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구개발 정책

Search Result 7,284,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방위산업의 필요성과 육성과제

  • Chu, Ho-Seok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1 s.227
    • /
    • pp.60-67
    • /
    • 1998
  • 과감한 국방과학기술 연구비의 투자증가, 방산시설 유휴화 대책 마련, 업체주도 연구개발의 권장, 방산물자의 수출 지향적 정책 추진, 첨단무기 개발정책의 선행, 그리고 정부와 방산업체간의 지속적인 정책논의를 통한 방위산업 육성 정책을 정부 차원에서 강력히 시행해야 한다.

  • PDF

STEPI 연구 소개

  • Science & Technology Policy Insisute
    • Science & Technology Policy
    • /
    • v.1 no.3 s.3
    • /
    • pp.21-21
    • /
    • 1991
  • 당 연구소는 1987년 설립 이래 과학 기술 정책 연구 66건, 특정 연구 개발 과제 17건 및 기본 연구 과제 10건 등 주요 연구 과제와 현재 수행 중인 주요 연구 과제는 다음과 같다.

  • PDF

우주과학이 우주개발정책 및 경제 사회발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김두환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1993.04a
    • /
    • pp.21-21
    • /
    • 1993
  • 오늘날 모든 산업분야에서 기술혁신은 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신세대의 기술을 도외시하고는 어느국가, 어느기업도 세계의 시장경쟁력에서 이겨내지 못한다. 이러한 시장 및 기술정쟁력에서 뒤지게 될 정우 우리의 산업과 정제는 성장하지 못하게 되고, 또한 나라 살림이 어렵게 되어 기초과학인 천문학이나 우주과학분야의 연구환경이 더욱 어렵게 되어 천문우주과학분야의 연구활동이 침체될 가능성이 있다. 나라마다 사정은 다르지만, 세계 각국은 과학기술개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그나라의 실정에 맞추어서 연구개발투자를 위한 과학기술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대체로 보면 정계적\ulcorner사회적 needs에 따라 긴급성과 중요성을 기준으로 연구개발 우선순위가 결정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처럼 경제사정이 어려운 나라일수록 이러란 경향이 높은 것은 당연한 일이다. 그리고 아직 국민들에게 낯설고, 정부에서도 관심이 없는 우주과학 분야의 연구개발의 우선순위가 매우 낮은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우주과학이 우주개발활동의 근본이 되고, 나아가서 우주개발사업의 성장은 세계의 정제와 사회발전에 맡은 기여를 했으며, 오늘날 고도정보화시대 및 첨단기술시대를 낳게한 원동력이 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그러한 우주과학이 우주개발정책 및 경제사회발전에 미치고 있는 영향을 구제적으로 분석연구하였고, 우주과학계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1st National GIS project Policy in Korea

  • Oh, Jong-Woo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2 no.2
    • /
    • pp.119-131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서 시도된 국가지리정보체계(NGIS)구축의 1단계사업에 대한 정책적인 측면에서 해외의 NGIS와 비교하여 2, 3단계 사업의 성공화를 도출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첫 장에서는 Masser(1999)에 의한 세계 NGIS 추진 10개국의 정책과 핵심분야를 한국의 NGIS와 비교 분석하여 장단점을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한국의 NGIS정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3장에서 한국 NGIS의 핵심5대 분야와 연계한 결과 및 평가의 구체성과 4장에서 한국의 미래 NGIS의 방향을 동시에 제시하였다. 세계적으로 90년대 후반에 시작된 국가지리정보체계의 구축사업 중에서 11개국에 대한 선행정책연구 분석에서 볼 때 한국이 포함된 7개 국가에서 정부주도형의 하향식(Top-down)형식으로 수행하였으며, 3개 국가는 기존 수행체계를 발전시킨 상향식(Bottom-up) 형식이었고 나머지 한 국가는 절충형의 후발주자에 속하여, 한국의 NGIS 1단계사업은 국가주도형의 정책이 주종을 이루는 하향식 정책의 국책사업으로 밝혀졌다. 한국의 1단계 NGIS사업의 정책과 분야는 1995년부터 정부주도 정책에 따라서 2억 $(중앙정부: 64%, 지방정부: 36%)의 예산으로 2000년까지 11개 중앙부처가 참여하고 5개 분과위원회(총괄분과, 지리정보분과, 토지정보분과, 기술개발분과, 표준화분과)에서 10개 사업(지형도전산화사업, 주제도 전산화사업, 지적도전산화사업, 지하시설물도전산화사업, 지하시설물 관리체계개발시범사업, 공공GIS활용체계개발사업, GIS기술개발, GIS전문인력육성, GIS표준화사업, 국가GIS지원연구사업)을 수행한 대규모 국책연구개발사업이었다. 따라서 한국의 미래 NGIS 정책방향은 국가공간정보기반조성을 통한 디지털국토구축으로 국가 Agenda인 'u코리아'를 실현시키고 선진형 대민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정해질 것이다.

