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역할내행동

Search Result 167,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조직내 갈등이 정보시스템 품질과 개인 성과에 미치는 영향

  • Kim, Ung-Tae;Jeong, Ho-Won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713-718
    • /
    • 2007
  • 현대 기업에서 정보시스템은 기업활동의 필수적이고 기본적인 요소로 인식되고 있으며 그 중요성은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 정보시스템은 기업의 각 요소를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기업의 목적이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사용 되고 있다. 정보시스템의 도입이 이런 목표나 목적을 달성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정보시스템의 품질과 조직 성과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다. 조직행동론 분야에서 '조직내 갈등'이 조직성과에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조직내 갈등은 '과업적 갈등'과'감정적 갈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들은 매개변수나 조절변수로서 조직 성과에 영향을 주고 있다. 하지만 정보시스템의 품질과 조직의 성과에 관계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반면 이들 관계에 있어 갈등의 역할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정보시스템의 품질과 조직원 성과관계에서 갈등의 역할에 초점을 맞춰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근로자 300인 이상인 기업에 근무하는 사무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PLS(Partial Least Square)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 PDF

Health Information Needs and Seeking Behaviors among Korean Mothers of Young Children in the United States (미국 내에 거주하는 한인 어머니들의 건강정보 필요성과 탐색 행동연구)

  • Lee, Hanseul Stephanie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28 no.1
    • /
    • pp.209-228
    • /
    • 2017
  • Previous studies have noted mothers' roles as active health information seekers, health managers, and caregivers for their family members.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health information needs and seeking behaviors among Korean mothers of young children living in the United States. Using paper-based surveys, this study found that vaccination, child dental health, parenting, nutrition and diets, and physical exercise were ranked as the five most important health topics by the Korean mothers of young children aged 0 to 10 years old in this sample. Furthermore, this study revealed that mothers of boys evaluated the importance of two topic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girls: circumcision (t=3.16, p < .01) and breastfeeding (t=2.47, p < .05). Also, age of child was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mothers' information needs in three health topics: child dental health (F=5.292, p < .01), physical exercise (F=7.107, p < .01), and child skin care (F=5.640, p < .01). Implications for developing health information services are also discussed.

A Study on Interorganizational Boundary Spanning Behaviors between Buyers and Sellers (유통경로 내 조직간 영역초월행동에 관한 연구)

  • Kim, Sang-D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DIstribution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8a
    • /
    • pp.3-26
    • /
    • 2007
  • Recently, both scholars and marketers have asserted the importance of boundary spanning behaviors, such as external representation, being vocal advocates to outsiders of the organization's image, goods, and services, internal influence, taking individual initiative in communications to the firm and co-workers to improve service delivery by the organization, co-workers, and oneself, and service delivery, serving customers in a conscientious, responsive, flexible, and courteous manner. However, there is lack of study dealing with bourdary spanning behaviors bewteen organizational dyads, in which boundary spanning behaviors are expected to have important roles. The objectives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se important concerns with prior research by developing a theoretical model predicting how distinct buyer's boundary spanning behaviors occur. To be concrete, this paper develops a seller characteristics-based model of the attitudinal antecedents of three conceptually distinct forms of boundary spanning behaviors, and tests the hypothesized differential effects of seller characteristics on the three forms of boundary spanning behaviors, and investigates the extent to which these relationships are mediated by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the purpose of empirical testing, 420 respondents of leading automobile dealers, dining franchisees, industrial material retailers in Korea were surveyed and the analysis utiliz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indicated that communication quality, fairness, and marketing program dynamism had positive effects on buyer's boundary spanning behaviors via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addition, boundary spanning behaviors occurred more in contractural and corporate distribution channel than in conventional distribution channel.

