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여성의 요실금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28초

요실금 여성의 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the Sexual Function of Women with Urinary Incontinence)

  • 김미옥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08-118
    • /
    • 2013
  • Purpose: Sexual function involves a complex interaction of emotions, body image, and intact physical respon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sexual functioning of women who are incontinent and to identify associated factors. Methods: For this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147 women with urinary incontinenc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Mean scores were 22.39 (sexual dysfunction ${\leq}26.55$) for sexual function, 13.38 (of 63) for depression, and 55.47 (range of score 17~85) for body image. Urinary symptoms and daily life symptoms averaged 36.04 (range of score 20~100) and 16.03 (range of score 8~40). Sexual function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body image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daily life symptoms. Sexual satisfaction, daily life symptoms, marital satisfaction, and frequency of sexual intercourse were factors affecting sexual function. Conclusion: Study results indicate that urinary incontinence has a negative impact on various aspects of sexual function. Nurses should be aware of the wider consideration that needs to be made in relation to general and sexual quality of life when caring for clients suffering from urological diseases.

노인여성의 수면의 질에 관련된 요인 (Factors related to the Quality of Sleep in the Elderly Women)

  • 김영희;한진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4467-4474
    • /
    • 2011
  • 본 연구는 노인여성의 수면의 질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된 연구로 지역사회 거주 60세 이상 노인여성 198명을 대상으로 연구가 시행되었다. 연구도구로 수면의 질 도구는 Buysse등(1989)이 개발한 PSQI(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요실금은 Jackson 등(1996)에 의해 개발된 배뇨증상 도구가 사용되었고, 개별면접을 통하여 자료 수집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18.0을 이용하여 통계처리를 하였다. 연구결과 노인여성의 수면의 질 PSQI 점수는 $7.09{\pm}4.29$점이었으며, 67.7%이 수면 장애를 겪고 있었다. PSQI의 하위영역에서 주관적인 수면의 질, 수면잠재기, 수면방해에서 수면의 질이 낮았고, 반면 습관적인 수면의 효율성, 수면제 등과 같은 약물 복용, 낮 동안의 기능장애는 상대적으로 경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여성의 교육정도, 경제상태, 주관적 건강상태, 가족관계, 규칙적인 운동 등에 따라 수면의 질에 차이가 있었고, 연령, 종교, 직업, 커피섭취 등은 수면의 질에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연구대상자의 수면의 질 척도 PSQI와 요실금은 순상관관계가 있었고(r=.51, p=.000), PSQI의 하위영역 중 수면방해 요인과 요실금의 상관성이 가장 높았다(r=.465, p=.001). 마지막으로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난 변수는 요실금과 주관적 건강상태이었고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31%이었다.

정신과 약물과 요실금의 연관성 (Association Between Psychiatric Medications and Urinary Incontinence)

