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여성의 이미지

검색결과 402건 처리시간 0.026초

디자인 요소로서 한글 글꼴의 감성적 평가와 선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stimate Based on Human Sensibility Analysis and Preference about Hangul characters as Design Factor)

  • 장현정;윤형건
    • 감성과학
    • /
    • 제6권2호
    • /
    • pp.49-58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한글을 디자인 요소로 활용하기 위하여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하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연구의 세부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람들이 한글 글꼴을 분류할 때 어떤 기준으로 평가를 하는지 알아본다. 둘째, 사람들은 어떤 한글 글꼴을 선호하는지 알아보고, 선호하는 한글 글꼴의 조형적 특징을 파악한다. 첫 번째 목표를 밝히기 위해 요인 분석을 실시한 결과, 사람들은 한글을 평가할 때 크게 4가지의 기준으로 평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사람들은 한글 글꼴을 정교한, 깔끔한, 신뢰감 가는, 편안한, 차분한, 친근한, 운치 있는 이미지의 $\ulcorner$정갈한$\lrcorner$ 요인, 부드러운, 약한, 여성적인, 산뜻한 이미지의 $\ulcorner$유연한$\lrcorner$ 요인, 미래적인, 진보적인 이미지의 $\ulcorner$사이버$\lrcorner$ 요인, 소박한 이미지의 $\ulcorner$소박한$\lrcorner$ 요인의 순서로 평가하였다. 두 번째 목표를 밝히기 위해 선호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응답자가 선호하는 한글 글꼴은 예쁜, 친근한, 세련된, 부드러운, 정교한, 시원스러운, 깔끔한 이미지를 가지고 있었다. 선호 글꼴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친숙성이라고 할 수 있었다. 응답자들이 선호하는 한글 글꼴의 조형적 특징은, 네모꼴이고, 쉐리프가 없으며, 중간 정도의 굵기로, 중심선의 변화도 없고, 기울기 변화도 없으며, 모서리가 둥근 편이었다. 조형요소가 극단적으로 치우친 독특하고 강한 이미지의 글꼴은 선호되지 않았다.

  • PDF

인물 촬영을 위한 디지털 카메라의 적정 노출 설정 연구;피부톤 재현 선호도를 중심으로 (The study of Right Portrait Exposure Setting in Digital Cameras;Focusing on the Cognitive Preference in Representation of Skin Tones)

  • 노연숙;하동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8호
    • /
    • pp.111-118
    • /
    • 2008
  • 현대 사회는 TV, 잡지, 신문, 인터넷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이미지를 접할 수 있으며, 이렇게 접하는 이미지들은 의식적으로 또는 무의식적으로 사람들의 삶과 인식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과거의 이미지 생산 매체들은 장면을 물리적으로 동일하게 재현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었던 반면, 최근에는 인지적 선호도에 의한 재현이 중요하게 인정받고 있으며, 사진의 선호도는 TV, 잡지, 신문, 인터넷 등 주변에서 접하는 시각적 콘텐츠의 영향을 받는다. 최근 이미지를 생산하는 재현 매체로서 가장 중요하게 사용되고 있는 장비를 디지털 카메라이다. 디지털 카메라의 이미지를 형성하는 핵심은 ‘빛’인데, 빛의 양, 즉 노출의 조절을 통해 이미지를 형성하게 된다. 현재 디지털 카메라는 물리적으로 정확한 재현을 목표로 노출을 조절하도록 설정되어 있는데, 물리적으로 정확한 조절이 반드시 인지적으로 선호도가 높은 조절은 아니다. 따라서 물리적으로 정확한 노출 설정이 아니라 인지적으로 정확한 노출 설정을 찾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특히 인지적으로 색상과 농도 변화에 가장 예민한 피부톤을 기준으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성별에 따라 노출 선호도가 다를 수 있으므로 남성과 여성 모델을 각각 촬영하여 자극에 사용하였다.

