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계상태 관리체계

Search Result 62,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Improvement of Information Connection System among Traffic Information Centers (교통정보센터 간 정보 연계체계 개선방안)

  • Lim, Sung Ha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3 no.2
    • /
    • pp.34-41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improvement of connection system between traffic information centers for reliable traffic information service. We recognized traffic information error caused by too much time in conjunction between traffic information centers, lack of reliability of traffic information caused by absence of generation time and generation institution of traffic information. We presented minimization methods of connection time, improvement methods of reliability of traffic information and development methods of connection state management system.

Study for Operation of Water Resources in Cisangkuy Basin of Indonesia (인도네시아 Cisangkuy 유역 수자원 운영에 대한 연구)

  • Kim, Tae Won;Kim, Sung Man;Putuhena, Willam M.;Ko, Ick 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57-561
    • /
    • 2016
  • 인도네시아는 수자원을 관리하는 기관이 총 9개 부처이지만 지역 단위로 가면 각각의 에이전시가 존재하는 등 복잡한 이해관계가 얽혀 있어 효율적인 수자원 관리 및 운영 기술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에 인도네시아 국립 수자원연구소(PusAir, Puslitbang Sumber Daya Air)와 공동으로 Cisangkuy 유역 내 다양한 시설물의 연계운영 효과를 분석하여, 한정된 수자원을 다양한 수요처에 원활히 공급함으로써, 지역민과 관리기관간의 이해관계를 해소하고 최적의 수자원 활용방안들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Cisangkuy 유역 내 Cisangkuy 강 상류부의 기존 수력 댐 운영과 상수량 증대를 위해 계획 중인 신규댐에서의 추가용수 공급을 고려한 연계운영 효과분석을 수행하여 수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Cisangkuy 유역에 대하여 현재 용수체계에 대한 모형의 적정성 검토를 수행하였으며, 기존 수력댐 저수지 시스템 운영효율에 대하여 물수지분석을 검토한 결과, 현 운영체계보다 최적 운영시 수력발전소 발전용량이 증가되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이와 같은 모형 구축자료는 현재 Cisangkuy 유역에 대하여 체계적인 운영방안이 없는 상태에서 대상유역 내 다양한 시설물 연계운영효과 도출을 위한 자료가 될 수 있으며, 국내 연구진들이 향후 인도네시아 수자원활용 계획 수립 시 기초자료 활용측면에서 유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 PDF

Review and Discussion on Policy and Legal System for River Environments Management in Korea (국가 하천환경관리 체계의 검토와 고찰)

  • Chun, Seung-Hoon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6 no.6
    • /
    • pp.431-444
    • /
    • 201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review the guidelines being used by law and national policy concerned on river environments management and suggest the applicability of newly developed river environment assessment system. In the current legal system, the national river environment management system is insufficient in securing an independent status in the legal institutional system which is separated to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Infrastructure and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the river environment assessment system of the national standard, which is a core matter, has not been established yet. In particular, there is a lack of integrated approach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lan or related plans on water resources, water quality, river environment and aquatic ecosystem management. In addition, the consistency and effectiveness as the process of planning and design according to the current status and comprehensive analysis and evaluation of the river environment were not secured either. To integrate national river environment management system and improve efficiency, I proposed the establishment of hierarchy and connection between national river plans, and the adoption and application of developed assessment system based on characteristics of river environment in Korea. Finally, I proposed the separated application with dividing the developed assessment system including the naturalness of river environment and suitability of water friendly activity into both assessment method for management plan of water resources of river basins & basic river plan respectively.

