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계운영 효과

Search Result 434, Processing Time 0.055 seconds

Satisfaction Analysis about Courses and Management of a Culture Content Interdisciplinary Program in a University (대학에서 문화콘텐츠 연계전공 강의와 관리에 대한 만족도 분석)

  • Lee, Hyun-Ju;Kim, Han-Il;Park, Chan-J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8 no.11
    • /
    • pp.426-437
    • /
    • 2008
  • As culture content industry is regarded as a high value-added creation industry, many universities have run various kinds of programs such as interdisciplinary programs to develop human resources recently. J University has also offered a culture content interdisciplinary program since 2006. 6 departments are engaged in the interdisciplinary program. However, the research related to the assessment of courses and management about interdisciplinary programs rarely exists. In this paper, we firstly analyze the satisfaction levels of the classes and the management of the culture content interdisciplinary program runs in our University. In addition, in order to propose a desirable method to run the interdisciplinary program, we analyze the comprehension levels of students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 Finally, we propose a future direction for a successful program based on our analysis results.

Reservoir Operation for Water Quantity and Quality using KModSim (KModSim을 이용한 수량.수질의 저수지 운영계획)

  • Lee, Jin-Hee;Ko, Ick-Hwan;Kang, Shin-Uk;Hwang, Man-Ha;Noh, Jun-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693-1697
    • /
    • 2009
  • 수자원의 지속적 확보기술개발사업의 장단기 저수지 연계운영 및 수질개선 방안 연구에서 개발 중인 범용 하천유역관리 모형인 KModSim은 그 수행속도와 모델 구성의 편이성으로 인해 하천의 수요처와 다수개의 저수지를 포함하는 대단위 유역에 적용이 용이하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한국수자원공사에서 저수지 운영계획에 사용하고 있는 저수지 운영 기준수위를 바탕으로 하천유지용수와 수질개선용수를 확보하는 방안을 검토하였다. 우선 수량과 수질을 고려한 저수지 운영계획을 수립하기 위하여 기존의 수량만을 분배하는 물배분 시스템을 바탕으로 방류량에 증가에 따라 수질개선을 유도할 수 있도록 수질 개선 용수 수요노드를 추가하였다. 이때 유역내의 저수지의 기준수위와 하천의 하천유지용수 및 용수수요노드의 우선순위의 설정에 따라 deficit supply 방식의 물분배가 가능하게 하였으며 이를 통해 꼭 필요한 유량이 발생 할 때 유량을 공급할 수 있도록 모형을 설정 하였다. 반면 방류량에 따른 수질개선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과거의 수질 측정자료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다중회귀분석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형은 방류량의 증가에 따른 수질개선 효과를 분석할 수 있는 모형으로 특정시점에 있어서 특정 수질 매개변수의 농도를 예측할 수 있으며 적정수준 이하의 수질 농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방류량을 계산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수질 개선을 위한 공급 시나리오는 기존의 용수 우선의 시나리오 분석과 더불어 운영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여 보다 효율적 저수지 운영계획이 수립될 수 있도록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A Study on the HVDC Submarine Cable Fault Location Searching Case (HVDC 해저케이블 고장점 탐지 사례 연구)

  • Moon, Shin-Yong;Kim, Jeong-Dae;Jang, Seok-Ha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11a
    • /
    • pp.138-140
    • /
    • 2006
  • 한국전력공사(이하 한전)에서는 제주지역 전력공급의 안정을 위해 '98년부터 국내 최초로 육지전력 계통과 연계하여 장거리 해저케이블 송전선로를 건설하여 운영하고 있다. 해저케이블은 해저에 포설되고 외부적 환경에 견디기 위해 육상케이블과 다른 많은 보호층을 포함하고 있어 설비의 유지보수에 많은 제약사항을 안고 있다. 특히 해남${\sim}$제주 연계선로는 기술적 장점 때문에 AC송전 대신 HVDC 송전을 하고 있어 한단계 Upgrade된 설비운영 기술이 필요하다. 본 고에서는 HVDC 해저 케이블의 설비운영에 있어 선로의 고장시 케이블의 고장점 위치를 탐지하는데 중점을 두어 실제 고장점 탐지 사례를 중심으로 HVDC 해저 케이블 고장점 탐지 방법 및 시험 결과를 검토하고 향후 유사 고장 발생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절차를 제시하였다.