성역할 정체성 및 성역할 불일치가 여성과 남성의 외모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비교 (Gender Differences in the Influence of Sex Roles o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elf Esteem)

  • 이윤정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36-446
    • /
    • 2006
  • 본 연구는 성역할 정체성 및 성역할 불일치가 남성과 여성의 외모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는데 목적이 있다. 일치이론, 양성성 이론, 남성성 이론, 자아불일치 이론 등이 성역할이 외모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의 예측을 위해 고찰되었다. 자료수집을 위해서는 서울과 수도권에 거주하는 20-40세의 남성 125명과 여성 197명이 편의표집 되었다. 공변량 구조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남성의 경우, 외모만족도와 자아존중감모두 지각된 남성성만이 영향을 미쳤다. 이에 비하여, 여성들의 경우, 외모만족도에는 지각된 여성성, 여성성 불일치, 남성성 불일치가 영향을 미쳤으며, 자아존중감에는 지각된 여성성, 지각된 남성성, 여성성 불일치, 남성성 불일치가 영향을 미쳤다. 신체질량지수는 여성 경우에만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의 곁과는 여성과 남성에 대한 사회적 기대의 차이를 반영하는 것으로, 신체이미지 카운슬러 등의 실무자들이 젊은 여성들의 자아존중감과 외모만족도를 고양하는 데 중요한 시사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광고유형 및 성별에 따른 광고효과와 정서반응 패턴: 스토리텔링, 이미지, 정보전달 광고를 중심으로 (Influence of advertising type and gender on advertising effectiveness: The efficacy of storytelling advertising)

  • 정은경;최지은;손영우
    • 감성과학
    • /
    • 제15권4호
    • /
    • pp.489-502
    • /
    • 2012
  • 스토리텔링 광고는 현실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에 비해 스토리텔링 광고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기존 몇몇 활자형태의 내러티브 광고에 대한 연구에서는 내러티브 광고가 정보전달 광고보다 효과적임을 밝히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제 상업용으로 제작된 광고들을 사용하여 스토리텔링 광고가 다른 광고 유형(정보전달 광고, 이미지 광고)보다 더 효과적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제품유형과 브랜드의 영향을 통제하기 위해 같은 제품에 대해 스토리텔링 광고, 정보전달 광고, 이미지 광고 모두가 제작되어 있는 광고를 탐색하였으며 최종 9개의 광고가 선정되었다. 종속변인으로는 광고효과, 광고후 감정, 각성정도, SAM이 측정되었다. 예비분석을 통해 광고후 감정은 크게 정서적 감정과 인지적 감정으로 나뉘어졌으며, 이를 대상으로 분석이 실시되었다. 분석 결과, 광고효과, 각성수준, 정서적 감정 모두에서 스토리텔링 광고와 정보전달 광고가 이미지 광고에 비해 높은 점수를 얻었다. 스토리텔링 광고는 정보전달 광고에 비해 평균은 높았으나 그 차이는 유의미한 수준에 이르지 못했다. 성별의 주효과는 각성수준에서 경향성만이 관찰되었으며 여성이 남성보다 높은 각성수준을 보였다. 광고유형과 성별의 상호작용은 정서적 감정을 제외한 모든 변인들에서 관찰되었으며, 전반적으로 스토리텔링 광고에서는 남성이, 이미지 광고에서는 여성이 더 긍정적으로 반응하였다. 본 연구결과의 함의점과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 PDF

성인 여성의 하반신 체형분석과 염상처리를 이용한 플레어 스커트의 외관분석 (Analysis of Lower Somatotype on Adult Women and Appearance Analysis of Flare Skirts by using the Image Processing)