Improvement Prospect and Problems of Revegetation Method in the Cutting Slope (절토사면의 보호 및 녹화공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 전기성;유병옥;황영철;김태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Geotech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0.11b
    • /
    • pp.123-135
    • /
    • 2000
  • 절토사면 보호.녹화공의 개념과 분류체계가 아직까지 확립되어 있지 않으며, 현장에서 공법의 선정과 시공도 여러 가지 적절하지 못한 경우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것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이 분야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와 관심, 그리고 관련회사의 사면의 환경특성을 고려한 성실시공이 수반되어야 한다. 또한, 절토사면의 장.단기적인 유지관리를 위해서 사면의 분포현황, 사면녹화공의 시공.관리상태, 환경특성 등의 자료를 조사하여 종합적인 사면유지관리시스템과 연계해야 할 것이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Qualification Management System for Performance Improvement Through the use of a Internal Management System (내부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자격관리 성능개선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Chang, Young-Hyun;Seo, Jeong-M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08.06a
    • /
    • pp.217-224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기술자격시스템에 대한 관리 운영상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내부관리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비정기성 기술자격시스템은 정보처리 관련기업에 개발 및 구현에 대한 전체적인 사항을 위탁업무로 수행하고 처리 결과에 대한 자료를 시행기관에서 인수하여 내부업무를 처리한다. 이러한 관리체계는 추가적 요구정보에 대한 재처리에 많은 문제점을 내포한다. 부가적인 추가적 요구사항에 대하여 재개발 절차가 필요하며 효율적인 업무처리와 관리체계를 수행하는데 불안정한 요소들을 가지고 있는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특수 자격 분야에 시범적으로 적용한 내부관리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내부관리 시스템의 기능 평가는 시뮬레이션 방식으로 최소 규모의 파일럿시스템에서 구현 기술을 적용하고 검증 한 후 실시간 기술자격 시험에 시범 적용한 결과 처리 과정상의 안정성과 실용성이 인증되어 대단위 자격시스템에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위탁기관과 연계하여 부가적 요구정보 처리 시 발생되는 추가 개발기간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였으며 안정적인 시스템 운영상태와 최대의 효율성을 보여주었다. 특히 내부관리시스템을 사용하는 전문가와 비전문가그룹으로 이루어진 자격시행기관의 시스템 평가에서 사용자 편리성과 확장성 부문에 탁월한 평가를 도출하였다. 본 논문에서 설계 및 구현한 내부관리 시스템은 다양한 방식과 구성요소를 통합하여 공통영역을 표준화 한 후, 체계적으로 실시간 자격관리시스템에 적용 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Development of the Mobile System for Repair with the TRS Network (TRS망으로 구성된 기동보수시스템 개발)

  • Lee, Bong-Jae;Jang, Moon-Jo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2.07a
    • /
    • pp.268-270
    • /
    • 2002
  • 신속한 고장복구를 통해서 정전시간을 최소화하고자 배전기동보수업무에 최신 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하려는 시도는 많이 있었다. 그러나, 그간 GIS, GPS, Mobile 등 시스템 구현에 필요한 핵심요소기술들이 성숙되지 않은 상태였고, 무엇보다 기반 시스템으로서의 NDIS가 전제되지 않은 상태에서 설비종합 DB와의 체계적인 연계가 미비하여 사업소 확산에 어려움이 있었다. 그렇지만, 최근에 관련 정보기술(IT)의 발달과 NDIS DB구축사업이 사업소별로 추진되어 기동보수시스템이 현장업무에 적용될 환경이 충분히 조성되어 있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배경에서 이동보수차량의 위치를 GPS와 TRS망을 연계하여 실시간 관리함으로써 고장지점으로 신속히 출동시키게 하고, 현장에서는 고장접수정보와 계통구성정보 등 관련 설비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고객서비스의 질을 높이고, 많은 비용과 노력을 기울인 GIS DB 구축자료의 활용성과 이용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Estimation of Sediment Yield in the Naesung-cheon with SWAT Model (SWAT 모형에 의한 내성천의 비유사량 추정)

