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여울

Search Result 191,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Riffle-Pool Sequence in the Namdae Stream (남대천의 여울, 소 연쇄구조 특성에 관한 연구)

  • Hong, Il;Kang, Jun-Gu;Yeo, Hong-K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972-972
    • /
    • 2012
  • 일반적으로 자갈하천의 하상에는 여울, 소의 연쇄 구조(Riffle-pool sequences)가 발생한다. 여울은 수심이 얕아 유속이 빠른 부분이고 소는 수심이 깊어 유속이 느린 부분에 해당한다. 여울과 소의 연쇄구조는 모래하천에서는 보이지 않는데, 여울에서는 빠른 유속으로 인하여 하상의 조립화가 진행되며, 반대로 소에서는 하상이 세립토로 구성된다. 그리고 여울은 하도의 경사에 따라 발생하며, 유속의 빠름과 느림에 따라 크게 평여울과 급여울로 구분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대상하천인 양양 남대천은 국내에서는 보기 드물게 개발이 거의 되어있지 않으며 조사대상 구간인 어성전(법수치) 계곡을 포함한 양양 남대천 상류 약 0.4 km은 산지하천 구간으로 비교적 자연하천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자갈하천의 구간에서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여울, 소를 대상으로 하상경사, 하상재료, 수심, 유속 등 물리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이 구간에서의 나타난 여울 구간은 11개소로 구분할 수 있으며, 급여울이 시작되는 구간에서부터 여울과 소는 반복적인 형태로 나타났다. 하상경사는 평여울 구간에서 0.0011-0.0057, 급여울 구간에서 0.0143-0.0201로 나타났다. 하상재료는 $D_{50}$의 경우 평여울 구간에서 3.66-4.63 mm, 급여울 구간에서 3.61-4.63 mm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는 자연하천이 갖는 여울, 소 연쇄구조의 물리적 특성을 이해하고, 자연형 여울, 소를 조성하거나 복원 시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Scour at V-shaped Riffle (V형 여울에서 발생하는 세굴에 관한 실험 연구)

  • Yu, Dae-Young;Park, Jung-Hwan;Woo, Hyo-Seop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6 no.3 s.134
    • /
    • pp.507-520
    • /
    • 2003
  • A V-shaped riffle is an artificial hydraulic structure haying two wings from the streamside with a narrow opening in between. It is usually made of crushed stones or large boulders. It limits channel width and accelerates the flow through the constricted section causing a local scour just downstream. The V-shaped riffle provides with a unique aquatic habitat by forming a pool and sandbars around the pool edge, increasing local morphologic, hydraulic and sedimentological diversity. This study investigates experimentally the scour characteristics of the V-shaped riffle in the sandbed stream and proposes a predictive equation for the scour. Total 45 cases of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hydraulic factors and configuration of V-shaped riffle on the geometry of scour holes. From the comparison of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is study with the predictive equation of spur dike by Breusers and Raudkivi(1991), it is found that their predictive equation of spur dike underestimates the maximum scour depth downstream of the V-shaped riffle. h new predictive equation for the maximum scour depth was developed using the non-dimensional hydraulic and geometrical variables. The parameters used in the proposed equations were determined using the experimental data. The analysis reveals that the scour depth is dependent dominantly on the Froude number at the opening of the V-shaped riffle, while the angle of riffle and the opening width also affect the scour depth. The proposed equation for the scour of V-shaped riffle well agrees with the experimental data. It can be used for estimating the scour of the V-shaped riffle in sandbed streams.

Influences of River Crossing Structures on the Frequency of Riffles (하천횡단구조물이 여울 출현빈도에 미치는 영향)

  • Kim, Ki Heung;Park, Hyun Sub;Jung, Hea Rey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65-469
    • /
    • 2018
  • 여울과 소는 하천의 물리적 특성(경사, 하상재료, 지질의 형태)에 따라 자연적으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하도 지형이 다양하게 변화하고 생물의 서식처의 다양성이 확보됨으로써 하천의 생태환경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우리나라의 경우 하천주변의 충적평야에서 벼농사가 이루어지므로 아주 많은 농업용 취수보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하상경사가 급하므로 하상안정을 위하여 낙차공 등의 하상유지공도 상류에 많이 설치되어 있는 실정이다. 취수보 및 하상유지공 등의 하천횡단구조물은 하상의 종적 연속성을 단절시키고, 상류측에 대규모의 정체수역을 형성함으로써 하도의 자연적인 여울-소 지형특성을 훼손함과 더불어 흐름 다양성을 단순화시킨다. 이러한 하천횡단구조물의 부정적 영향은 수서동물의 이동통로를 차단할 뿐 아니라 수서동물의 서식처를 단순화함으로써 생태계에 부정적 영향을 미쳐서 생물종의 다양성을 훼손하는 심각한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횡단구조물이 여울-소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경상남도의 하천 중 유역면적이 $100km^2$ 이상인 하천 중에서 하천횡단구조물의 영향을 받는 하천의 구간과 하천횡단구조물의 영향을 받지 않는 하천의 구간을 분류하여 하천횡단구조물이 여울-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하천횡단구조물이 여울-소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하상경사에 따라 구분하였으며 그에 따라 하천횡단구조물이 여울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상류에는 배수위의 영향으로 정체수나 인위적인 평여울이 발생하며, 하류에는 낙차로 인하여 소나 여울이 발생하지만, 그 빈도는 하천횡단구조물의 설치 간격에 따라 자연상태에서 보다는 현저히 낮게 나타났다. 경남 지방에서 유역면적 $100km^2$ 이상인 30개 하천 중에서 16개의 하천에 설치된 하천차단시설물은 보 405개소와 낙차공 129개 총 534개를 조사하였으며, 하천차단시설물의 설치간격 및 높이가 여울-소의 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