  • PDF

Effects of 4 major river project on the flood management in Yeongsan-river basin (영산강유역 홍수관리에서 4대강 사업의 효과)

  • Song, Jin Keun;Jung, Jae 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01-301
    • /
    • 2021
  • 영산강 유역은 상류 급경사 지역에 있는 유역 내 댐들의 홍수조절용량과 평야지역에 있는 하굿둑의 홍수배제능력이 부족하여 나주시 등 하류부에 홍수피해가 빈번하였다. 영산강에서 4대강 사업의 주요내용은 하도내 퇴적토준설과 홍수조절지 건설, 농업용저수지 증고를 통한 홍수방어능력 증대, 다기능 보설치를 통한 용수확보, 하구지역 홍수배제능력 증대 등이었다. 동 사업에서 본류 하천의 홍수위 저감과 내수배제 개선을 위해 담양댐 하류부터 영암천 합류점까지 하도를 준설하고, 담양과 화순홍수조절지, 나주 강변저류지, 승촌보와 죽산보를 건설하고, 하굿둑 배수능력 증대와 농업용 댐 및 저수지들을 증고를 수행하였다. 4대강 사업이 준공된 2012년 이후로 2014년부터 5년간 가뭄이 지속되었고 큰 홍수가 없다가 2020년 8월에 장기간의 집중호우로 영산강 중상류인 광주시와 영산강 하류지역에서 큰 수해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시설물 운영 실적에 근거한 홍수저감 효과의 기술적 검토를 수행하였다. 사업전·후 수문관측자료와 하천시설 운영 실적에 근거한 홍수저감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사업전·후 유사 규모의 강우 발생 시 수위표 지점별로 계측된 첨두 수위 및 유량자료를 비교하여 홍수저감 효과를 분석하였다. 사업전·후 유사 규모 강우를 선정하기 위해 발생된 강우 사상 중 호우특보 발령 기준이상의 강우 사상에 대하여 총 강우량 및 강우의 지속시간, 시간 분포를 비교하여 유사 규모의 호우를 선정하였다. 사업전·후 유사 규모의 호우 사상 발생 시 계측된 홍수위와 홍수량 비교 결과 영산강 중·상류부와 중·하류부 수위표 지점(극락교,승용교,나주대교)에서 사업 시행 후 사업 전보다 첨두 수위가 1.36~2.81m 감소한 것으로 검토되었다. 이는 여러 가지 사업들의 복합적인 결과로 영산강유역의 홍수관리여건이 개선된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2020년 8월7일~8일 발생한 호우에 의해 영산강 본류의 중·상류부와 중·하류부의 주요 수위표 지점에서는 200년빈도 계획홍수위를 초과한 홍수가 발생하였다. 상시개방과 철거로 처리방안이 결정된 승촌보와 죽산보의 여건을 반영하여 2개보 유무에 따른 홍수위 검토를 실시하였다. 홍수위 비교 결과보가 없을 경우 영산강 중·상류부(극락교,승용교)와 중·하류부(나주대교,영산교) 수위표 지점에서 홍수위가 0.01~0.07m 감소되는 것으로 검토되어 홍수시 보의 영향은 비교적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홍수시 상류댐과 저수지, 홍수조절지, 하굿둑, 하천의 연계운영에 대해서는 추가연구가 필요하다.

  • PDF

Car-sharing in Overseas and Introduction to Korea (Car-sharing의 해외사례 및 국내 도입 효과 추정)

  • Lee, Jae-Yeong;Choe, Gi-Ju;Jeong, U-Hyeon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2007.11a
    • /
    • pp.180-187
    • /
    • 2007
  • Car-sharing은 차량소유(Car ownership)의 대안으로서 개인이나 법인에게 차량을 한 시간의 짧은 단위로 이용하도록 하는 회원제 프로그램이다. 이는 차량을 보유하는 편리함 대신에 차량을 공동 이용함으로써 운영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15년여 전 스위스에서 시작되어 현재는 유럽, 북미, 일본, 싱가포르 등에서 활성화되어 있고, 유럽에서는 대중교통과의 연계서비스까지도 실시하여 그 효과를 증대시키고 있다. 국내에서는 아직 기업의 수익성 사업으로 시도된 사례는 없으나 최근 서울 성산동 주민의 자발적인 참여로 6개 팀이 한 차량을 이용하는 형식으로 시도되어 이제 그 첫걸음을 떼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Car-sharing에 대한 개념, 정의 및 택시나 렌터카 등 유사수단과의 비교, 그리고 해외에서 현재 운영 중인 Car-sharing 프로그램의 사례를 소개하고, Car-sharing 도입 시 발생하는 개인의 운영비용 절감뿐만이 아닌 차량통행 감소, 주차 수요 감소, 대중교통 이용률 증가, 오염물질 배출 저감, 교통 혼잡 감소 등 많은 종류의 사회적 편익을 국내 도입 시를 가정해 비용과 함께 개략적으로 추정, 편익-비용 분석을 통해 그 경제적인 효과를 검토하였다.

