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간변화율

Search Result 110,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Recent changes in springtime discharge and nutrient fluxes to the vicinity of the Korean Peninsula (2012-2021) (봄철 한반도 연안으로 유입되는 하천 유량과 영양염류 유출량 변화량 (2012-2021))

  • Ye Na Kim;Jong Hun Ka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45-145
    • /
    • 2023
  • 육지의 영양염류는 강수를 통해 강을 따라 바다로 흐른다. 연안 수질과 생태계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수계를 통해 연안으로 배출되는 육상 영양염류 유출의 변화를 연구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제한적인 수량과 수질 동시 관측자료로 인해 한반도 연안으로 유입되는 영양염량 변화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내륙에서 주변 연안 지역으로 유출되는 영양염류의 유출량과 그 변화량을 추정 및 분석하고 유출량에 대한 수량과 수질 변화의 기여도를 정량적으로 조사하였다. 2012-2021년 봄철(3-5월)에 한반도 연안 주변의 75개의 하천 지점에서 측정된 수질 농도 및 유량 관측 데이터와 한반도 연안 375지점에서 측정된 해양 수질 농도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더불어 22개의 해안지역 하천 유량 관측소와 근접한 수질 관측자료를 통해, 총 질소(TN), 총 인(TP), 클로로필a의 봄철 영양염류 유출 총량을 추정하고 그 변화량을 평가하였다. 그리고 영양염류 유출 변화량을 모델 수식으로 분해하여 유출 총량 변화량에 대한 하천 유량과 영양염류 농도 변화의 상대적인 기여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연간 봄철 TN, TP, 클로로필a 유출 총량의 변화율이 영양염류의 농도 (각각 19%, 48%, 5%)보다는 하천 유량 (각각 84%, 51%, 91%)에서 더 많은 영향을 받았음을 보여주었다. 한반도 연안을 서해, 남해, 동해로 나누어 영양염류 유출 총량을 분석한 결과, 한반도 전체 유출량에서 서해의 가장 큰 기여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한반도 내륙에서 유출된 영양염류 총량이 연안의 수질에 끼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내륙 하천과 연안의 수질 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여 간접적으로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분석적인 접근을 통해 하천과 연안 수질 환경에서 수문학적인 연결고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영양염류 유출 변화가 해안에 서식하는 생태계와 양식산업 생산성에 미치는 잠재적인 영향을 강조하였다.

  • PDF

Low flow projection considering actual evapotranspiration by climate change (기후변화에 따른 실제증발산을 고려한 갈수량 전망)

  • Kim, Eunji;Kang, Boosik;Sun, Ho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84-384
    • /
    • 2020
  • 갈수량은 연간 355번째에 해당하는 일유량으로 연중 10일은 유지할 수 있는 유량을 의미한다. 갈수량은 하천유지유량을 결정하고 다목적댐의 이수안전도를 평가하는 기준으로 활용되는 지표로 활용되고 있으나 현재 기준으로는 과거사상에 초점을 맞추어 산정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수문사상의 변화로 인한 미래 극한사상에 대비한 평가기준 마련을 위하여 CMIP5의 GCM 자료를 활용한 한강수계의 소양강댐의 실제증발산량을 추정하고, 이를 고려한 갈수량을 전망하고자 한다. 실제증발산의 경우 관측자료가 부재하므로 증발산 보완관계 가설 기반의 간접계산을 통해 추정하였으며, 잠재증발산량은 FAO Penman-Monteith 공식, 습윤증발산량은 Priestley-Taylor공식을 활용하여 산정하였다. 기준기간(1974-2000년) GCM 자료의 보정은 강우 및 증발산에 대하여 정상성 분위사상법을 적용하였으며, 우리나라의 홍수기 특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홍수기(6~9월) 및 비홍수기(10~5월)로 구분하였다. 소양강댐 유역에 대한 연단위 원시 GCM의 경우, 연단위 강우와 실제증발산 각각 -20.0%, +17.3%의 오차율을 보였으나, 지역오차보정 후 각각 -1.2%, -0.2%로 개선되었다. 전망기간(2011-2100년)에 대해서는 비정상성 분위사상법을 적용하였으며, 지역오차보정 과정을 거친 강우 및 실제증발산 자료는 장기유출모형의 입력자료로 활용되었다. 실제증발산을 고려한 유출량을 산정하기 위해 IHACRES 모형을 활용하였으며, 갈수량은 모형으로부터 산정된 유출 시계열에 대한 lognormal 분포의 누적확률밀도함수의 3%에 해당하는 값으로 결정하였다. 전망결과는 근미래(Near future, 2011~2040년), 중미래(Midcentury future, 2041~2070년), 먼미래(Distance future, 2071~2100년)로 나누어 제시하였으며, 미래구간별 추세를 반영한 증감율을 제시하였다.