  • PDF

A Creation of Emotionally Intelligent NPC Reacting toward Gamer‘s Inclination in MMORPG (MMORPG에서 게이머의 성향에 반응하는 감성 지능형 NPC생성)

  • Lee, Chang-Sook;Um, Ky-Hyun;Cho, Kyung-Eun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6 no.3
    • /
    • pp.23-32
    • /
    • 2006
  • Users connect to game server for considerably many hours and perform their roles in MMORPG(Massively Multiplayer Online Role Playing Game), users' immersion degree is very higher than other games, have known affluent contents make users play various roles in game world. However, although contents of games are improved quite much, MMORPG remains still boring game. It is because that the NPC (Non Player Character)' behavior patterns that are the most important elements to make games fun are so simple. So, in this paper we proposed a method to create NPC that react in player's inclination by implanting personality and emotion to NPC.

  • PDF

The Role of Women in Health Care in Korea (한국 보건의료에 있어서 여성의 역할)

  • Kim Susie
    • The Korean Nurse
    • /
    • v.23 no.3 s.126
    • /
    • pp.44-50
    • /
    • 1984
  • 한국여성은 전통적으로 대가족제도 속에서 육아 및 가사활동에만 종사해왔다. 그러나 산업화 및 사회구조의 변화로 여성들도 교육의 기회를 갖게 되었으며 전통적인 역할 수행에 대한 가치변화와 함께 여성의 사회적 역할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반면에 가족 형태가 핵가족화 함으로서 가족 내에서의 자녀양육을 비롯한 가정적 역할이 더욱 중요시 되게 되었다. 오늘날 한국사회는 여성에게 현재의 사회구조와 핵가족 속에서는 시간적으로 동시에 수행할 수 없는 두 가지 상반된 역할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반된 역할사이에서는 여성은 갈등과 좌절감을 느끼게 되며 이중적인 부담 속에서 생활하게 되었다. 본 원고에서는 전통적인 한국의 가족가치관을 살펴보고 건강관리 측면에서 여성의 역할을 살펴보고 건강관리 측면에서 여성의 역할을 살펴보고자 한다. 전통적 가족가치관과 여성-우리나라의 전통적 가족은 부계 중심의 혈연 계승을 중요시하는 가부장적 대가족제도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부계 계승을 통한 가족의 영속성과 가 중심사상에 기반을 둔 철저한 가족주의적 가치관이 전통적 사회를 지배하여 왔다. 그러므로 자연히 개인보다 가족집단이 우의적인 지위에 있을 뿐만 아니라 모든 행동의 결정에도 중요한 준거 집단이 되었다. 이러한 가의 영속 및 번영을 가장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많은 자녀를 필요로 했으며 부계중심 가족에서 자연히 남아 선호사상이 강할 수밖에 없었으며 이것은 조상에 대한 의무요 책임이라 생각했다. 이러한 가부장권의 확대에 반비례해서 가정 내에서 여성의 지위와 역할은 축소되어갔다. 여성들의 절대적인 예속을 필요로 하여 삼종지도니 칠거지악이니 불경이부등의 도덕률을 만들었으며 여성들 스스로가 이러한 정절과 복종을 미덕으로 생각하도록 교육받음으로서 여성들 자신이 자기희생의 굴레 속에서 인내와 복종의 생활을 운명처럼 받아들이게 되었으며 남편과 자식을 위해서는 목숨까지도 희생하게끔 철저히 사회화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가족 제도 안에서의 남녀의 지위는 동위 항렬 내에서만 해당되고 항렬을 달리할 때는 삼종지도의 이론에 부합된다. 어머니로서의 존장련이 인정되어서 가정 내에서의 여성의 종속적인 지위에 비하여 모의 권한은 절대적이었다. 상례와 제례에서 어머니와 아버지에 대한 의식에는 차이가 없으며 내외 명부제도에 의해서 부인도 남편과 똑같은 대우를 받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존장련에 의한 모의 권리와 더불어 부부유별에 의해서 가사권의 독자적인 결정권도 인정되고 있었다. 건강관리 측면에서 여성의 역할- 전통적으로 건강관리에 관련된 한국여성의 역할은 1. 씨받이로서의 역할로 생명을 잉태하도록 돕고 건강한 아이의 수태를 위해 태교에 힘썼으며 2. 자녀의 의식주를 해결하는 가사 역할만을 담당하는 전통적인 여성의 역할만을 수행하였으며 출산한 생명을 건강하게 자라도록 건강관리를 철저히 하였으나 체계적인 건강관리는 되지 못하였으며 특히 식생활에 유의하였으나 정서, 사회면은 도외시 한 과잉보호현상이었다. 3. 결혼 후에는 남편의 건강관리를 위해 철저하였으며 특히 식생활에 유의하였고 정서적으로 부담을 주지 않도록 유념하였다. 4. 또한, 임종시 평안한 죽음을 맞도록 도왔다. 전통적으로 한국여성의 역할은 돕는 역할이었다.