  • Kim, Dae-Gon;Yang, Moon-Yong;Ha, Sung-Won;Yu, Kwon-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734-1738
    • /
    • 2010
  • 최근 이상 기후에 따른 유역 환경의 변화가 크게 눈에 띄고 있다. 또한, 댐건설이나 하도 준설 등 인위적인 요인에 의해 유역 및 하천의 유사 거동이 크게 변화하고 있다. 그러나, 하도 관리의 기본 자료인 하천 유역의 유사 발생량에 대해서는 체계적인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분포형 수문 모형을 이용하여 체계적이고 합리적으로 비유사량을 산정하기 위한 연구이다. 대상 유역으로는 낙동강 주요 지류 중 하나이며, 영주댐이 건설될 계획인 내성천으로 선정하였으며, 이용하는 모형은 대상유역의 토양 특성, 토지이용과 관리 상태를 고려하는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모형을 선정하였다. 먼저, GIS와 연계된 SWAT 모형을 적용하기 위하여 수치 고도자료, 토양도와 토지이용도를 구축하고, 내성천 유역의 기상 및 우량 관측소를 고려하여 일강수자료, 일 최대/최소 기온을 포함한 기후자료를 입력하였다. 그리고, 대상 유역에 위치한 수문관측소와 수질 관측소를 고려하여 소유역으로 세분화한 후 토양특성과 토지이용에 따른 모의를 실시하였다. SWAT 모형을 이용한 비유사량 산정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식생 피복 상태와 토양 침식성 인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산정된 비유사량은 내성천의 하천 유사량 측정 자료에서 산정한 비유사량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SWAT 모형은 유사량 실측 자료에서 산정된 비유사량보다 상당히 큰 값을 산정하였다. 그러나, 보다 체계적인 입력 자료가 축적된다면, SWAT 모형을 이용하여 합리적인 비유사량 산정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 PDF

Study on Web-related Spatial Design Research Trend (웹과 연계된 공간디자인 연구동향에 관한 연구)

  • An, Somi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2 no.8
    • /
    • pp.481-492
    • /
    • 2014
  • The goal of this research was to build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basic materials related to IT industry and spatial design. In this research, the trend in spatial design research and its categories are identified and analyzed.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spatial design researches related to web have declined for last five years. However, a new possibility appears to be latent. An attempt to build database of diverse design information has led to increase in fusion of spatial design education and IT technology from design perspective. Futhermore, residents of space are becoming more active, starting from spatial design to management. Finally, from th environmental perspective, researches on predicting and managing buildings are also growing. Accordingly, diverse researches and financial support for grafting creative education, design process, environment-friendly IT technology and spatial design are needed.

항로표지 정보서비스 센터의 기능과 구성

  • 김영진;오세웅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198-200
    • /
    • 2022
  • 국제항로표지협회는 항로표지 정보교환과 해양자원의 디지털화를 위해 국제표준을 개발한 바 있으며, 해양정보의 공유와 서비스 제공을 위해 해양서비스 표준개발에 협력하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미래 해상교통 환경변화에 선제적 대응을 위해 스마트 항로표지 고도화 및 정보협력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개발 사업을 수행 중이며, 항로표지 정보협력시스템 실증에 관한 연구성과를 기반으로 항로표지 정보서비스 센터를 구축할 계획이다. 항로표지 정보서비스 센터는 항로표지 기본 정적정보 관리, 항로표지 상태와 영상, 해양기상에 동적(실시간)정보관리, 항로표지 신서비스 운영 및 제공이라는 핵심 기능을 가지며, 향후 항로표지 및 연계정보의 체계적인 관리를 통한 항로표지 관리지원, 정보공유 및 신서비스 제공이 기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항로표지 정보서비스 센터의 핵심 기능과 추진 계획을 기술하였으며, 관련 연구개발 사업의 진행과 함께 항로표지 관리 운영 및 서비스 이용자 그룹과의 긴밀한 협의를 거쳐 항로표지 정보서비스 센터의 기능과 구성을 구체화해 나갈 계획이다.

  • PDF

The operational model for the emergency field management system based on SOP (SOP 기반 재난 현장 관리 모델 연구)

  • Lee, ChangYeol;Park, Giljoo;Kim, Young-Chan;Kim, Jun Gon;Kim, TaeHwan;Lee, Ju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11a
    • /
    • pp.215-216
    • /
    • 2017
  • NDMS(통합재난안전정보체계)는 재난이 발생하였을 때 필요한 상황 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하는 상황관리시스템이 있어서 재난 상황에 대한 판단, 지휘 등을 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기능을 가진 지자체를 위한 대표적 시스템인 SBB가 있지만, 이는 단순히 상황 정보를 연계해서 볼 수 있는 프레임만 제공하고 있다. 실제적으로 비상조직의 실무팀에 지시를 하고, 보고를 받고 하는 기능이 추가로 포함된 미국의 WebEOC에 해당되는 기능적 시스템이 필요한 상태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국내 상황에 맞는 현장 관리 모델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