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역사적 홍수기록

Search Result 12, Processing Time 0.02 seconds

A Study of collapsed conditions of the stone pagoda in Mireuk Temple Site (미륵사지석탑 붕괴상태 고찰)

  • Kim, Derk-Moon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38
    • /
    • pp.305-327
    • /
    • 2005
  • Although the stone pagoda in Mireuk Temple site, Iksan, Cholla Province has been collapsed long time ago, few historical record has clearly explained the reason why the pagoda was collapsed and when. The west side of the pagoda have been destroyed from top to the sixth floor and the broken or damaged stone materials have been piled up in disorder. the lower part in the west was reinforced and enclosed by a stone embankment levelled to the height of the first storey of the pagoda. With no record informing the historical fact when it was made and by whom, it is only presumed that the embankment may have been built long time ago in order to prevent remains from further destruction. In the second chapter of the study, it has been tried to restore a reasonabl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pagoda based on records or comments found in literatures such as traditional poetry and essays in chronological order. The collapsed slope in the west side, just above the embankment surrounding the lower part of the pagoda, was concreted in 1915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n in 1998, the Jeollabukdo has examined the structural safety of the pagoda. The Cultural Properties Committee has decided have the concrete layer removed and moreover to take apart the whole pagoda. It is also included that the disassembled stone materials should be given proper conservation treatments before being put into the place where they were in the reassembling process. The front view of the collapsed phase of the pagoda was revealed when the concrete-covered layer was removed. A hypothesis was built that there may be as many different appearances of collapsed pagoda depending on natural causes such as earthquake, sunken foundation, flood and typhoon. In chapter three, characteristic features were classified by examining various images of pagodas destroyed by different natural reasons mentioned in historical records. The chapter four dealt with comparison and analysis on the conditions shown in the stone pagoda in Mireuk Temple site and other examples studied in advance. The result of the study revealed that though having been made higher than the ground surface, the podium or the base of the pagoda actually has been eroded by rain and water. The erosion is supposed not only to have been proceeded for a long time without break but also to have caused the first storey body stone in the west inclined to outward. It has come to a conclusion that the pagoda may have been lead to collapse when the first storey body stone, supporting the whole weight from the upper storeys, became out of upright position and lost its balance. However, no such distinctive features of structural changes shown in pagodas collapsed by natural causes like earthquake, typhoon or sunken basement, have been found in the stone pagoda in Mireuk Temple site.

Urban Drainage Simplification Using Meta-channel Concept (등가하천 개념을 이용한 관망 간략화 기법에 대한 연구)

  • Kim, Hwan-Seok;Pak, Gi-Jung;Yoon, Jae-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194-1199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도시배수관망의 간략화 모의 시 지선을 단순 생략하는 것이 아니라 2차원 관망을 1차원으로 전환시키는 방법인 등가하천 개념을 도입하여 도시유역의 유출량 산정에 있어서 여러 지선들을 개별적으로 모의하지 않으면서도 실제 존재하는 지선들의 효과를 고려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자연하천에 대해 개발된 등가하천 개념은 최근의 수문모형의 경향인 물리적 분포형 모형의 복잡성을 피하면서 전통적인 개념적 집중형 모형이 가지는 간편성을 살리고 그 것이 가지고 있는 선형가정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제안된 방법이다. 등가하천 개념을 도입하여 개발된 모형은 종국적으로 강우-유출관계에 있어서 강우의 크기, 선형 및 비선형성, 유역면적 등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위한 도구로 개발되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출구로부터 동일 거리 s에 위치한 지점에서의 배수관망의 공간적인 분포 및 집중패턴을 파악하는 폭함수(width function, n(s))와 면적함수(area function, M(s))를 이용하여 관망을 간략화 하였다. 등가관의 수리기하조건 결정은 유역이 정상상태에 도달했을 경우에 대해서 이루어지게 되며 정상상태 모의를 통해 개별 관망단면들에 대해 얻어진 유량(Q), 면적(A), 수심(y) 자료간의 상관관계를 유추하여 Q(A), A(y) 함수를 유도하게 되면 종국적으로 관로홍수추적에 이용되는 지배방정식의 매개변수인 파속계수(c) 및 확산계수(D)를 계산할 수 있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 유역으로 군자 배수구역을 선정하여 유역의 특성과 관망 자료를 수집하고 간략화 기법을 적용한 결과를 분석 하였다.다. 21세기 문화산업에서 우리가 판단하게 될 디자인의 가치는 계몽의 원리에 대한 '역사성'과 '현재성'의 변증법에 달려있는 것이며, 새로운 철학, 새로운 문명, 새로운 세계를 열어가는 것이다.r$ (地理志)에는 추현리와 이미 외리를 언급하면서 상주의 자기제작의 위상을 짐작하는 기록이 언급되면서 전국의 상품의 절반을 담당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ulcorner$경상도지리지$\lrcorner$(慶尙道地理志)에는 상주가 8곳으로 1/3의 자기 생산을 담당하고 있었다. $\ulcorner$경상도지리지$\lrcorner$(慶尙道地理志)에는 $\ulcorner$세종실록$\lrcorner$(世宗實錄) $\ulcorner$지리지$\lrcorner$(地理志)와 동년대에 동일한 목적으로 찬술되었음을 알 수 있다. $\ulcorner$경상도실록지리지$\lrcorner$(慶尙道實錄地理志)에는 $\ulcorner$세종실록$\lrcorner$(世宗實錄) $\ulcorner$지리지$\lrcorner$(地理志)와의 비교를 해보면 상 중 하품의 통합 9개소가 삭제되어 있고, $\ulcorner$동국여지승람$\lrcorner$(東國與地勝覽) 에서는 자기소와 도기소의 위치가 완전히 삭제되어 있다. 이러한 현상은 첫째, 15세기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