  • 이수정;홍정민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권3호
    • /
    • pp.252-258
    • /
    • 1999
  • 미혼여성과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인체계측을 실시하여 직접 계측치와 지수치를 이용하여 주축요인분석을 한 결과 도출된 인자를 독립변수로 군집분석을 한 하반신 체형변인과 직물에 의한 플레어 스커트의 외관형상을 분석하기 위하여 영상처리를 이용하여 착용실험을 한 결괴는 다음과 같다. 1. 플레어 스커트의 헴라인 단면형상 분석 결과 체형변인에 의한 플레어 스커트의 드레이프 면적과 드레이프 계수는 드레이프의 면적이 크면 드레이프 계수도 큰 값을 나타내었다. 직물의 노드수는 드레이프성이 좋을수록 많이 형성되고 노드수가 많으면 노드지수 값은 작은 값을 가진다. 노드지수 값이 크면 노드의 고저가 균일하게 나타나고 작으면 노드의 고저가 불균일하게 나타난다. 또한 인체 측정치수의 허리둘레와 엉덩이둘레의 차이, 허리너비와 엉덩이너비의 차이 값이 큰 마름모형 체형변인에서 노드수는 많이 나타나고 노드지수 값은 작게 나타났다. 통형에 가까운 체형변인은 노드지수가 큰 값을 나타내므로 노드의 고저가 균일하게 나타났다. 직물의 노드수가 많으면 노드산 평균은 낮고, 노드지수 값이 큰 반면 노드수가 작으면 노드산펑균이 높으므로 노드산과 곡의 고저가 심하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직물의 드레이프성이 우수하다 할지라도 적정의 중량을 가지지 않으면 노드가 불균일하게 형성되어 의복 외관의 좋은 외관형상을 형성하지 못하는 결점이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2. 플레어 스커트의 헴라인 단면의 최대횡경은 인체측정값의 너비항목과 최대종경은 두께항목과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단면비의 값이 크면 최대횡경의 값이 크고 최대종경의 값이 작은 타원형에 가까운 단면형상이 나타나고, 단면비의 값이 작으면 최대횡경 값이 작고 최대총경 값이 큰 원형에 가까운 단변형상으로 나타났다. 3. 플레어 스커트의 외관형상 분석 결과 정면처짐분은 둘레항목, 너비항목 시아항목의 차이 값이 작을수록, 직물의 드레이프성이 좋을수록 크게 나타났다. 미혼여성과 기혼여성을 비교해 보면 기혼여성의 체형이 너비, 둘레항목사이의 치어 값이 적기 때문에 처짐분이 크게 나타났다. 측면처짐분은 인체측정값의 두께항목과 상관이 깊어 앞부분은 배두께가 클수록, 뒷부분은 엉덩이두께가 클수록 처짐분량이 크게 나타났다. 후면처짐분은 정면과 같이 S시료에서 드레이프성이 좋을수록 처짐분이 크고, 엉덩이너비는 크고, 엉덩이두께가 작올수록 처짐분이 크게 나타났다. 4. 플레어 스커트의 3차원 입체형상은 외관형상의 굴곡이 낮아 평평할 수록 이미지의 평균값은 높고 편차는 낮게 나타났다. 체형변인에 의한 플레어 스커트의 주름 형상을 정면, 측면, 후면에서 이미지 값 분포로 비교해 보면 정면, 후면보다 측면의 외관이 평활하여 이미지 분포폭이 좁게 나타나고 최빈값을 중심으로 회색에 가까운 쪽으로 치우쳐 있는 것을 불 수 있다. 5. 체형변인에 따른 플레어 스커트의 주름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영상처리법으로 얻은 결과를 3차원 업체형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6개의 영역을 측정한 결과 플레어 스커트는 체형유형에 따라 곡면을 형성하는 주름의 수와 주름강도가 다르게 나타나 위 아랫부분의 주름폭은 차이가 있었다. 위부분에서 아랫부분으로 내려올수록 주름높이 폭은 커졌다. 그러므로 주름의 높이와 플레어 스커트의 헴라인 단연형상의 노드각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주름의 높이가 높으면 노드 각도는 작은 값을 보이고, 주름의 높이가 낮으면 노드각도는 큰 값을 나타내었다.

  • PDF

중년여성의 의복이미지와 의복쇼핑성향의 관계 연구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Clothing Image and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of Middle Aged Women)

  • 류숙희;신수래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35-44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clothing image and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of middle aged women. For this purpose, the subjects of 300 adult women from in their 40’s to 50’s, living in Daegu area were sampled out by convenient sampling method. The result of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1)a factor analysis identified six different types of clothing image: classy, bold, plain, feminine, casual, and peculiar. 2)five different types of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were identified: conspicuous, conformable, hedonic, uniqueness conscious, and quality conscious. 3)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und that clothing images affected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of middle aged women. This meant that significant relationships existed among these variables and there was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lothing image and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IAnalysis of Michigan catalog of HD stars