  • 이재종;이승윤;고혜란;진수임;문영경;송가영
    • 정신신체의학
    • /
    • 제31권2호
    • /
    • pp.63-71
    • /
    • 2023
  • 요실금의 유병률은 전세계적으로 남성에서 3~11%, 여성에서 25~45%에 달할 정도로 매우 흔한 질환이며, 향후 고령화 진행에 따라 요실금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요실금은 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을 현저히 떨어뜨리고, 우울감, 스트레스, 자존감 저하를 유발한다. 기존에 정신과 질환을 앓고있는 환자에서 요실금이 새로 발생할 때 정신과적 증상 악화, 치료 순응도 저하, 치료 효과 반감 등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유의가 필요하다. 요실금은 대부분 방광 저장능력의 결함으로 일과성, 만성 요실금으로 구분된다. 일과성 요실금은 가역적인 요실금으로 delirium, infection, atrophic urethritis/vaginitis, psychological disorders, pharmaceuticals, excess urine output, restricted mobility, stool impaction (DIAPPERS)이 대표적인 원인이다. 만성 요실금은 복압성, 절박, 혼합, 일류성 또는 범람, 기능성, 그리고 지속성 요실금으로 구분된다. 약물 유발 요실금은 일과성 요실금의 한 종류로 임상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여러 가지 정신과 약제에 의해서도 유발될 수 있다. 항정신병 약제가 가장 대표적으로 알려졌으며, 비정형 항정신병 약제의 알파 아드레날린성 차단효과로 인한 요도 괄약근 근긴장도 저하, 항콜린성작용에 의한 요폐, 세로토닌 길항 효과로 인한 pudendal nerve 반사 저하, 심한 진정효과, 약물유발 당뇨, 경련 등 여러가지 메커니즘이 작용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리튬은 요실금과 관련된 증례가 보고된 사례는 미미하나 신성 요붕증으로 인한 일류성 요실금과 연관될 수 있고, 발프로산도 명확하지 않은 기전으로 야뇨증을 유발할 수 있다. 항우울제의 경우 SSRI는 세로토닌 경로와 배뇨근 활성에 영향을 줌으로써, SNRI와 TCA는 요저류를 유발함으로써 요실금을 일으킬 수 있다. 부프로피온과 멀타자핀도 드물지만 요실금 사례가 보고된 바 있다. 벤조디아제핀의 경우 방광의 근이완으로 요저류와 요실금을 모두 유발할 수 있으며 항치매제로 쓰이는 아세틸콜린 분해효소 억제제는 말초의 아세틸콜린을 증가시켜 요실금을 유발한다. 이렇듯 요실금은 여러 정신과 약제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으므로, 요로 증상을 면밀히 확인하여 약물 선택과 조절에 주의해야 하며, 요실금이 약물로 인한 것임이 밝혀졌을 경우 원인 약물의 중단, 감량 또는 분복 변경이 필요하며 약물치료로는 desmopressin, oxybutynin, trihexyphenidyl, amitriptyline을 추가해볼 수 있다.

여성의 요실금에 대한 지식 정도 (Urinary Incontinence Knowledge among Women In Korea)

  • 송효정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342-350
    • /
    • 2001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knowledge of urinary incontinence and its affecting factors among women aged over 30 years in Korea,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primary urinary incontinence management program through the community-based cross sectional study from May 7 to July 18, 2000. The subjects, who were able to understand the questionnaires and consented their participation in the study, consisted of 2183 women, aged over 30 up to 89 years, residing in Seoul, Kyongki$\cdot$Kangwon, Chungchong, YongNam, HoNam, Cheju provinces. It took about 20 to 30 minutes to fill up the questionnaires. The data were analyzed by multiple regression with using SAS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overall reported knowledge of urinary incontinence was $5.21\pm3.05$(range 0-14). Over the half of the subjects gave the correct answer to 5 items which referred to effects, treatment and management of urinary incontinence. Among items associated with the cause, two items, such as 'many common over-the-counter medications can cause involuntary urine loss', and 'involuntary urine loss is caused by only one or two conditions', were less likely to be correctly answered. 2. Those who were younger, had more education, or had urinary incontinence, were more likely to provide correct answers. The abov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education program and campaign of the urinary incontinence should be developed and operated for those who are elderly and have had less education.

  • PDF

Comparison of Commercial Functional Incontinence Panty

  • Cha, Su-Jo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12호
    • /
    • pp.201-212
    • /
    • 2021
  • 본 연구는 시판되고 있는 여성 요실금 팬티 제품의 패턴을 분석하여 흡수층과 전체적인 패턴의 형태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액티브 시니어를 위한 기능성 요실금 팬티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시판 12개 제품을 분해하여 치수, 패턴 등을 분석하고 3차원 시뮬레이션을 통해 외관, 의복압을 평가하였다. 요실금 팬티의 치수 및 패턴 비교 결과, 같은 호칭의 제품임에도 부위별 치수 차이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같은 브랜드 제품도 디자인 및 흡수량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냈다. 3차원 시뮬레이션에 대한 외관평가 결과, 앞면, 옆면, 뒷면 등 모든 항목에서 제품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은 것으로 나타났다. 9번 제품이 옆면의 허리 맞음새를 제외하고 가장 우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의복압에 대한 평가에서는 팬티 제품의 특성상 1번, 2번, 8번 제품을 제외하고 대부분 붉은색으로 표시되었다. 향후 실제 착의실험 및 요실금 팬티에 대한 사이즈 규격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빈곤층 노인여성의 노인증후군 관련요인 분석 (The Relationship Factors Geriatric Syndrome of the Elderly Women in Poverty)