  • PDF

The Impact of Ethical Leadership on Unethical Pro Organizational Behavior: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Job Engag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윤리적 리더십이 비윤리적 친조직행동에 미치는 영향 직무열의와 조직몰입의 이중 매개효과)

  • Li, Yi-Ran;Jeon, Jeong-Ho;Lee, Jong-Mi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9 no.10
    • /
    • pp.487-510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Ethical Leadership on job engage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and to analyze the dual mediation effect of job engag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e used 565 questionnaires collected by members in domestic companies. The result of the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Ethical Leadership has no positive effect on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Leadership and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job engagement does not play a mediating role, but organizational commitment plays a mediating role.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Leadership and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job engag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play a dual mediating role. The theoretical implication is that this study once again confirmed the behavior patterns such as cognition, emotion, attitude and behavior of members in the organization. In addition,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oretical expansion by explaining that these behavior patterns are identified by social exchange theory. The practical implication is that this study confirmed that members in the actual management field are willing to perform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in order to achieve the organization's goal efficiently and effectively.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active efforts should be made to recognize these negative influences and possibilities at the organization level and to create a clean and fair organizational culture and environment that everyone can recognize at the social level.

Relationship Between Collegiate Student Exercise Intention and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 The Mediating Role of Action and Coping Planning (대학생들의 운동의도와 여가시간 신체활동 간의 관계에서 극복계획과 실행계획의 매개역할)

  • Kim, Boram;Cheon, Sung Hyeon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v.58 no.1
    • /
    • pp.217-228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coping plan and action plan in the relation between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LTPA) intention and exercise behavior and to extend the literature in theory of planned behavior. We examined the mediating role of implementation plan-namely coping plan and action plan in the effect of intention to physical activity on exercise behavior. To attain the goal of study, we asked collegiate students (n=253; male=118, female=105) report their intention toward LTPA, coping plan, action plan, and self-reported exercise behavior.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tatistical program software (i.e., SPSS, AMOS) for SEM and mediation analyses. The results revealed that intention toward LTPA was positively related to implementation plan (coping plan and action plan) and exercise behavior. Collegiate students' intention toward LTPA positively predicted their exercise behavior mediated by implementation plans. Specifically, LTPA intention among collegiate students predicted their exercise behavior via coping plan and action plan. The findings showed that coping plan and action plan partially mediated in the relation between LTPA intention and exercise behavior. In conclusion, students' intention to be getting physical active in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 explains lifetime physical activity or the level of recent exercise behavior possibly via coping plan (e.g., how to overcome barriers to exercise) and action plan (e.g., when and where I exercise and get physically active). The conceptualization of coping plan and action plan in implementation plans and test of its model better to explain the intention-behavior gap would help exercise instructors or practitioners effectively develop their plans and strategies toward targeted exercise behavior.