  • PDF

The initial mass loss rates and the changes in carbon/nitrogen ratio of dead woods for the three dominant tree species in tropical rainforests of Brunei Darussalam (브루나이 열대우림 내 주요 3개 수종 고사목의 초기 질량 감소율과 탄질율 변화)

  • Roh, Yujin;Jang, Minju;Son, Yowha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39 no.2
    • /
    • pp.218-224
    • /
    • 202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mass-loss rates and the changes in carbon/nitrogen (C/N) ratio of dead woods, which were of following species: Dryobalanops aromatic, D. rappa, and Cratoxylum arborescens. These were dominant tree species in mixed Dipterocarp forests (MDF) and peat swamp forests (PSF) in Brunei Darussalam. In May, 2019, 48 dead wood samples (15 cm×4.8 cm×5 cm) were placed in MDF and PSF sites, and all the samples were collected after 16 months. The effects of species on mass los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however, no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mass loss obtained from the two forest types (p>0.05). The initial density (g·cm-3) of the dead woods D. aromatic, D. rappa, and C. arborescens, was 0.64±0.02, 0.60±0.00, and 0.44±0.01, respectively. Also the annual mass loss rate (%) was estimated to be 6.37, 8.17, and 18.53 for D. aromatic, D. rappa, and C. arborescens, respectively. The proportion of dead woods in decay class III was only 25% of C. arborescens samples, which were attacked by wood-feeding invertebrates, such as termites. The C/N ratio decreased significantly in D. aromatic and D. rappa, but the decreasing trend of C/N ratio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 arborescens. The results indicate that physical traits of dead woods, such as density, could be one of the main factors causing the decomposition of dead woods initially, as invertebrates such as termites are one of the key decomposers of dead wood in tropical rainforests. In the samples of C. arborescens, which was attacked by invertebrates, nitrogen immobilization occurred to lesser extent as compared to that observed in D. aromatic and D. rappa.

Retrospective study of the $Implantium^{(R)}$ implant with a SLA surface and internal connection with microthreads (SLA 표면 처리와 미세나사선을 가진 내측 연결형의 국산 임플란트에 대한 후향적 연구)

  • Doh, Re-Mee;Moon, Hong-Suk;Shim, Jun-Sung;Lee, Keun-Woo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 /
    • v.47 no.2
    • /
    • pp.136-147
    • /
    • 2009
  • Statement of problem: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concept of osseointegration in dental implants, high long-term success rates have been achieved. Though the use of dental implants have increased dramatically, there are few studies on domestic implants with clinical and objective long-term data. Purpose: The aim of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to provide long-term data on the $Implantium^{(R)}$ implant, which features a sandblasted and acid-etched surface and internal connection with microthreads. Material and methods: 106 $Implantium^{(R)}$ implants placed in 38 patients at Yonsei University Hospital were examin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various factors on implant success and marginal bone loss, through clinical and radiographic results during a 6 to 30 month period. Results: 1. Out of a total of 106 implants placed in 38 patients, one fixture was lost, resulting in a 99.1% cumulative survival rate. 2. Among the 96 implants which were observed throughout the study period, the survival rates were 97.0% in the maxilla and 100% in the mandible. The survival rate in the posterior regions was 98.9% and 100% in the anterior regions. 3. The mean bone loss during the first year after prosthesis placement was 0.17 mm, while the mean annual bone loss after the first year was 0.04 mm, which was statistically less than during the first year(P<.05). 4.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arginal bone loss according to age during the first year(P>.05), but after the first year, the mean annual bone loss in patients above 50 years was significantly greater(P<.05) compared with patients under 50 years. 5.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arginal bone loss was found according to the following factors: gender, jaw, location in the arch, type of implant(submerged or non-submerged), presence of bone grafts, type of prostheses, and type of opposing dentition(P<.05).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sole factor influencing marginal bone loss was age, while factors such as gender, jaw, location in the arch, type of implant, presence of bone grafts, type of prostheses and type of opposing dentition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bone loss. In the present study, the success rate of the $Implantium^{(R)}$ implant with a SLA surface and internal connection with microthreads was satisfactory up to a maximum 30 month period, and the marginal bone loss was in accord with the success criteria of dental implants.