  • 황혜정;이무식;김남송;나백주;배석환;노영수;홍지영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2부
    • /
    • pp.669-672
    • /
    • 2010
  • 본 연구는 방문건강관리사업 대상자 중 취약한 노인여성과 노인증후군 관련요인에 대한 인과관계 모형을 규명하여 취약한 노인 여성의 보건의료서비스 제공 시 효율적인 방안제시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자는 2008년 7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의 기간 동안 전국 보건소에 등록된 방문건강관리사업 대상자 중 동의된 65세 이상 노인여성 1,350명을 선정하여 훈련된 조사원이 직접면담을 통해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불충분한 29명을 제외한 1,321명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및 카이제곱 검정, t-검정, ANOVA, 사후검정은 Tukey를 이용하였으며, 유의한 변수들을 선정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허약과 관련 있는 노인증후군위험요인은 우울, 요실금, 낙상력, 일상적 수행활동(ADL)으로 나타났다(p<0.05). 둘째, 허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연령이 75세 이상의 고령일수록, 우울과 요실금의 증상이 있을 때, 최근 낙상경험이 있을 때 허약의 증가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셋째, 노인증후군의 위험요인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평생 동안 담배를 5갑 이상 피웠을 때, 당뇨병이 있을 때로 나타났다(p<0.05). 이상 결과를 볼 때, 취약 노인 대상으로 노인증후군, 허약의 향상을 위해서는 만성질환관리 프로그램 뿐 만 아니라 체계적인 근력강화 운동 및 정신건강관리 프로그램의 충분한 확대보급이 반드시 필요하다.

  • PDF

여성 복압성 요실금에서 질전벽슬링수술의 효과 (Anterior Vaginal Wall Sling for Female Stress Urinary Incontinence)

  • 신홍석;유진욱;정희창;박동춘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8권1호
    • /
    • pp.59-66
    • /
    • 2001
  • 본 연구에서 질전벽슬링술을 시행한 여성 복압성 요실금 환자 42명 중 술후 평균 29.4개월 후 추적 관찰시 92.9%의 성공률과 90.5%의 만족률을 보였으며, 수술에 따른 심각한 부작용은 없었다. 높은 치료성적, 비교적 간편한 술기, 해부학적 요실금과 내인성 요도괄약근 기능부전 모두에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질전벽슬링수술은 여성 복압성 요실금의 수술치료에 효과적이고 유용한 방법으로 생각된다.

  • PDF

골반저근육 운동 프로그램이 긴장성 요실금 여성의 요실금정도, 요실금량 및 최대 질수축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elvic Muscle Exercise Program on Women with Stress Urinary Incontinence in the Degree and Amount of Urinary Incontinence and Maximum Vaginal Contraction Pressure)