The role of cognitive dissonance in development of negative attitudes toward the law (바늘 도둑이 소도둑 된다: 준법의식의 약화에서 인지부조화의 역할)

  • Taekyun Hur;Jaewon Hwang;Jaeshin Kim
    •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
    • /
    • v.11 no.1
    • /
    • pp.25-42
    • /
    • 2005
  • The present research examined the proposition that once people violate traffic regulations, they would experience cognitive dissonance and subsequently engage in changing their attitudes toward the law negatively in order to reduce the dissonance. In an experiment, participants were presented with three scenarios in which a person violated traffic laws, and they were asked to imagine themselves as the person of the scenarios and write statements supporting the unlawful behaviors. Participants' attitudes toward the general traffic law and the regulations related to the violations were measured 8 weeks before and right after the experimental treatment. The results, as expected, showed that their attitudes toward the general traffic law and the specific regulations in the scenarios changed negatively after writing the statements. In each secnarios, the participants who chose to wrote statements supporting the unlawful behaviors showed great attitude changes that those who did not write the statements. Furthermore, attitudes toward the regulations that we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scenarios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and participants who were expected to experience stronger dissonance arousal (e.g.., supported more unlawful behaviors or had have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law before the experiment) showed greater attitude changes. These results support the effects of trivial unlawful behaviors on attitudes toward the law and strongly suggest the role of cognitive dissonance underlying the effects.

  • PDF

소비자의 제품 성과 평가 과정에 대한 점포 내 기분 상태의 역할

  • Kim, Gwang-Su;Sin, Jong-Guk;Gwak, Won-Il
    •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
    • /
    • v.3
    • /
    • pp.173-193
    • /
    • 1999
  • 본 연구는 소비자의 제품성과 평가에 대한 선행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기존의 연구 결과에서는 제품성과에 대한 소비자의 사전 기대 신념 수준이 제품 성과 평가에 주요한 원인임을 밝히고 있다. 1980년대부터 소비자행동 및 심리학 분야에서 감정의 역할 및 기타 심리요소와의 관계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제품 평가 과정에 있어서 감정이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음이 밝혀 졌다. 즉, 제품성과 평가에 있어서 소비자의 일시적 측면과 감정적 측면에 모두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감정에 관련된 인구에 있어서 항상 문제가 되어왔던 부분이 감정의 개념 규정과 특성이다. 현재까지도 이 문제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것이 많지만 이에 대한 새로운 연구 결과가 많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소비자 감정 반응의 유형을 구분하고 제품 평가 과정에서 발견되는 감정 반응은 주로 기분 상태의 성질을 띠고 있음을 설명한다. 한편 본 연구와 관련하여 주목할 만한 이론이 감정의 인지적 평가 이론이다. 이 이론의 필자는 개인의 복지에 영향을 미치는 사건에 대한 인지적 평가가 감정에 선행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감정의 인지적 점포 내 기분 상태의 인지적 평가 요소로 사전적 기대와 점포 평가를 제시하고, 점포 내 기분 상태의 결과로 제품 성과 평가를 제시하는 연구 모형을 수립하였다. 이 연구 모형에 대해 공분산 구조 분석을 실시한 결과 점포 평가가 점포 내 기분 상태의 중요한 인지적 평가 요인이 되었으며, 점포 내 기분 상태의 유쾌 차원이 소비자의 제품 성과 평가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the Adaptive Service by State Transition in Ubiquitous Environment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상황변화에 따른 적응형 서비스에 관한 연구)

  • 황정식;피수영;정환묵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4.10a
    • /
    • pp.232-235
    • /
    • 2004
  • 차세대 정보통신 기술의 가장 중요한 패러다임으로 유비쿼터스 컴퓨팅이 새롭게 주목 받고있다. 그러나 현재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축적되어 있는 분산데이터베이스의 구체적인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는 아직 불충분하다. 본 논문에서는 분산환경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되어 있는 데이터를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인간의 동작이나 행동에 대한 상황 적응형 서비스를 실행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베이지안 네트워크는 변수들 사이의 인과 관계를 표현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행동이나 특성들을 기술하는 것이 용이하다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인간이나 사물의 동작, 행동 등을 축적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현재 인간의 상황을 예측하여 인간이 필요로 하는 적절한 서비스를 실행하는 작업이 요구된다. 유비쿼터스 환경 내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인지하고 인간과 사물간의 대화 생성의 중개역할자로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적절한 서비스를 추론하고 실행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