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역치하

검색결과 419건 처리시간 0.036초

월경주기에 따른 동통역치 및 미각역치의 변화 (Pain Threshold & Taste Threshold Variations across the Menstrual Cycle)

  • 변영희;구선주;최재갑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6권3호
    • /
    • pp.253-260
    • /
    • 2001
  • 이 연구의 목적은 월경주기에 따른 동통역치와 미각역치의 변화를 평가하고자 하는 것이다. 안면부에 동통성 질환이 없고 정상 월경 주기를 가진 건강한 20대 여성 11명이 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2회의 연속적인 월경주기 동안, 월경기(menstrual phase), 여포기(follicular phase), 황체기(luteal phase)의 세 시기에서 압력통각역치, 전기미각역치, NaCl 미각역치를 각각 측정하였다. 각 역치를 월경주기의 시기별로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압력통각역치와 전기미각역치는 월경주기의 시기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황체기에서 월경기에서와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역치를 나타내었다. NaCl 미각역치는 월경주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 PDF

표준청력검사와 자기청력검사의 역치차에 관한 고찰 (A STUDY OF THRESHOLD DIFFERENCE BETWEEN CONVENTIONAL AND BEKESY AUDIOMETRY)

  • 이종철;고의병;조병우;전경명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7년도 제21차 학술대회 연제순서 및 초록
    • /
    • pp.10.1-10
    • /
    • 1987
  • 표준청각검사와 자기청력검사는 청력역치의 측정으로 난청의 종류를 구별하고 누가현상유무를 판정하며, 사청검사를 할 수 있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표준청력검사는 동일강도의 음을 부여하는 대신 자기청력검사는 음의 증강 및 감약이 계속되는 음을 부여하는 점이 양자의 상이점이다. 이런 차이로 인해 자기청력검사에는 일과성 역치 상승(temporary threshold shift)현상이 일어나 청력 역치가 높을 수 있다. 양자의 역치차가 각 청력군별로 어느 정도차이가 있는가를 관찰할 목적으로 정상청력군 50명 (100이), 전음성 난청군 41명(50이), 감각신경성 난청군 38명(50이)을 대상으로 표준 및 자기청력검사의 기도측정을 실시하여 양 검사의 차를 구하고 그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하였다. 1) 정상청력군과 전음성 및 감각신경성 난청군 모두 자기역치가 표준역치 보다 높게 측정되는 경향으로 난청군에서 더욱 높게 측정되었다. 그러나 자기역치가 낮은 예도 많았다. 2) 양 검사의 일치범위를 $\pm$10㏈로 하면 정상 청력군은 94%, 전음성 난청군 85%, 감각신경성 난청군 79%에서 양 검사가 일치하였다. 3) 자기역치에서 표준역치를 추정할 수 있는 범위는 정상군에서는 5~-l0 ㏈, 난청군에서는 5~-15 ㏈ 의 변동폭이었다. 4) 양 검사의 역치차가 $\pm$20 ㏈이상인 예도 많아 양 검사는 서로 독립된 검사라고 생각되었다.

  • PDF

측두하악장애환자에서 다양한 종류의 정량적 통각검사들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Associations Among Different Types of Quantitative Pain Measures in TMD Patients)

  • 박지운;김용우;정진우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2권4호
    • /
    • pp.413-419
    • /
    • 2007
  • 다양한 종류의 정량적 통각검사들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56 명의 측두하악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측두근, 교근, 측두하악관절 부위, 그리고 경골근의 냉통각역치 (Cold Pain Threshold, CPT), 열통각역치 (Heat Pain Threshold, HPT), 열통증인내역치 (Heat Pain Tolerance Threshold, PTT), 압력통각역치 (Pressure Pain Threshold, PPT)를 측정하였으며, 각기 다른 통각 역치 간의 상관관계와 측정 부위 별 통각 역치 간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였다. CPT, HPT, PTT를 포함한 온도통각역치의 성별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PPT는 여성이 남성에 비하여 모든 부위에서 유의하게 낮은 역치를 나타내었다. CPT, HPT, PTT를 포함한 세 가지의 온도통각역치들은 모든 측정 부위에서 약정도에서 강정도 (mild to high)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r= 0.324-0.754, p<0.05). PPT 값은 각각의 온도통각역치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모든 측정 부위의 통각역치값들은 서로간에 약정도에서 강정도 (mild to high)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r= 0.284-0.878, p<0.05). 측두하악장애 환자의 온도통각역치와 열통각인내역치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존재하나 온도통각역치와 압력통각역치 간에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각기 다른 부위에서 측정된 통각역치 간에는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저출력레이저 조사가 측두하악장애환자의 압력통각역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ow Level Laser Therapy on Pressure Pain Threshold in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 A Double-blind Study)

