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여성수식 장신구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6초

조선시대 여성수식장신구 연구 및 문화콘텐츠화 방안 (A Study on the Women's Hair Jewelry of Chosun Dynasty and a Plan for its Cultural Contents)

  • 정아영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0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83-484
    • /
    • 2010
  • 장신구라 함은 신변 장식품으로서 태초 인간의 장식본능에 의해 시작되었다. 조선시대 여성수식장신구는 화려한 구성미와 풍부한 상징성을 지니고 있어 우리 문화원형의 콘텐츠화에 충분한 연구대상이다. 전통장신구는 공예미의 결정체로서 뛰어난 조형성과 기능성은 창의력과 상상력의 근원이다. 보존이 유한한 전통장신구를 디지털화하여 영구보존하고 뛰어난 조형요소의 원형을 개발하여 문화산업활용에 공급하고자 한다. 또한 전통장신구를 현대적 시각에서 재해석하여 교육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자는 여성수식장신구의 분류 및 기법, 소재, 상징적 의미, 등을 디지털 이미지로 개발하여 콘텐츠화 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영친왕비(英親王妃) 수식(首飾) 장신구(裝身具)의 디지털화를 통한 산업적 활용 연구 (The Research of Industrial Application through Digitalization of the Jewelry of Imperial Princess YEONG)

  • 정아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186-195
    • /
    • 2011
  • 예로부터 우리나라는 정교한 금속공예기술을 바탕으로 아름다운 여성 장신구를 제작, 착용해왔다. 이러한 장신구 중 특히 조선시대의 장신구는 실용성과 장식성 그리고 사회적 상징성 등을 동시에 지니고 있어 한국문화의 고유성을 표출할 수 있는 대표적 문화원형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그 가운데 본 논문의 연구대상인 된 영친왕비 장신구는 개화기 이후, 조선 말기의 유물이지만 궁중의식용으로 제작된 것이기 때문에 조선시대에 엄격히 지켜진 궁중복식 정례(定例)에 따라 전통적 형태나 기준에 맞추어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그 종류의 다양성과 원형에 가까운 보존상태, 국말 상의원 소속 장인들에 의해 만들어진 점 등에 있어서도 예술성 뿐 아니라 궁중 양식과 그 체제 등에 대한 연구에 있어 귀중한 자료가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선 말기 영친왕비가 사용한 장신구 가운데 조형적 가치가 있는 수식 11점을 선정하여 연구하고, 그 형태와 문양을 디지털 콘텐츠화하여 전통문화 원형을 보존하고 사회적 활용방안을 추구하고자 한다. 또한 전통여성장신구에 대한 고찰을 통해 문양 자료를 제시함으로써 문화산업과 현대장신구 디자인 에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조선시대 규방문화를 반영한 패션디자인 개발 - 여성수식 장신구를 중심으로 - (Development on the Fashion Design Reflecting Gyubang Culture of Chosun Era - Focusing on the Personal Ornaments of Woman's Gache -)

  • 홍은정;간호섭
    • 패션비즈니스
    • /
    • 제13권1호
    • /
    • pp.67-81
    • /
    • 2009
  • The culture of each era make their own art, and it is certain a sense of beauty is changed according to a flow of era. We can find an unique beauty in the traditional culture of one era. And it is formed by the local and climatically influences according to their own ethnic character. Furthermore, an unique beauty is became an important element in forming the culture. That is, it is the universality in general. What is important is to develop of one's tradition on the background of the past for the future.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personal ornaments of women's Gache among the Cyubang culture in Chosun era. Throughout the study of clothing design that applies various decorative elements like an ornamental hairpin, a chignon ornament, and ttoljam among the women's Gache, this study is proposed to internationalize of clothing design utilizing the Korean specific character. The concep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grasp a definition and notion about Gyubang Culture of Chosun Era. Second, consider the definition of ornamental culture and the specific characters and kinds of women's ornaments. Third, analyze the trend and examples in the modern fashion applying women's ornaments. The method of this study included national science and literature, fashion magazines, newspapers, internet, and the research of like materials, with the intent to set a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ornamental design. Throughout these backgrounds, I try to develop and make six modern clothing design that applies women's Gache.

