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여자 프로배구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2초

한국 프로배구 연맹의 경기 예측 및 영향요인 분석 (Matching prediction on Korean professional volleyball league)

  • 김희숙;이나경;이지윤;송종우
    • 응용통계연구
    • /
    • 제37권3호
    • /
    • pp.323-338
    • /
    • 2024
  • 본 연구는 한국 프로배구 리그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대표적인 머신러닝 분류 방법을 활용하여 경기 결과를 예측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2/2013 시즌부터 2022/2023 시즌까지의 남자 프로배구와 여자 프로배구 리그 경기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이 데이터는 경기 세부 내용을 상세하게 포함하고 있다. 데이터는 각 경기를 두 팀으로 분리한 경우와 홈팀을 기준으로 상대팀과의 성과 차이로 데이터를 가공한 경우로 두 가지 다른 데이터 구조를 모델에 적용했다. 이를 통해 남자 프로배구와 여자 프로배구 각각에 대해 총 4개의 예측 모형을 구축했다. 경기 종료 전에는 모형에서 사용하는 세부 변수 값들을 알 수 없기 때문에, 오늘 경기 직전까지의 3~4 경기의 결과를 전처리하여 이를 변수로 사용했다. 본 연구에서는 Decision Tree, Logistic Regression, Bagging, Random Forest, Xgboost, Adaboost, Light GBM 같은 다양한 머신러닝 기법을 분류에 활용하여, Random Forest를 사용한 모델이 가장 우수한 예측 성능을 보였다. 최종 선택한 모형에 대해 변수 중요도 그림과 부분 의존도 그림을 확인한 결과 성별과 데이터 구조에 따라 중요한 변수들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지만, 공통적으로 세트 성공 수, 블로킹 득점, 범실 개수가 가장 중요한 변수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승패 예측 모델은 사후적 예측이 아닌 경기 종료 전 사전 예측이 가능한 모형이라는 점에서 차별성을 가지며, 우리의 분석이 한국 프로배구 팀들에게 전략적 추론이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프로배구 선수의 사회연결망 구조와 자원교환 (Network Structure of Professional Volleyball Players and Resource Exchange)

  • 이세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438-447
    • /
    • 2012
  • 이 연구는 프로배구 선수의 사회연결망 구조를 분석하고, 연결망 주요 변수와 자원교환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유목적 표집법을 이용하여 2011년 한국 프로배구팀 중 남자 5개팀과 여자 5개 팀의 선수들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각 140명을 표집하였다. 그러나 최종 분석에 사용된 데이터는 127명이다. 조사방법은 NGQ(Name Generator Question)를 이용한 면접법을 통하여 실시하였으며, 자료처리방법은 NetMiner 3.0을 활용하여 사회연결망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배구 선수의 사회연결망은 멱함수 법칙을 따르는 척도없는 네트워크였다. 즉, 중앙에 놓여 있는 소수의 선수(노드)가 변방이나 주변에 위치한 다른 선수와의 사회적 관계를 끌어 들이는 부익부 빈익빈 형태를 보였다. 둘째, 프로배구 선수의 사회연결망 구조는 자원교환과 유의한 관련성을 지니고 있다. 즉, 내향 활동성이 높을수록 모든 자원교환에서, 외향 활동성이 높을수록 사교적 자원교환에서, 매개중앙성이 높을수록 모든 자원교환에서, 내향 파워가 높을수록 사교적 자원교환에서, 그리고 외향 파워가 높을수록 모든 자원교환에서 유리하였다. 프로배구 선수의 사회연결망에서의 중앙과 변방의 자리매김 위치는 선수들간의 자원교환에서 유리함을 알 수 있다.

국내 프로 여자 농구와 배구 유니폼의 디자인 분석과 개선방안 (Design analysis and improvement of Korean women's basketball and volleyball uniforms)

  • 김선영
    • 복식문화연구
    • /
    • 제23권3호
    • /
    • pp.425-438
    • /
    • 2015
  • This study aims to integrate sports uniform design into fashion as an effective communication means by analyzing the uniforms of women's pro basketball and volleyball teams in the country. As part of the research method,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on the domestic pro sports background and women's basketball and volleyball uniforms. For empirical research, an analysis was performed of the uniforms of 12 teams in total: six women's pro basketball teams and six women's pro volleyball teams in the 2013~2014 leagu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in terms of formativeness, sleeveless shirts and shorts are basic in both basketball and volleyball. However, there are remarkabl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hirts in volleyball are tighter, with the body figure visible, and shorts are shorter in length than those in basketball. Most basketball uniforms have a V-neckline and are collarless, while volleyball uniforms have a standup collar in all teams. Second, both basketball and volleyball apply the representative color of the sponsoring company and the team's typical color, but common colors, such as blue, navy, and white, are used in many teams, which fails to represent a uniquely differentiated image. Third, the logo or symbol of a sponsor is excessively applied to both basketball and volleyball uniforms. This downgrades the uniform's own esthetic features. Fourth, a fashionable uniform design, that reflects the bodily characteristics of wome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orts game would be a beneficial communication tool for all the tiers to become involved in participation and entertainment.

프로리그 여자 배구 선수들의 어깨 관절 회전 기능에 대한 연구 (Isokinetic Performance and Shoulder Mobility in Pro League Woman Volleyball Players)

  • 이병권;한동욱;강경희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5-55
    • /
    • 2007
  • We investigated the biomechanics and characteristics of shoulder rotator muscles for professional woman volleyball play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sokinetic peak torque and range of motion for shoulder joint rotation. We measured the strength and ROM of the internal rotation(IR) and external rotation(ER) of shoulders joint for nine professional woman Volleyball players and nine University students with Biodex and Simi-motion. 1. We measured peak torques for the shoulder joint rotator at angular velocities of 60/s and 180/s. It was found that the peak torqu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and also between the hands used. 2. At angular velocity of 60/s, IR/ER ratio of the shoulder join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groups and the hands in us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for 'Dominant side' at angular velocity of 180/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for 'Non-dominant side' and the controls group. 3. Regarding the ROM of rotation of the shoulder joint group, IR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and the hands in use. 4. IR/ER ratio of the shoulder joint for Dominant side was quite different between the grou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