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여포기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5초

Influence of menstrual cycle on preferred clothing and preferred ambient temperature (생리주기가 쾌적착의량과 쾌적온도에 미치는 영향)

  • Jeong, Woon-Se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제25권9호
    • /
    • pp.1655-1660
    • /
    • 2001
  • 여성의 생리주기가 행동성 체온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6명의 건강한 여자대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22.5$^{\circ}C$와 55%RH의 환경에서 피험자 스스로가 의복을 선택하는 쾌적의복선택 실험과 피험자 스스로가 온도를 선택하는 쾌적 온도선택 실험을 각각 수행하였다. 평균피부온은 생리주기에 관계없이 쾌적온도선택 실험보다 쾌적의복선택 실험에서 높게 유지되었고, 생리주기에 따른 쾌적착의량과 쾌적온도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6명의 피험자 중 4명의 피험자가 선택하여 착용한 착의량은 황체기보다 여포기에 더 많았고 (p<0.05), 5명의 피험자가 선택한 쾌적온도 역시 황체기보다 여포기에 평균 1.4$^{\circ}C$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0.01). 이러한 결과는, 피부의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여포기보다 황체기에 심부체온을 높게 유지하기 위한 행동성 체온조절반응을 나타낸 것으로 보이나, 보다 명확한 결론을 내리기 위해서는 다양한 환경조건에서 다수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하는 후속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 야 할 것이다.

  • PDF

Biochemical studies on the metabolism of follicular maturation II. Protein composition and stenoid concentration in individually isolated medium-sized follicular fluid of pig ovary (여포성숙의 대사에 관한 생화학적인 연구 II. 돼지 난소내 중여포액에 존재하는 단백질의 조성 및 동일여포액내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농도)

  • 윤용달;이창주;도병록;김종흡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제33권1호
    • /
    • pp.63-69
    • /
    • 1990
  • To study the follicular atretic mechanism in mammalian ovary, the medium-sized (3.0-6.0mm) follicles of porcine ovary were morphologically classified as nonnal and atretic. Steroid concentrations in the follicular fluid were analyzed by radioimmunoassay, and the proteins in that fluid were electrophoretically separated. Concentrations of progesterone in the atretic follicular fluid of follicular phases were higher than those of normal ones (p < 0.05). Concentrations of testosterone were high in normal luteal and atretic follicular-phases follicles. The concentrations of estradiol remained significanily lower in atretic follicular-phases follicles than normal. After 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of follicular fluid proteins, four kinds of proteins (20K, 32K, 33K, 38K) were detected, and those proteins were not present in sera. According to the ovarian cycle, proteins of MW of 112K and 141K were identified. In atretic follicular fludies, MW of 23K and 24K were specifically detected. From the above results, we can conclude that, as ovarian cycle changes, steroid contents and protein composition in atretic follicular fluid are different from the normal developing follicular fluid. To further understand the physiologic roles of the proteins present in the atretic follicular fluids, these proteins need to be characterized and identified.

  • PDF

Steroidogenic Shift and Acquisition of Meiotic competence by Cultured Ovarian follicles of Rana at Breeding Season (번식기에 개구리 여포의 스테로이드 생성변화와 난자의 성숙능 획득)

  • 안련섭;이용탁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제37권2호
    • /
    • pp.174-181
    • /
    • 1994
  • 3 종의 한국산개구리를 사용하여 여포들이 생성하는 스테로이드와 난자의 성숙능이 번식기 근처에서 어떻게 변하는가를 조사하였다. 개구리의 여포를 생체외 배양하면서 이들이 뇌하수체추출물(frog pituitary homogenate, FPH) 혹은 CAMP의 자극으로 생성하는 progesterone(Pa)과 testosterone(T)의 양을 측정하여 이로부터 P4yT의 비율을 구하였으며 여포난자들이 FPH. P4 혹은 12-0-tetrsdecanoyl phorbol-13-acetate(TPA)에 반응하여 성숙을 일으키는 시기를 조사하였다. 북방산개구리의 여포난자는 11월 부터 호르몬에 반응하여 성숙을 일으켰으며 2월에 PJT의 비율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참개구리는 5월에 가서of PJT의 비율이 현저히 증가하고 FPH에 반응하여 성숙을 일으켰다. 그러나 P4에 의한 난자성숙은 3월부터 시작하였다 옴개구리는 7월에 P4/T 비율의 증가가 있었으며 이때부터 또한 TPA에 반응하여 난자의 성숙을 일으켰다 따라서 3종의 개구리에서 모두 각각의 번식기 근처에서 PJT의 비가 급격히 증가하고 또한 성숙능이 생긴다는 것을 알 수있었다.