  • 김소영;박정숙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267-277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help the women with stress urinary incontinence lead more comfortable life, by letting them to do pelvic muscle exercise and to learn by direct experience the effect that urinary incontinence is controlled. The research design was a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subjects were 16 middle-aged women(over 38) with stress urinary incontinence.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August 1, to October 11, 1999. Women trained themselves for muscular strength and endurance, every the other day for each exercise for six weeks at home(that means each exercise for more than three days a week) in the pelvic muscle exercise program which was developed by Dougherty et al., and filled out exercise participation card every week. They visited laboratory once a week to get visual feedback, by means of Perineometer, of how the pelvic muscle exercise was going on. Stress Urinary Incontinence Scale that Lee, Young-Sook revised and supplemented Hendrickson's original scale was used for measuring the frequency and situation scores of urinary incontinence, "30 minute pad test" was carried out for measuring the amount of urinary incontinence, and Perineometer was used for measuring maximum vaginal contraction pressure.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and Wilcoxon signed ranks test were used for data analysis by means of SPSS/PC+ WIN 9.0 program.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The hypothesis 1 that after carrying out pelvic muscle exercise program on women with stress urinary incontinence, the weekly degree of urinary incontinence would reduce compared to before the exercise was supported. The hypothesis 1-1 that after carrying out pelvic muscle exercise program on women with stress urinary incontinence, the weekly frequency of urinary incontinence would reduce compared to before the exercise was supported (p=.003). The hypothesis 1-2 that after carrying out pelvic muscle exercise program on women with stress urinary incontinence, the situation scores of urinary incontinence would reduce compared to before the exercise was supported(p=.044). The hypothesis 2 that after carrying out pelvic muscle exercise program on women with stress urinary incontinence, the amount of urinary incontinence would reduce compared to before the exercise was supported(p=.001). The hypothesis 3 that after carrying out pelvic muscle exercise program on women with stress urinary incontinence, the maximum vaginal contraction pressure would increase compared to before the exercise was supported (p=.012). These results suggest that pelvic muscle exercise program has an effect on women with stress urinary incontinence in the degree and amount of urinary incontinence and maximum vaginal contraction pressure. So it is judged that training women with stress urinary incontinence for pelvic muscle exercise i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strategy in order to care urinary incontinence.

  • PDF

여성 요실금 환자의 요실금 중증도 및 삶의 질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Factors Affecting the Severity of Urinary Incontinence and the Quality of Life of Women with Urinary Incontinence)

  • 오현수;김미경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469-477
    • /
    • 2005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severity of urinary incontinence and the quality of life of women with urinary incontinence. Methods: An exploratory correlation research design was applied and the sixty women who responded that they currently experience involuntary urine leakage at least once per week were invit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Result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the factors that significantly contribute to the severity of urinary incontinence were age, number of parity, and number of normal deliveries. Other influencing factors, such as obesity, menopausal state, hysterectomy, and number of episiotomies, were not significant to predict the severity of urinary incontinence. Urinary incontinence frequency per week and duration of experiencing urinary incontinence were shown to be factors that significantly affect quality of life. Conclusion: In women above 60 years old, multiparity, and multiple experiences of vaginal delivery tended to present a higher level of severity of urinary incontinence. In addition, women with higher frequencies of urinary incontinence per week and a longer duration of urinary incontinence showed a lower level of quality of life.

산욕부에게 적용한 요실금 예방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an Incontinence Prevention Program on Postpartum Women)

  • 정남옥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77-185
    • /
    • 2009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examine the effects of an incontinence prevention program on postpartum women. Methods: The study design was a nonequivalent control pretest-posttest design. The subjects were 49 postpartum women with a normal vaginal delivery, 25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4 in the control group. Data was collected from lune 1. 2007 to April 30. 2008 at a postpartum women's care center located in Jeonju, Korea. For the experimental treatment, an incontinence prevention program was carried out for 24 weeks. Measures included maximum pressure of pelvic floor muscle contraction and duration of pelvic floor muscle contraction at pre-treatment, 5 weeks postpartum and 24 weeks postpartum. Data was analyzed by Repeated ANOVA using the SPSS/WIN 14.0 program. Results: The mean maximum pressure of pelvic floor muscle contraction (F = 8.95, p < .001) and mean duration of pelvic floor muscle contraction (F = 22.01, p < .001)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and significantly increased as time passed. Conclusion: Practice of an incontinence prevention program is considered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the results of fewer urinary incontinence symptoms in postpartum wome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