사용된 과학 경험 검사 도구와 신영준(2000)의 과학 경험 검사 도구의 문항 중 일부를 발췌하고 더불어 과학 경험에 대한 개방적인 설문지를 통하여 1차 검사를 실시하여 얻은 답변 중 빈도가 많은 답변과 중등 교과서의 탐색적 분석을 통해 영역별 10문항씩 6개 영역의 문항을 선정하였다. 사전 설문조사와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개발한 검사지를 고등학교 1학년 학생 413명을 대상으로 2차 검사를 실시하였다. 개발한 측정 도구의 타당도는 내용타당도와 구인타당도로 검사하였다. 내용타당도는 2명의 현직 중등교사와 2명의 과학교육전문가가 각 문항이 측정하고자 하는 목적에 부합하는지 심사하였고, 구인타당도는 요인분석을 통해 검사하였다. 신뢰도는 Cronbach $\alpha$를 통하여 문항을 분석하였다. 6개의 영역의 요인에 대하여 타당도와 신뢰도 분석 결과 6개 영역으로 구성된 60문항의 측정 도구는 학생들의 과학 경험을 측정하는 도구로서 적절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 PDF

Flow Experiences in Goal-Directed and Experiential Activities (목표지향적 행위와 경험지향적 행위 시의 플로우(Flow) 경험에 대한 연구)

  • Jang, Phil-Sik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2 no.2 s.46
    • /
    • pp.341-348
    • /
    • 2007
  • The focus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flow occurs during both goal-directed and experiential activities, if experiential and foal-directed flow states differ in terms of various measures and dimensions. Fifty male and eighteen female subjects were participated in controlled, comparative experiment between goal-directed and experiential activities in problem-solving tasks. The findings indicate that subjects experience more curiosity and involvement(focus) in problem solving tasks with experiential activities. However, the results showed subjects experience more enjoyment in tasks with goal-directed activities.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more sophisticated and quantitative measures in various dimensions should be constructed and verified in order to apply flow theory to human-computer interaction.

  • PDF

Ethical perception from practice of ethics education (윤리 교육경험에 따른 윤리 지식수준에 관한 연구)

  • Kim, Yun-Jeong;Kwag, Jung-Su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 /
    • v.7 no.2
    • /
    • pp.115-122
    • /
    • 2007
  • 이 연구는 보건계열 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들의 윤리교육 경험과 윤리교육 필요성인지에 따른 윤리지식수준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보건계열 학과에 재학 중인 596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법에 의한 설문조사법으로 2005년 4월 한달 동안 실시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연구도구로 독립변수는 의료 윤리 교육경험, 전문윤리 교육경험, 직업윤리 교육경험, 임상실습 경험, 전문윤리 교육 필요성 인지, 의료윤리 교육 필요성 인지이었고, 종속변수는 면허관련법규 지식수준, 전문윤리 지식수준, 의사결정판단 지식수준, 팀웍 지식수준이었다. 수집된 자료를 SPSS 12.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와 t-test를 실시한 결과, 임상실습경험 직업윤리 교육경험 의료윤리 교육경험, 전문윤리 교육경험, 전문윤리 교육 필요성 인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이 중 직업윤리 교육경험에 따라서는 4가지 윤리지식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상적으로 학교에서의 윤리교육이 이루어져야 하고, 일반 윤리교육에 비해서 직업 윤리교육이 강화되어야 한다고 사료되었다.

  • PDF

Development of Evaluation Tool on Music Casting Based on Customer Experience (고객경험을 기반으로 한 인터넷 음악 방송 사이트 평가도구의 개발)

  • 박수정;김현정;변진식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7 no.2
    • /
    • pp.289-300
    • /
    • 2004
  • Recently, web casting on the internet has been expanding in number and size. Web Casting i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television broadcasting since it can transmit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through multimedia and it also can include interaction between users and broadcasting server. User experience by interaction becomes more important. Therefore, it is needed to win over customers by supplying satisfied experience through creative and different services, especially when there are consider competitions among music casting sites. In order to know how to make customers satisfied, we have to try to inspect what real customers in the Web Sites are acting and thinking, namely 'customer experience'. The 'customer experience' means every experience what users are expecting, doing, thinking and feeling when they stay in the Web site and online. In this thesis, the evaluation Guideline for music casting websites is developed by understanding customer experience on the music casting websites.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customer experience was implemented through user observation methods, such as web Diary, group interview, and questionnaire. As a result of the study, 67 evaluation Guidelines with weight rate in 6 categories which are searching music, listening music, music video, music broadcasting, music mailing and other contents are developed. It can be used to analyze strengths and weakness of music casting sites and to establish business strategy for the more satisfied customer experience.

  • PDF

사업경력 유무에 따른 사업에 대한 태도의 차이에 관한 연구

  • Ha, Gyu-Su;Kim, Sang-Beom;O, Seong-Bae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8a
    • /
    • pp.163-191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조사대상자의 사업경력, 즉 사업운영경험이 있는지의 여부, 사업실패경험이 있는지, 현재 사업을 하고 있는지에 따라 사업 및 가족기업창업과 관련한 태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또한, 사업 및 가족창업 관련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어떤 것인지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성이 여성보다 사업운영경험, 사업실패경험이 많았고, 현재 사업을 운영할 가능성이 많았다. 사업을 운영한 경험이 있는 경우 그리고 사업을 운영하고 있는 경우 대학원 졸업자의 비중이 많아 사업자가 고학력자임을 알 수 있었고, 연령이 평균 45세로 비사업자보다 연령이 높았으며, 부모가 창업한 경험이 있는 경우가 많았다. 둘째, 사업운영경험이 있는 경우, 사업실패경험이 있는 경우, 현재 사업을 운영하는 경우 대체로 사업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었고, 사업실패후처리 평가 시스템에 대해 부정적 태도를 보였으며, 사업실패두려움이나 사업실패위험에 대해 강하게 인지하고 있었고, 가족창업에 대해 적극적인 태도를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남성 그리고 사업경험이 있는 경우 사업에 대해 긍정적 태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남성, 사업실패위험에 대해 강하게 인지할수록, 사업실패경험이 있는 경우 사업실패에 대해 더 두려워하고 있었다. 끝으로, 남성, 부모가 창업한 경험이 있는 경우, 사업운영경험이 있는 경우 가족창업의지가 적극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 PDF

Customer-Brand Relationship Quality and Relationship Strength (서비스 브랜드경험이 소비자-브랜드 관계의 질 및 관계강도에 미치는 영향)

  • Kim, Youn Hwan
    • Management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32 no.4
    • /
    • pp.225-254
    • /
    • 2013
  • This research tries to examine the effect of brand experience in service marketing perspective for generalized application. The analysis was held with customers who recently visited in retail stores by using SPSS18K and Smart PLS 2.0. The study verifi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hypothesizing the relationship among brand experience, relationship quality, and relationship strength.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four brand experience factors have positive effect on the relationship quality. In detail, the effect of sensory experience was strongest. Furthermore, the effect of relationship quality on relationship strength also significant as prior researches addressed. The research has several marketing implication on brand experience management and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For service firms, customers' perception of positive brand experience can generate the tangible and intangible performance in the relationship marketing perspectiv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