  • PDF

Gonadotropin Bioactivity and Steroids in Ovarian Follicle Matured by Hyperstimulation (과배란유도에 의해 성숙된 여포의 GTH 활성 도 와 스테로이드합성)

  • Yoon, Yong-Dal;Chun, Eun-Hyun;Kim, Moon-Kyoo;Kwon, Hyuk-Bang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16권2호
    • /
    • pp.119-130
    • /
    • 1989
  • 본 연구는 생식주기중 폐쇄여포액내에서 생물학적, 면역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GTH 의 변화를 조사하고 steroid hormone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며 국부조절인자로서 의 GTH의 역 활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가임기간중 215개의 여포와 IVF과정에서 185개의 여포를 얻어 여포액내 GTH의 생물학적 또는 면역학적 활성을 측정하였다. Bioactive LH(bLH)는 생쥐의 Leydig cell-testosterone production assay, bFSH는 흰쥐의 Sertoli cell aromatase assay로 측정 하였 다. Immunological GTH(iLH , iFSH) 는 MaiaClone RIA , Delfia kits를 사용하였다. 여포액내 iLH, iFSH , ihCG 는 hyperstimulation에 의해 형성된 여포의 크기와는 무관하였다. 또 hMG, huFSH 의 처리와도 상관성이 없었다. T의 농도가 높은 여포액내의 iFSH는 현저히 낮았으며 E, P 가 고농도인 여포의 ihCG 양은 현저히 낮았다. 과배란이 유도된 난소의 여포액내 iLH는 LH specific RIA로 측정시 3mIU/ml 이하이었다. 생식주기중 여포액내 bLH, bFSH는 배란기에 현저히 증가 하였다. 혈청내 GTH B/I ratio는 엘정한 반면 여포액내 LH,FSH의 생물학적, 면역학적 활성은 미수정란을 가지거나 폐쇄된 여포내의 활성보다 현저하게 높았다. 위의 결과로 보아 여포액내 생식소자극호르온은 면역학적활성보다 높은 생물학적 활성을 가지며, 생리적 현상의 지표가 된다고 추론된다. 또한 steroid, bGTH는 여포의 선택, 폐쇄를 구분하는 지표로 사용가능하며, 여포가 폐쇄될때 여포액내 B/I ratio가 현저히 낮아지는 것으로 보아 GTH의 활성이 감소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HE HORMONAL LEVELS OF THE SHORT LUTEAL PHASE IN KOREAN W0MEN (III);CHANGE OF STEROID GLUCURONIDES (황체기 단축현상을 가진 한국여성의 호르몬 양(Ⅲ);뇨내 Steroid Glucuronides의 변동)

  • Yoon, Yong-Dal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12권1호
    • /
    • pp.31-40
    • /
    • 1985
  • 월경주기 중 황체기가 짧은 여성 즉 황체기 단축현상을 가진 한국여성(SLP) 의 특성을 조사하고 진단하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행하였다. 재료는 정상 월경주기를 가진 12명의 여성에서 26주기와 8명의 황체기 단축현상을 가진 여성에서 17주기를 선택하였다. 기상후 첫 오줌에서 steroid glucuronides의 농도를 측정하여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SLP 의 estrone -3 -glucuronide ($E_1G)의 농도는 초기 여포기와 황체기 동안 정상인에 비하여 현저히 낮았다. 또한 SLP 의 전 월경기 중 pregnanediol-$3{\alpha}$-glucuronide($P_2G$)의 농도 역시 유의성있게 낮았다. 그러나 $E_1G/P_2G$의 비율은 여포기가 황체기에 비하여 현저히 높았고, SLP 여성의 비율이 정상인 보다 각 월경주기 중 유의성있게 높았다. 위의 결과로 보아 $E_1G$, $P_2G$$E_1G/P_2G$의 농도차로 황체기 단축현상을 가진 여성을 진단 하고 또 치료시 난소의 기능조절에 이욜될 수 있을 것으로 사려된다.