  • 조경아;박준상;고명연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4권3호
    • /
    • pp.281-300
    • /
    • 1999
  • 측두하악장애환자와 정상대조군의 두경부 근육에 있어서 실제 또는 위약 치료에 따른 저출력 레이저의 효과와 측두하악장애환자에서 저출력 레이저의 효과적인 치료기간을 평가하기 위하여, 측두하악장애를 가진 부산대학교 치과대학생 19명과 측두하악장애의 병력이나 증상이 없는 부산대학교 치과대학생 20명을 대상으로 치료전, 치료 2주 및 치료 4주에 구외촉진이 가능한 32 근골격 촉진점의 압력통각역치와 각각의 동통정도와 두개하악지수를 측정하여 다음과 갈은 결론을 얻었다, 1. 치료전 환자군의 압력통각역치는 정상대조군 압력통각역치보다 낮았다(p<0.05), 2. 환자군의 압력통각역치는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p<0.05) 레이저 조사 환자군의 증가된 압력통각역치는 레이저 모의조사-환자군의 증가된 압력통각역치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3. 대조군에서는 레이저 조사나 모의 조사에 의해 압력통각역치와 변화가 없었다. 4. 레이저 조사-환자군의 압력통각역치가 안면근육에서는 치료2주부터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경부근육에서는 치료4주부터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5. 레이저 조사-환자군에서 동통의 정도와 두개하악지수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 PDF

보존적 치료에 따른 두개하악장애환자의 압력통각역치와 휴식시 근전도의 변화 (Pressure Pain Threshold and the Resting EMG Activity in Patients with Craniomandibular Disorders Before and After Conservative Therapy)

  • Kyung-A Cho;Myung-Yun Ko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19권2호
    • /
    • pp.125-135
    • /
    • 1994
  • 저자는 두 개하악장애환자의 보존적 치료에 따른 압력통각역치오 휴식시 근전도의 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여성 환자 21명을 대상으로 치료전후에 각각 동통의 정도를 유추척도로 나타내었고 편이개구량을 측정하였으며 교근과 전측두근의 압력통각역치와 휴식시 근전도를 조사하였다. 두 개하악장애의 병력이나 증상이 없는 21명의 정상 여학생을 대조군으로 교근과 전측두근의 압력통각역치와 휴식시 근전도를 측정하여 환자군과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보존적 치교이후 동통과 최대편이개구량은 개선되었다. 2. 보존적 치료이후 압력통각역치는 증가하였고 휴식시 근전도는 감소하였다. 3. 압력통각역치나 휴식시 근전도의 좌우차이는 없었다. 4. 압력통각역치와 휴식시 근전도사이에는 약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 PDF

합곡에 대한 전기침술자극요법시 하악구치의 동통역치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Electroacupuncture Stimulation Therapy on The Pain Threshold of Mandibular Posterior Teeth Using LI4(HAP GOK) Points)

  • Ai-Ree Chung;Ki-Suk Kim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0권1호
    • /
    • pp.105-115
    • /
    • 1995
  • 합곡에 전기침술자극요법이 하악구치에 미치는 동통역치에 관한 효과를 알아보고자 본연구를 시행하였다. 전기침술자극요법시행전에 시행중 10분, 시행후 하악구치의 감각과 통통역치를 측정하였으며 2일후 같은 검사자들을 대상으로 위전기침술자극요법시행전, 위전기침술자극요법시행중 10분, 위전기침술자극요법시행후에 하악구치의 감각과 동통역치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합곡에 전기침술자극요법을 시행시 하악구치의 감각역치와 동통역치가 유의성있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합곡에 대한 전기침술자극요법이 하악구치의 동통완화에 효과적이라 사료된다.