  • PDF

Water Hammer Impact of Diversion Tunnel with Operation Gate using the Numerical Model and Mathmatical Analysis (수치모형과 수리분석을 활용한 도수터널 운영에 따른 수충격 영향 검토)

  • Jang, Suk-Hwan;Oh, Kyoung-Doo;Oh, Ji Hwan;Jo, Jun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23-323
    • /
    • 2017
  • 본 연구 대상인 주암댐-주암조절지댐간 도수터널은 저수지 간 연계운영을 통하여 서 남해안 일대의 용수 공급하기 위하여 건설되어 운영되었으나, 터널의 구조적 불안정성이 제기됨에 따라 향후 발생 가능성이 있는 용수공급 중단을 방지하기 위하여 신규 도수터널이 제안되었다. 계획된 신규 도수 터널의 주요 시설물은 크게 양방향 운영이 가능한 터널(D=3.3 m, L=11.23 km), 각 저수지 상황별 운영을 위한 취수문비 2개소, 도수가 이루어지는 상황에서 수문 돌발 폐쇄시 수충격을 감쇄하기 위한 배기구(air vents) 2개소가 계획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주암댐에서 주암조절지댐으로 최대 유량이 통수되는 상태에서, 수문폐쇄에 따른 수충격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자 Joukowsky 공식에 적용하여 완폐쇄와 급폐쇄시 도수터널의 안정성을 검토하였으며, 수문 폐쇄로 인한 천이적인 흐름상태 등 수충격 모의가 가능한 1차원 ITM 모형을 적용하여, 수리분석과 수치모형과 결과 비교하고, 계획된 배기구의 유무에 따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계획된 0.3 m/min으로 수문을 폐쇄할 경우, 도수터널의 안정성에는 문제가 없을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수문을 급 폐쇄 할 경우, 압력수두가 크게 증가하여 도수터널에 위험이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배기구 유무에 따른 수충격 검토 결과 도수터널 내의 수압상승을 적절히 조절하는 조압수조의 역할을 만족스럽게 수행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Combined Inland-River Operation Technique for Reducing Inundation in Urban Area: The Case of Mokgam Drainage Watershed (도시지역의 침수저감을 위한 내외수 연계 운영 기법 개발: 목감천 유역을 중심으로)

  • Kwon, Soon Ho;Jung, Hyun Woo;Hwang, Yoon Kwon;Lee, Eui Hoon;Kim, Joong Ho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2 no.1
    • /
    • pp.257-266
    • /
    • 2021
  • Urban areas can often suffer flood damage because of the more frequent catastrophic rainfall events from climate change. Flood mitigation measures consist of (1) structural and (2) non-structural measures. In this study, the proposed method focused on operating an urban drainage system among non-structural measures. The combined inland-river operation technique estimates the inflow of pump stations based on the water level obtained from a preselected monitoring point, and the pump station expels the stored rainwater to the riverside based on those estimates. In this study, the proposed method was applied to the Mokgam drainage watershed, where catastrophic rainfall events occurred (i.e., 2010- and 2011-years), and severe flood damage was recorded in Seoul. Using the proposed method, the efficiency of flood reduction from the two rainfall events was reduced by 34.9 % and 54.4 %,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current operation method. Thus, the proposed method can minimize the flood damage in the Mokgam drainage watershed by reserving the additional storage space of a reservoir. In addition, flooding from catastrophic rainfall can be prevented, and citizens' lives and property in urban areas can be protected.