  • PDF

Histological Studies on the Gametogensis and Reproductive Cycle of the Hard Clam , Meretrix Iusoria (백합, Meretrix Iusoria의 생식세포형성과정 및 생식주기에 관한 조직학적 연구)

  • Lee, Ju-Ha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 /
    • 제13권2호
    • /
    • pp.131-141
    • /
    • 1997
  • 전북 김제시 심포에서 1994년 1월부터 12월까지 월별로 채집된 백합 Meretrix lusoria의 생식세포형성과정 및 생식주기를 , 조직학적으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백합은 자웅이체이고 난생을 하며, 생식소는 내장낭의 간중장선의 하부로부터 족부의 근육부근까지 분포하며, 성숙되면 팽대되지만 방란, 방정 후에는 위축된다. 생식소는 많은 난자형성여포들과 정자형셩여포들로 구성되어 있다. 여포에는 호산성 세포와 미분화간충직들이 들어 있는데, 이들은 초기 생식세포의 영양물질로 제공되고 있으며, 생식소가 발달함에 따라 점차 소실된다. 초기활성기의 난원세포는 직경 10$\mu\textrm{m}$ 내외이며, 초기 난모세포는 난병을 여포벽에 부착한 채 성장을 하여 70$\mu\textrm{m}$ 내외의 완숙란으로 된다. 정원세포가 성장을 하여 정보세포, 정세포를 거쳐 변태를 마친 정자는, 정자형성소낭의 중앙 내강에 정자속을 형성한다. 방란, 방정을 마친 생식소는, 일부 미방출된 생식세포가 퇴화 흡수되면서 비활성기를 지나 이듬해 수온상승과 더불어 새로운 발달을 시작한다. 생식주기는 연속적인 5단계로 구분할 수 있는데, 초기 활성기(1-3월), 후기 활성디 (2-5월), 완숙기(4-8월), 부분 방출기(6-9월), 퇴화 및 비활성기(9-2월)로 구분할 수 있다. 산란은 6월 (22$^{\circ}C$)부터 9월 ($25^{\circ}C$)까지 지속되지만, 산란성기는 7월(27$^{\circ}C$)-8월(28$^{\circ}C$)이다. 생식소지수는 1월에 0.58을 나타내며 5월에 4.60으로 최대값을 나타낸 후, 6월부터 점차 감소하기 시작하여 12월과 1월에는 1.0미만에 머무른다.

  • PDF

A Study on the Ovarian Cycle of Asian Toad (Bufo gargarizans) (두꺼비 (Bufo gargarizans) 난소주기에 관한 연구)

  • Park, Se-Hwa;Ko, Sun-Ku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제33권4호
    • /
    • pp.419-424
    • /
    • 2015
  • In order to determine the ovarian cycle of Asian Toad, Bufo gargarizans, the developmental stage based on the gonadosomatic index (GSI), size of follicle oocytes in ovary and vitellogenesis for adult females were investigated all around the year. The weight of ovary and GSI were the lowest from April, and all follicle oocytes exist in the pre-vitellogenic form, indicating that the vitellogenesis was suspended. The follicle oocytes in early-vitellogenic stage appeared in ovary during may when the weight of ovary and GSI start to increased, and the follicle oocytes in mid-vitellogenic and pre-vitellogenic stages existed during June and the weight of ovary and GSI also increased. This indicates that vitellogenesis has been carried out actively during this period. The follicle oocytes in mid-vitellogenic stage and late-vitellogenic stage when the vitellogenesis was also completed existed on September. Post-vitellogenic follicle oocytes after vitellogenesis started to appear from October and rapidly increased from December in hibernation. The full grown follicle oocytes existed during February, indicating the ovarian cycle that all follicle oocytes in ovary are developed separately, not synchronized, during the growing period of follicle oocytes and the post-vitellogenic follicle oocytes are maintained the ovulation period.