  • PDF

우주개발 연구 및 산업 트렌드와 대응 정책 방안

  • Choe, Nam-Mi;Jeong, Ho-Jin;Jeong, Yeo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849-864
    • /
    • 2017
  • 본 연구는 우주 분야의 미래 연구개발 방향성 정립과 정책적인 대응 방안 마련을 목적으로 우선 연구와 산업의 관점에서 항공우주 분야에 특화된 미래예측을 수행하였다. 특히 우주 분야에서 핵심적인 위성, 발사체, 우주탐사 분야를 중심으로 여러 문헌을 조사분석하여 메가트렌드와 마이크로트렌드로 구분하고, 각 마이크로트렌드별 분석결과와 시사점을 분석하였다. 나아가 이를 통해 한국 우주 연구개발의 정책적인 대응을 위한 요구방향에 대해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전세계 항공우주 미래 연구와 산업의 패러다임의 변화를 예측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우주 분야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통찰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PDF

A Study on Prioritization of Biopharmaceutical Industry Promotion Policy: Focusing on IPA analysis of Gyeonggi-do policy tasks (바이오의약품산업 육성 정책 우선순위 도출에 관한 연구 : 경기도 정책과제의 IPA 분석을 중심으로)

  • Kang, Jimi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20 no.1
    • /
    • pp.47-54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policy priorities for fostering the biopharmaceutical industry. In this study, the urgency and importance of the policy to foster the biopharmaceutical industry in Gyeonggi-do was investigated, and the priorities of the policy in the biopharmaceutical industry were analyzed through IPA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top priority support tasks for the biopharmaceutical industry promotion policy were 'R&D support', 'Expert training', and 'commercialization support'. As a result of deriving policy priorities for each biopharmaceutical sector, 'R&D support' and 'Expert training' were found to be high in common, and differences in policy priorities for each industry such as cell therapy products and advanced bio-convergence products were confirmed. Also, as for the policy demand, R&D funding support, clinical trial support, and commercialization funding support were found to be high. Based on these results, the government's policy to foster the biopharmaceutical industry was supported with a focus on 'R&D support' and 'Expert training', and policy implications were drawn that customized support is needed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ndustry field.

The Empirical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CT R&D Subsidy Program and R&D Performance in S.korea (문화기술(CT)개발지원정책이 기업 R&D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Seo, You-Hwa;Yang, Dong-Woo
    •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 /
    • v.19 no.2
    • /
    • pp.53-76
    • /
    • 2011
  • This study analysed empiric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T R&D subsidy program and R&D performance of received company. According to the result, the CT R&D subsidy program is a significant factor to encourage R&D performance. Especially, the CT R&D subsidy program based on validity and reasonable system affects significantly the progress of R&D performance. Otherwise, the reasonable CT R&D subsidy program has a important role to play on company growing from a step of R&D to a step of the commercialisation performance. Thus, government should make an effort on researching data on market demand before implementing policy and communicating with company continually.

  • PDF

A Study on the Formulation of the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for a National Library (국가도서관 장서개발정책 수립에 관한 연구)

  • Yoon, H.Y.;Chang, D.H.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21 no.4
    • /
    • pp.107-122
    • /
    • 2010
  • A national library bears responsibility to collect, develop, manage and preserve the national knowledge resources and heritages. The institution, in order to accomplish this duty, should center on systematically developed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This paper, in this regard, strives to propose a model to comprise of basic principles of collection development of a national library in order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resources by the types and subjects. Major emphasis was put on the nature of a national library as a legal deposit library, an information gateway, and a repository for national information resources. As a result, a model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appropriate for a national library has been proposed by analyzing cases in other countries to guide establishing principles for determining and analyzing the types and magnitude of the collection acquisition; by applying the Five-level conspectus to be optimal to collection magnitude; and, by identifying the essential elements in systematic development of national knowledge/information resour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