A Study on the Operation of Connection Service to the 2nd Phase Gyeongbu High Speed Railroad Line (경부고속철도 2단계 연계서비스 운영방안 연구)

  • Lee, Jin-Ho;Cho, Chi-Hyun;Shim, Myeong-Gu
    • Proceedings of the KSR Conference
    • /
    • 2010.06a
    • /
    • pp.359-370
    • /
    • 2010
  • In Apr. 2004, the 1st phase of Gyeongbu high speed railroad line was opened between Seoul and Busan, and this new high speed railroad service has increased the customers' satisfaction index and railroad passengers' profit. Moreover, at the end of year 2010 the 2nd phase of Gyeongbu high speed railroad line will be open, and the journey time between Seoul and Busan will be shortened and the new high speed railroad service will be expanded to Gyeongju & Ulsan area. This study will introduce the operation of connection service between new stations and downtown to the 2nd phase Gyeongbu high speed railroad station (Gyeongju, Ulsan station), and analyze the effects of connection service using connection demand analysis and also economic effects. This kind of connection service will contribute to the increase of passengers' satisfaction index and high speed railroad revenue.

  • PDF

The implementaion of ICT systems convergence for the efficient operation of Nakdong River Downstream Weirs and Estuary Barrages (낙동강 하류 보, 하굿둑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ICT 시스템 융합 구현)

  • Kim, Seok-j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3.10a
    • /
    • pp.988-991
    • /
    • 2013
  • In the downstream of the Nakdong River, water facilities - Hapcheon Changyoeng weir, Changyeong Haman weir, Nakdong River left and right sides Barrages - have been built and operated. Each facility is located at a distance. Integrated and linked operation of these water facilities is important for the management of national water resources and efficiency, effectiveness of facilities operations. For the reason, we have planned and made the system that can operate the individual facilities organically, using ICT technologies. At K-water Nakdong River Integrated Operation Water Center near Nakdong River Estuary Barrages in Busan, We implemented the water resource integrated operation system through the ICT systems convergence. For the system we expect significant effects - efficient water management, operating cost saving, etc.

  • PDF

Analysis of the flood alleviation effect by the gate control of washland (천변 저류지 수문운영에 따른 홍수저감효과 분석)

  • Park, Jung-Heu;Park, Cheong-Hoon;Ryu, Kwan-Hyung;Kim, Joo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1-31
    • /
    • 2011
  • 해마다 반복되는 수해를 대비하여 배수펌프장을 설치하고, 취수보를 철거하는 방법으로 수해예방시스템을 고도화 시키고 있지만, 증가하는 홍수량에 대한 대비책으로는 역부족이다. 따라서, 홍수 피해에 대한 선제적 대응방안으로 강변저류지를 설치하여 상습 침수구역에 대한 대비가 진행되고 있다. 강변저류지 설치를 통해 유역의 홍수량을 분담하고 인접지역의 침수피해를 예방하는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 국내에서도 영월군의 상습침수구역에 대한 대비책 중 하나로 국토해양부 및 강원도가 함께 영월강변저류지 조성공사를 추진하고 있다. 영월군은 지난 2002년과 2003년에 태풍 '루사'와 '매미'로 인해 심각한 피해를 입었으며, 2006년 집중호우시에도 현재 저류지 예정지역인 방절리 일대와 영월읍 시가지, 북쌍리 등이 대규모로 침수피해를 입은 바 있다. 해당 저류지의 총 넓이는 68만 8천 $m^2$로 물 290만 $m^3$을 가두어 둘 수 있는 규모이다. 하지만, 영월 강변저류지의 저류용량이 290만 $m^3$에 불과해 홍수예방 효과가 미흡하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따라서, 적절한 수문운영을 통해 홍수저감량과 저류효과를 증대시키는 홍수예방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유전알고리즘의 적용을 통하여 강변저류지에 설치된 수문의 운영 방법을 개선함으로써 홍수저감량을 최대화하고자 하였다. 수리 수문학적 모형인 HEC-RAS, HEC-I 모형을 연계 운용하여 평창강 유역을 대상으로 수문분석, 홍수유출량 분석, 하류 하천의 홍수영향 분석 결과를 도출하였다. 강변저류지 설치로 인하여 저류지 직하류부를 기준으로 약 $131\;m^3/s$의 첨두홍수량 저감 효과가 발생하는 것으로 검토되었지만, 본 연구에서 제안된 최적화 기법이 적용된 수문운영 방법을 병행하여 운영한다면 추가적으로 $24\;m^3/s$를 저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효율적으로 저류지를 운영하여 홍수피해를 사전에 방지하고 나아가 다른 저류지 유역에도 본 연구를 적용하여 홍수피해를 줄이고 합리적으로 용수를 이용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