The Hormonal Levels of the Short Luteal Phase in Korean Women(II);Change of Serum Prolactin (황체기단축현상을 가진 한국여성의 호르몬양(II);혈청 Prolactin의 변동)

  • Yoon, Yong-Dal;Lee, Joon-Yeong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11권2호
    • /
    • pp.5-15
    • /
    • 1984
  • 본 연구는 황체기 단축현상(Short luteal phase, SLP) 을 가진 한국여성의 월경주기내 Prolactin 호르몬의 농도변화를 정상월경주기 (Normal luteal phase, NLP)와 비교하고져 하였다. 한편, Circadian rhythm 내 PRL 농도의 변화를 비교하고 임신기간중 PRL의 농도변화를 방사면역측정법(RIA) 으로 조사하였다. SLP여성의 PRL 농도는 후기의 여포성숙기(Late follicular phase) 및 초기황체형성기(Early IuteaI phase) 정상에 비하여 현저히 낮았다. 정상 월경주기에서는 PRL/Progesterone(mU/1/mg/ml)의 비율이 후기 여포성숙기까지 증가한 후 LH Peak day 이후 감소하는데 반하여 SLP여성의 비율은 조기 여포성숙기부터 계속적인 감소현상을 보였다. 또한 취침전 (04:00시) PRL의 농도는 SLP여성에게는 현저히 낮았다. 임신주기중 PRL의 농도는 4개월째 1,077mU/l 에서부터 9개월째 4,462mU/l까지 점진적인 증가를 하였다. 위의 결과로 보아 황체기단축현상은 PRL의 분비이상이 하나의 주요요인이 될 수 있으며, 특히 PRL/Progesterone의 농도비율이 SLP의 판정에 한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Pain Threshold & Taste Threshold Variations across the Menstrual Cycle (월경주기에 따른 동통역치 및 미각역치의 변화)

  • Byun, Young-Hee;Koo, Sun-Ju;Choi, Jae-Kap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6권3호
    • /
    • pp.253-260
    • /
    • 2001
  • 이 연구의 목적은 월경주기에 따른 동통역치와 미각역치의 변화를 평가하고자 하는 것이다. 안면부에 동통성 질환이 없고 정상 월경 주기를 가진 건강한 20대 여성 11명이 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2회의 연속적인 월경주기 동안, 월경기(menstrual phase), 여포기(follicular phase), 황체기(luteal phase)의 세 시기에서 압력통각역치, 전기미각역치, NaCl 미각역치를 각각 측정하였다. 각 역치를 월경주기의 시기별로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압력통각역치와 전기미각역치는 월경주기의 시기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황체기에서 월경기에서와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역치를 나타내었다. NaCl 미각역치는 월경주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 PDF

Follicular Layer of Oocytes of Micropercops swinhonis (Pisces: Perciformes) (좀구굴치 Micropercops swinhonis의 난여포층)

  • Park, Jong-Young;Kim, Ik-Soo;Lee, Yong-Joo
    •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
    • 제13권4호
    • /
    • pp.254-260
    • /
    • 2001
  • In the goby Micropercops swinhonis, the follicular layer of full-grown oocytes consists of an outer layer (theca cell) and an inner layer (granulosa cell). As the oocyte grows, columnar cells of inner granulosa layer secrete mucin to their cytoplasm and then surround the oocyte. Such granulosa cells appear to be cuboidal cells in the early vitellogenesis, yolk vesicle stage, to be replaced by columnar cell secreting mucins (adhesive materials) in the middle vitellogenesis, yolk granule stage. The enveloping layer of the oocyte has a muco- follicle layer filled with mucins. The mucins are an amorphous and electron-dense substance. Interestingly, the oocyte enveloping layer becomes thickened towards the animal pole as vitelogenesis proceeds. A zona radiata of about $7.8{\sim}11.5\;{\mu}m$ thick is present below the muco-follicle layer. The zona radiata is composed of an one-layered electron-dense externa and a three to five-layered electron-less intern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