조선시대 여성 머리장신구 디자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air accessory design for women in Josun)

  • 신미영;박승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0호
    • /
    • pp.525-530
    • /
    • 2014
  • 현대사회는 디자인이 세계를 지배한다고 할 만큼 모든 면에서 새롭고 개성 있는 디자인이 요구되는 시대이다.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것은 그 나라의 민족성이나 전통적 문화의 정체성이 자리하고, 현대 사회가 점차 세계화, 정보화가 되어감에 따라 한국 고유의 전통미를 재해석함과 동시에 계승, 발전시키는 것이 더욱 중요시 되어가고 있다. 조선시대의 여성들이 주로 사용한 장신구에는 수식장신구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여인들의 머리모양과 머리장식이 신분이나 사회적 지위에 따라 발달하였다. 하지만 사회의 규범으로 인해 화려한 장식을 절제하고 정교함과 순박한 장신구들이 다수로 그들의 미적 욕구를 표현하였음을 알 수 있다. 문화적 정체성이 중요시되는 현 시대에 부합되는 한국적 이미지의 창출로 현대인의 기호와 접목 될 수 있는 신개념 장신구가 독특한 민족성을 지닌 우리의 문화유산으로, 우리 민족의 고유한 정체성 그리고 전통문화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함께, 한국의 미를 알리는 단초가 되었으면 한다.

조선후기 여성의 가체와 수식(首飾)장신구를 응용한 복식디자인 (Fashion Design Based on The Formativeness of Woman's Gache And Hair Ornament in The Latter Period of Chosun Dynasty)

  • 송연진;이연희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73-83
    • /
    • 2006
  • This study aims to focus on clothing design's practical uses of the superior esthetic elements that can be found among the East's representations, in particular the characteristic Korean elements found in the latter part of the Chosun Era's women's Gauche and decorative personal ornamentation's moulded features. This has been the foundation for the creation of all eight pieces, and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First of all, the Chosun Dynasty women's Gauche and ornamentation are in close relation to the general flow of society at the time. Gauche and personal ornamentation was not just a matter of beauty consciousness, but is permeated with then-mainstream society's culture, the results of an attempt to display a Korean appearance. Secondly, the desirability of the Chosun women's hair was expressed through Gauche, and through the exceptional brilliance of a diversity of embroidered color tones, braided as though creating Dare. Using this technique in clothing, a new image was created. Thirdly, the outstanding beauty of personal ornamentation's mouldings was used while creating new clothing compositions. The beauty felt through the Chosun women's personal ornamentation can also be felt through today's clothing. More than merely practical, this beauty also brings one closer to Korea and Korean past.

  • PDF

조선시대의 전통장신구를 보는 열린 눈 - 노리개와 여성 수식품을 중심으로 - (Looking at the Traditional Accessories of the Joseon Dynasty with Wide Opened Eyes - focusing on Norigae and Hair Ornaments for Ladies -)

  • 장숙환
    • 복식
    • /
    • 제58권5호
    • /
    • pp.51-70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not to look at the history of traditional accessories or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shapes but to discern imitations £Tom authentic items by exploring imitations of traditional accessories-- many of which were made in the late 20th century -- from private museums and university museums in order to help scholars assess relics. Among many kinds of accessories in the Joseon dynasty, only norigae, one of the representative accessories, and women hair ornaments are selected for this study since many of the relics have been recovered to date. Given this, this study will consider firstly the general history of norigae and women's hair ornaments, and secondly, prove several examples as relics from the late 20th century while they are marked as relics from the Joseon dynasty by comparing authentic items. Thirdly, among the imitations of the late 20th century, this study will find those so-called "original" imitations whose production origins are unidentified Fourthly, this study will explore the imitations, which were influenced by the influx of items and materials from China. It is important to discern low-quality relics as well as to correct the production time. Some producers exercised their creativity and made relics non-native to Korea. These relics shouldn't be presented at international exhibitions. Restored relics should be noted so and their quality should be equal to the authentic items. It is suggested that relics without the identity and quality of native Korean relics not baffle cultural interchanges and enhance national gl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