An Analytical Study on the Performance Analysis of a Desalination System by Condensing Method (응축방식을 이용한 담수화 시스템의 성능예측을 위한 분석연구)

  • Kim, Chul-Ho;Kim, Won-Il;Choi, Jea-Young;Kim, Jae-Choul;Kim, Min-Sun
    • Transactions of the KSME C: Technology and Education
    • /
    • v.2 no.1
    • /
    • pp.47-55
    • /
    • 2014
  • A new concept of an Eco-friendly desalination method is introduced in this study. The main idea of the desalination method of seawater is the condensation of the vaporized seawater by solar heat energy on the surface of seashore. The wind turbine blade plays a role of heat exchanger condensing the vaporized water in the air. In this analytical study, the availability of the proposed desalination system was studied. First, an analytical condensation theory of the vaporized water in air was arranged and the parametric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amount of freshwater produced from the system with the change of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humid air and turbine blade, and the relative humidity in air, and wind speed. From the analytical calculation, 2,927(ton/year) of freshwater was produced at the vertical-type wind turbine (Diameter=4m, Height=3m) as the relative humidity is 100%,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mpeller blade and the humid air is $40^{\circ}C$ and the wind speed is 10m/s.

A Study on Changing Patterns of Short-run and Long-run Electricity Demand in Korea (우리나라 전력수요 패턴의 장단기 변화 실적에 대한 연구)

  • Kim, Kwon-Soo;Park, Jong-In;Park, Chae-So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11a
    • /
    • pp.435-438
    • /
    • 2008
  • 우리나라 최대전력은 70년대 연도별로 36만 kW, 약 15%씩 증가하였으나, 최근 2000년대에는 연도별로 300만kW 이상, 약 6%대의 증가를 보이고 있다. 발생시간도 70년대에는 저녁시간대에 주로 발생했으나 80년대부터 최근까지는 15시에 하계 최대전력이 발생하고 있다 아울러 최근에는 기상의 변동폭 증가로 여름과 겨울의 계절성이 증폭되는 추세에 있고 이러한 최대전력 발생의 이면에는 시간별 부하패턴이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과거 70-80년대에는 연간이나 월간 부하패턴 모두 평균전력대비 변동폭이 크게 나타났으나 최근에는 변동폭이 상당히 작아지고 있다. 이는 최대전력에 못지않게 전력소비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부하수준이 평준화되고, 부하율이 높아지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며 연중 및 일간 피크 발생시점도 다변화되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부하패턴 변화에 합리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짧은 기간의 부하관리보다는 상시 수요관리인 효율향상 위주의 프로그램이 필요하고, 저렴한 전기 요금의 정상화를 통한 전력소비 감축을 통한 대응이 중요하다. 외국의 사례를 보면 우리나라 냉방 및 난방전력은 현재보다 10%p-20%p 정도 점유비가 추가적으로 상승할 개연성이 높으므로 다양한 시나리오 예측을 통한 철저한 위험관리 체계 확립이 요구된다.