  • Shin, Yongcheol;Yoo, Jihyun;Kim, Jeongeun;Kang, Wonseok;Lee, Sanggak
    • 천문학회보
    • /
    • 제43권1호
    • /
    • pp.64.2-64.2
    • /
    • 2018
  • 지금으로부터 100년 전, 하버드대학교 천문대에서 에드워드 찰스 피커링과 윌리어미나 플레밍, 애니 점프 캐넌 등의 여성 천문학자들이 분광관측 자료를 가지고 헨리 드레이퍼 목록(HD catalog)을 만들기 시작했다. 이는 항성분류의 근간을 마련하고 현대 천문학의 본격적인 시작을 알리는 일이었다. 현재 국립청소년우주센터는 이를 기념하여, 디지털 이미지로 보유중인 1975년에서 1999년에 걸쳐 발간된 "Michigan catalog of HD stars"의 사진건판을 활용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 본 센터를 방문하는 청소년이 100년 전 그들과 한 것과 같은 고전적 항성 분류과정을 체험하며, 별의 스펙트럼을 이해하고 우주를 이해하는데 필수적인 분광학에 대한 이해를 높이길 기대한다. 이를 위한 선행 작업인 대물프리즘 사진건판 이미지에서 별의 스펙트럼을 추출하는 과정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중년여성의 가치관과 의복이미지의 관계 연구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Sense of Values and Clothing Image of Middle aged Women)

  • 류숙희;신수래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111-121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sense of values and clothing image of middle aged women. For this purpose, the subjects of 300 adult women from in their 40's to 50's, living in Daegu area were sampled out by convenient sampling method. The result of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1)a factor analysis identified six different types of sense of value: materialistic, self-respect, relationship-conscious, sensation-conscious, practical, and people-conscious. 2)six different types of clothing image were identified: classy, bold, plain, feminine, casual, and peculiar. 3)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und that sense of values affected clothing image of middle aged women. This meant that significant relationships existed among these variables and there was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ense of values and clothing image.

브랜드 이미지 상승을 위한 쇼윈도우 디스플레이에 관한 연구 - 여성의류 매장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how Window Display for a Improving the Brand Image - Focusing on the Career Woman's Dress Shop -)

  • 오승희;한영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10-115
    • /
    • 2005
  • Show window display is a technique of arranging goods for sales promotion, namely, motivating and inducing customers to purchase products. It is not simply exhibiting articles but a technical expression of values retained in exhibited articles and an integrated visual art comprehending color, lighting effect, the customers' angle of vision, differentiation from neighboring stores, harmony with properties, assistive roles of relevant goods, and entire messages provided by these elements. Show window display plays the role of a medium that expresses brand images and attracts consumers. Through the medium, the company's brand image is recognized and the recognition determines the trend of brand sales. Brand images planted to consumers seldom change, and wrong recognition affects not only the brand image but also the company image.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suggest show window display employing brand images different from traditional show window display, to examine the effects of brand images on consumers' intention to purchase, and to propose display design.

  • PDF

전자출판에서 입.출력 장치의 Color 관리에 관한 연구

  • 조가람
    • 프린팅코리아
    • /
    • 통권45호
    • /
    • pp.158-163
    • /
    • 2006
  • 다양해지는 디지털 이미지의 응용과 입력 장치의 보편화로 인해 정확한 컬러 표현의 필요성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출력 장치인 모니터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이미지들은 입력 및 출력장치들의 장치 의존적 컬러 신호의 차이와 입력 신호값에 대한 출력 신호 값의 비선형적인 변환으로 인해 원고와 최종 출력물의컬러에 색상의 차이가 발생한다. 정확한 색재현을 위해서는 올바른 색변환이 이뤄져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필요한 CMS의 도입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나 현재 이에 대한 활용도는 매우 저조한 실정이다. 이에 본지에서는 얼마전 국내 최초 여성인쇄공학박사로 탄생된 조가람씨의 학위논문을 통해 입.출력 장치의 색변환 방법과 장치의 특성에 대해 살펴보는 자리를 마련했다. 다음은 조가람 씨가 박사학위 논문으로 제출한 '전자출판에서 입.출력 장치의 컬러 관리에 관한 연구'를 요약, 정리한 것으로 이번이 두번째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