  • PDF

목 디스크 환자에게 그라스톤을 이용한 기계적 자극 시 동일 척수 분절의 통증 유발점 압통 역치 및 근 긴장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echanical Stimulation using Graston on Changing Trigger Point Pressure Pain Threshold and Muscle Tone of the Same Spinal Segment in Neck Disk Patient)

  • 김도형;이병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198-205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목 디스크 환자에게 기계적 자극을 적용하여 피부 감각의 변화를 유도하고 동일한 척수분절의 통증 역치와 근 긴장도 전-후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에 목 디스크 질환을 가지고 있는 남성 10명, 여성 20명으로 구성된 대상자를 총 30명 선정하고 실험을 진행하였다. 기계적 자극 그룹은 Graston 장비를 이용하여 5분간 피부 감각 변화를 유도하였고, 대조군은 아무런 조치를 받지 않았다. 피부 감각 변화는 Von Frey filament를 통해 검사를 진행하였고, 압통 역치의 변화는 압통 역치 측정기를 통해 측정하였고, 근 긴장도의 변화는 Myotone pro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기계적 자극 적용 시 피부 감각의 역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동일한 척수 분절의 신경 지배를 받는 오른쪽 가시아래근의 압통 역치와 근 긴장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05), 오른쪽 등세모근의 압통 역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하지만 다른 근육들의 압통 역치와 근 긴장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대조군에서는 피부 감각, 압통 역치, 근 긴장도의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기계적 자극에 의해 유도된 피부 감각 변화는 동일 척수 분절의 압통 역치와 근 긴장도의 변화시켰다. 따라서 동일 척수 분절에 대한 기계적 자극의 적용을 통해 목 디스크 환자의 압통 역치, 근 긴장도의 증가와 통증 조절을 위한 새로운 재활 방법으로 임상적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뇌졸중 환자의 상지부종에 대한 정량적 감각 평가 (Quantitative sensory Testing on Edema of Upper Extremity for Stroke Patients)

  • 이영신;정대인;김경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851-859
    • /
    • 2013
  • 본 연구는 뇌졸중 편마비 환자를 대상으로 비마비측과 상지부종이 있는 마비측의 정량적 감각 평가(QST)를 비교함으로서 부종 관리 및 치료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에 맞는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I군(n=15)과 만성기 뇌졸중 환자II군(n=17)을 대상으로 비마비측과 마비측에 대한 상지용적의 차이, 기계적 동통 역치(MPT), 냉감역치(CST), 온감역치(WST), 냉통증역치(CPT), 온통증역치(WPT), 진동감각 역치(VST)에 대한 정량적 감각 평가(QST)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각 군내 비교 시 모든 측정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p<.001), I군과 II군의 군간 마비측 감각 평가 비교에서는 기계적 동통 역치(MPT)를 제외한 모든 측정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아급성기에는 만성기에 비해 상지부종으로 감각역치 증가로 인한 감각저하가 초래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뇌졸중 환자의 부종에 따른 감각적 특성 차이를 정량적 평가를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어음청취역치와 순음청력검사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The Correlation Between Speech Reception Threshold and Pure Tone Audiometry)

