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엔터테인먼트 구성 요소

Search Result 68,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 Study on the Structural Model and Relation of will to Happy Life (행복한 삶을 위한 의지의 구조모델과 관계성 연구)

  • Jeong, Cheol-Yeong
    • Journal of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 /
    • v.13 no.3
    • /
    • pp.213-220
    • /
    • 2019
  • Desire for a happy life becomes the will that man instinctively desires. In that the conditions of happiness are subjective and varied, the will of subjective desires has been studied with the attention of objective tendencies. The positive and meaningful will of life in the desire for happiness leads us to be the functionaries who act. These wills can be the driving force of a happy life, which allows one to have a hopeful reflective will in one's inner life, connecting oneself with others, and working in relationships with others. In addition, those who become lazy or lose their orientation in life can instill a will to be the main character of life, and furthermore, to give the ultimate meaning and goals of life.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se wills for happy lives more specifically, structural model compatibility and confirmatory factors were conducted. relatively reliable α=.855 value, the coefficient of correlation between recognition and will **p<.01, *p<.05 statistically significant measuring tool of not less than 05 was used. The study results of the structural model suitability of the factors of will and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he model set by the researcher could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ta collected, and that the χ2(Chi-square) value was .126, which was consistent with the model by satisfying the acceptance criteria, and that the comparison of the reference values of the study model showed a relatively high level of suitability.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and defined and behavioral factors of subjective will and existent will variables, the results of a verification factor analysis show that the χ2(Chi-square) value is 2.36 and the model and data are consistent with the acceptance criteria, and that the test data is consistent with the model and data set by the researcher are consistent with the model5.0 Through structural model analysis of human will, it was confirmed that the variables of subjective and existential, sensible and reflective will directly and indirectly influence and form a complex relationship. Our will is recognized as the subjective will, and the structure of the subjective will consists of the sensible and reflective will,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gnitive and just action elements and the subjective will of the human life and the will to exist is shown to be very meaningful, so we should conduct the education of the happy will of the emotional and just areas of life as well as the reestablishment of the cognitive educational direction that can lead to action.

The Effect of YouTube Creator's Characteristics on Content Involvement, user Attitude, and user Attitude on Subscription Intentions - Focusing on the Mediated Effect of Content Involvement - (유튜브 크리에이터의 특성이 콘텐츠관여도와 사용자태도에 그리고 사용자태도가 구독의도에 미치는 영향 - 콘텐츠관여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 Eun, Chang-Ik
    • Journal of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 /
    • v.15 no.4
    • /
    • pp.55-72
    • /
    • 2021
  • This study aims to research the influences of the discrimination of internet media and one-person media environment, especially, the one-person media creators leading the mobile media that could be accessed and viewed anywhere, on the user attitude and continuous subscription intention. Especially,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of one-person media market represented as YouTube, to explore the relationship and ecology between each subject and elements composing the media market, and also to understand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characteristics of YouTube creators on the relation between contents involvement and user attitude, and the relation between user attitude and subscription intention,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contents involvement on the relation between characteristics of creators and user attitude. As research methods, first, for the theoretical establishment, this study collected, conducted, and organized the published domestic/foreign theses/journal papers. For the objective validity and verification of the established research model,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adult men and women currently watching YouTube, and then the empirical analysis was performed through the final effective samples.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layfulness and reliability on the relation between characteristics of creators and contents involvement were not significant while the professionalism was significant. Second, the professionalism on the relation between characteristics of creators and user attitude was not significant while the playfulness and reliability were significant. Third, the relation between contents involvement and user attitude was significant. Fourth, the relation between user attitude and subscription intention was also significant. Also, in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s of contents involvement, the contents involvement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characteristics(playfulness, reliability, and professionalism) of creators and user attitude. And in the conclusion, this study presented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es in the future.

VRML Model Retrieval System Based on XML (XML 기반 VRML 모델 검색 시스템)