  • PDF

Evaluation of impact of climate change on inflow to Chungju Dam by user-centered selection of GCM and downscaling method (사용자 중심의 GCM 및 상세화 기법 선정에 따른 충주댐 유입량 기후변화 영향 평가)

  • Cho, Jaepil;Kim, Chul-gyum;Park, Ji-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25-25
    • /
    • 2018
  • 본 연구는 충주댐을 대상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미래 댐운영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연구 목적에 접합한 GCM 및 상세화 기법 선정을 위한 절차를 적용함으로써 사용자 중심의 기후변화 시나리오 상세화 자료가 유입량의 재현성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우선 편이보정 전의 29개 원시 GCM에 대한 강수량 및 기온의 순단위 시 공간적 재현성 평가를 통해서 상위 16개 GCM을 선정하였다. 이후 상세화 기법을 선정하기 위해서 유입량 전망에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총강수량(prcptot) 및 일최대강수량 (rx1day)을 기후지수(Climate Indices)로 선정하였다. 상세화 기법은 과거기간의 재현성이 평가, 미래기간 시그널 왜곡도 평가, 공간상관성에 대한 재현성 평가를 통해 SQM 기법을 선정하였다. 제한적인 기후변화 전망 자료를 고려하여 과거 30년 기간에 대한 모의결과 월단위 모형효율지수(ME) 및 결정계수 ($R^2$)는 모두 0.92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여 주었다. GCM 선정에 따른 오차는 원시 GCM을 통해 선정된 16개 GCM을 사용한 경우 유입량 재현성 평가에 있어 가장 좋은 결과를 보였다. 전체적으로 상세화 자료를 유역 모델링에 활용하는 경우 GCM의 선정보다는 상세화 기법의 선정이 전체적인 재현성 평가에 있어서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기간에 대한 평균 유입량 전망은 모든 RCP 시나리오에서 근 미래 보다는 중간 및 먼 미래 기간 동안에 유입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모든 미래 기간에 대해여 RCP 8.5 시나리오가 RCP 4.5 시나리오와 비교하여 유입량의 증가가 높을 것으로 전망되었다. 홍수 관리측면에서 중요한 일 최대 유입량의 미래 변동은 평균 유입량과 비교하여 최대 두 배 이상의 높은 변화율을 보였다. 댐운영 측면에서는 연간 총 유입량의 변화보다 시기별 유입량의 변동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며, 평균 유입량 및 일단위 최대 유입량 모두 근 미래 기간에 대해서는 RCP 시나리오 모두 7월 및 8월을 중심으로 유입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중간 미래에서 먼 미래로 갈수록 평균 및 일단위 최대 유입량 모두 전체 기간에 걸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A Study On the Renewal System of Domestic High Definition Maps (우리나라 정밀도로지도의 갱신체계에 관한 연구)

  • SEOL, Jae-Hyuk;LEE, Won-Jong;CHOI, Yun-Soo;JEONG, In-H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2 no.3
    • /
    • pp.133-145
    • /
    • 2019
  • Building and researching high definition maps that support autonomous vehicles, one of Korea's key challenges for the future, are being actively propelled in both private and government sectors with the goal of fast commercialization. Under this perspective, update methods that secure up-to-date information are emerging as key tasks. To provide a plan for establishing efficient renewal systems for high definition maps, we analyzed the present condition of road types, causes of road changes and its annual change rates, and examined where and how such road change information is managed. Furthermore, the method of collection and detection of road change information and the renewal system of high definition maps are defined based on the current study. At the end of the paper, a step-by-step renewal system is proposed through the examination of renewal cycles, contents, and region of high definition maps.

Outflow Loads of Total Nitrogen, Total Phosphorus, and COD in Mountain Stream Water (산지 계류수에서의 총질소, 총인 및 COD의 유출부하)