  • 이철희;선우대활;민양기;백만기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1년도 제15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38.2-39
    • /
    • 1981
  • 어음청취역치는 어음명료도검사를 위한 기초검사이며 순음청력검사의 신뢰도를 검증하는데도 이용된다. 순음청럭검사와 어음청취역치의 연관성을 보기위해 본원에 내원한 전음성난청환자 50이(33명), 정상인 30이(40명)에 대해 Grason-Stadler 1702 Audiometer를 사용하여 순음청력검사와 어음청취역치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어음청취역치와 회화음역에서의 순음평균치의 차이는 전음성난청의 경우 그 범위가 -3,3dB∼+8.3dB로 평근 2.4dB의 격차를 보였고 정상인의 경우 그 범위가 -6.7dB∼+5dB로 평균 1.9dB의 격차를 보였다. 2) 회화음역의 500Hz, 1,000Hz, 2,000Hz 각 주파수에서의 역치와 어음청취역치간의 차이는 전음성난청의 경우 500Hz에서 평균 6dB, 1,000Hz에서 평균 3dB, 2,000Hz에서 평균8.8dB였으며 정상인의 경우 500Hz에사 평균 3dB, 1,000Hz에서 평균 2dB, 2,000Hz에서 평균 5dB로서 전음성난청과 정상인에서 다같이 1,000Hz에서 어음청취역치와 순음역치의 차이가 가장 적었다.

  • PDF

만성기도폐쇄를 보이는 환자에서 환기성역치 측정 (Measurement of Ventilatory Threshold in the Patients with Chronic Airway Obstruction)

  • 이계영;지영구;김건열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2호
    • /
    • pp.309-320
    • /
    • 1997
  • 연구배경 : 혈중 유산농도를 측정함으로써 결정되는 무산소역치(유산역치)는 관혈적이라는 제한점이 있어, 운동부하시 유산증가에 수반되는 환기적부하에 반응하는 여러환기지표에서 비관혈적으로 무산소역치 (환기성역치)를 측정하는 방법들이 제시되어 있고, 이들에는 환기 당량법, 종말호기 산소분압법, V-경사법, 호흡지수법 등이 알려져 있다. 무산소역치를 반영하는 환기성 역치의 타당도에 관하여 논란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일관성있는 방법적 신뢰도가 유효하다면 운동능력 평가에 있어서 환기성역치의 유용성이 인정된다는 일반적인 의견이다. 그러나 이미 환기장애가 초래되어 있는 만성기도폐쇄를 보이는 환자에서는 운동증가에 따르는 유산증가에 대처하는 환기반응이 적절하지 못하므로 환기성역치가 무산소역치를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었다. 만성기포폐쇄를 보이는 환자에서 상기한 네가지 환기성역치 측정방법들의 역치검출율과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2명의 정상대조군과 17명의 만성기도폐쇄 환자군을 대상으로 증상제한적 최대운동부하검사(정상군 : 25 W/min, 만성기도폐쇄군 10 W/min)를 실시한 후 환기당량법, 종말호기산소분압법, V-경사법, 호흡지수법 등에 의해 환기성역치를 구한 후 상관계수를 구하여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결 과 : 각 환기성역치 측정방법에 의한 역치 검출율은 정상대조군에서 호흡지수법이 100%, 환기당량법과 종말호기 산소분압법이 91.7%로 같은 빈도를 보였고, V-경사법은 83.3%의 빈도를 보여 점반적으로 비교적 높은 빈도의 검출율을 보인 반면, 만성기도폐쇄군에서 호흡지수법이 94.1%로 가장 높았으나 환기당량법과 종말호기 산소분압법이 64.7%의 같은 검출빈도로 정상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감소되었고, V-경사법은 83.3%로 정상대조군과 검출율에 있으서 같은 빈도를 보였다. 각 환기성역치 측정방법들의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정상대조군에서는 호흡지수법을 제외한 환기당량법과 종말호기 산소분압법, 그리고 V-경사법 등간에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만성기도폐쇄군애서는 환기당량법과 종말호기 산소분압법사이에서만 상관계수가 0.9860으로 정상대조군에서처럼 매우 높은 일치도를 보였고 나머지 방법들간에는 그 어느 조합도 유의한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없었다. 결 론 : 호흡지수법은 매우 예민하지만 신뢰성이 떨어지는 방법이고, 환기당량법과 종말호기 산소분압법은 거의 유사한 방법이며, 환기능이 정상인 사람에서는 환기성역치 측정이 무산소역치를 반영하는 유용성이 었다고 판단되지만 만성기도폐쇄 환자에서는 그 유용성이 떨어진다고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