  • Kim, Jin-Soo;Kim, Sun-Jong;Oh, Kwang-Young;Oh, Seung-Young;Kim,Je-Su;Jeong, Young-H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6 no.5
    • /
    • pp.787-797
    • /
    • 2003
  • The characteristics of concentrations and loads of Total Nitrogen(T-N), Total Phosphorus(T-P), and Chemical Oxygen Demand (COD) in mountain stream water were examined from September 2000 through August 2001. The 92.5-ha study watershed in Chungbuk Province consists of 59% mixed forest and 30% coniferous forest. Streamflow was measured and water samples were collected at about 10 day intervals for dry days and at 2-6 hour intervals for a storm event at the study watershed outlet. The mean concentration of COD in streamflow for rainy days was significantly (p < 0.05) higher than for dry days. The mean concentrations of T-N and T-P in vegetation growing season (May to October) were lower than those in vegetation dormant season (November to April). Low concentrations of pollutants during vegetation growing season are likely due to the heavy demand for nutrients by the vegetation and biological activity associated with a warming of soil. The ratios of pollutants loads during storm periods to annual pollutants loads were 87% for T-N, 83% for T-p, and 87% for COD. The unit loads of pollutants for study area were estimated at 5.9 kg/ha $\cdot$ yr for T-N, 0.15 kg/ha $\cdot$ yr for T-p, and 23.9 kg/ha $\cdot$ yr for COD. The removal efficiency of pollutants in study area were 24% for T-N, 58% for T-P and 66% for COD, indicating that a study area shows water purification function.

Low-Flow Projection according to the Actual Evapotranspiration scenarios under the Climate Change -Chungju Dam Case- (기후변화 실제증발산 시나리오에 따른 갈수량전망 - 충주댐 사례 -)

  • Sun, HoYoung;Kang, Boo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104-104
    • /
    • 2018
  • 이수안전도의 기준이 되는 갈수량에 대해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전망을 제시하였다. 충주 댐 유역을 대상으로 기준기간(1986~2000년)에서의 기상청의 관측 기상자료와 IPCC 보고서의 RCP 4.5/8.5 시나리오를 대상으로 CMIP5(Coupled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 Phase 5)에서 제공하는 기후변화 자료 중 5개의 모델(ACCESS1.3 CanESM2, CNRM-CM5, GFDL-ESM2G, HadGEM2-AO)의 기준기간과 미래기간(2011~2100년)의 기상자료를 수집하였다. 기후변화 자료는 정상성/비정상성 분위사상법과 베이지안 모델 평균기법을 통해 불확실성과 통계적 오차를 저감하였다. 미래기간에서, 강우는 RCP 4.5에서 1.74mm/year, RCP 8.5에서 3.22mm/year, 실제증발산은 RCP 4.5에서 1.09mm/year, RCP 8.5에서 1.78mm/year의 증가율을 보였다. 실제증발산을 입력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IHACRES모델의 CMD(Catchment Moisture Deficit) 비선형 모듈의 매개변수를 변이하여 유효강우량 산정 과정을 개선하였다. 기준기간에서 관측유량자료와 IHACRES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산정된 유량자료의 R-squared는 0.65이다. 기준기간에서의 매개변수를 고정하여 미래기간의 유량을 산정하고 유황분석을 통해 갈수량 전망하였다. 유량은 RCP 4.5에서 4.41MCM/year, RCP 8.5에서 9.66MCM/year의 증가율을 보였다. 갈수량은 RCP 4.5에서 0.30MCM/year, RCP 8.5에서 -0.47MCM/year의 증감율을 보였다. 연간 강수량 대비 실제증발산의 비율의 추세분석 결과, RCP 4.5에서는 홍수기에는 0.014%/year, 비홍수기에는 0.027%/year의 증가율을 보이며 거의 변화가 없는 추세를 확인할 수 있었다. RCP 8.5의 홍수기에는 -0.042%/year, 비홍수기에서는 0.167%/year의 증감율을 보이며 홍수기에는 실제증발산에 비해 강수량의 증가가 확연히 보였으며 비홍수기에는 강수량에 비해 실제증발산의 증가가 뚜렷이 확인되었다. RCP 8.5에서 비홍수기의 강수량 대비 실제증발산의 증가가 갈수량의 감소로 반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미래기간의 RCP 4.5/8.5에서 실제증발산의 증가로 인하여 강수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입량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갈수량의 증가로 이어지지 않았다. 미래 갈수량의 감소는 하천의 건전성과 이수안전도의 위협이 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