  • Im, Min-San;Gwun, O-Bong;Song, Ju-W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a
    • /
    • pp.709-711
    • /
    • 2005
  • 컴퓨터 그래픽스 분야의 발전으로 3D 모델의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다. 기존의 텍스트나 2D 이미지만을 검색하는 시스템으로는 정확한 3D 모델의 검색이 힘들다. 따라서 3D 모델 검색 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많은 분야에서 그 정확도와 속도향상을 위한 3D 모델 검색 연산자(Descriptor)와 검색 알고리즘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본 논문에서는 VRML 모델을 XML 데이터로 변환하여 3D 모델 검색에 사용하는 것이 주요 목표이다. 검색 방법은 크게 VRML의 노드 분류화를 통한 기본 도형에 대한 검색과 XML로 변환하면서 생성하는 무게중심(Mass-Center)을 이용한 검색 두 가지이다. 즉, 3D 모델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써 VRML 노드를 통한 분류화와 라벨화된 3D 모델 데이터베이스 지원 등의 장점을 활용한다. 3D 모델을 Key값(Descriptor)을 생성하여 분류화된 XML 데이터로 저장하고, 처리하여 유사도 비교의 대상과 횟수가 많아질수록, 3D 모델을 바로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에 사용할 수 있어 검색의 속도와 성능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 보다 복잡한 3D 모델의 유사도 비교에 있어서는 Princeton Shape Benchmark(PSB)[1]에서 정확도가 가장 높게 평가된 방법인 LFD(Light Field Descriptor)[6] 검색 연산자를 사용한다. 이 방법은 3D 모델에서 2D 이미지를 얻어 검색하는 방법으로 많은 2D 이미지 관측점(View-Point)과 관측된 2D 이미지의 적합도를 비교하는 계산량이 많은 단점이 있다. 그래서 3D 모델 검색을 위한 2D 이미지 관측에 있어 x, y, z축 방향의 관측점을 얻는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2D 이미지의 관측점을 줄여 계산량을 대폭 감소시키는 장점을 갖는다.것으로 조사되었으며 40대 이상의 연령층은 점심비용으로 더 많은 지출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끼니별 한식에 대한 선호도는 아침식사의 경우가 가장 높았으며, 이는 40대와 50대에서 높게 나타났다. 점심 식사로 가장 선호되는 음식은 중식, 일식이었으며 저녁 식사에서 가장 선호되는 메뉴는 전 연령층에서 일식, 분식류 이었으며, 한식에 대한 선택 정도는 전 연령층에서 매우 낮게 나타났다. 5) 각 연령층에서 선호하는 한식에 대한 조사에서는 된장찌개가 전 연령층에서 가장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었고, 김치는 40대 이상의 선호도가 30대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흥미롭게도 30세 이하의 선호도는 30대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 외에도 떡과 죽에 대한 선호도는 전 연령층에서 낮게 조사되었다. 장아찌류의 선호도는 전 연령대에서 낮았으며 특히 30세 이하에서 매우 낮게 조사되었다. 한식의 맛에 대한 만족도 조사에서는 연령이 올라갈수록 한식의 맛에 대한 만족도는 낮아지고 있었으나, 한식의 맛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양과 가격에 대한 만족도는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전반적으로 한식에 대한 선호도는 식사 때와 식사 목적에 따라 연령대 별로 다르게 나타나고 있으나, 선호도는 성별이나 세대에 관계없이 폭 넓은 선호도를 반영하고 있으며, 이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 등에서도 나타난바 같다. 주 5일 근무제의 확산과 초 중 고생들의 토요일 휴무와 더불어 여행과 엔터테인먼트산업은 더욱 더 발전을 거듭하고 있으며, 외식은 여행과 여가 활동의 필수적인 요소로써 그 역할을 일조하고 있다. 이와 같은 여가시간의 증가는 독신자들에게는 좀더 많은 여유시간을 가족을 이루고 있는 가족구성원들에게는 가족과의 유대를 강화하는 휴식과 오락의 소비 트렌드를 창출시켰다. 이와 더불어 외식은 식사를 해결하기 위한

  • PDF

Embedded System Reliability Measurement Use Markov Chain Model (마르코프 체인 모델을 이용한 임베디드 시스템 신뢰도 측정)

  • Kawk Dong-Gyu;Cho Yong-Yoon;Park Ho-Byung;Yoo Chea-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b
    • /
    • pp.433-435
    • /
    • 2005
  • 임베디드 시스템은 다수의 디바이스를 컨트롤하여 시스템의 목적을 수행한다. 최근 임베디드 시스템의 요구사항이 증가함에 따라 하나의 임베디드 소프트웨어가 컨트롤하는 디바이스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수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다수의 디바이스를 가지고 있는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시스템의 신뢰도는 각 디바이스의 신뢰도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본 논문은 임베디드 시스템의 신뢰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통계적 신뢰도 측정 방법 중 한 가지인 마르코프 체인을 이용한 방법을 제안한다. 마르코프 체인은 여러 분야에서 복잡한 시스템을 단순화하여 모델링하고 과거의 변화를 토대로 미래를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전체 시스템의 확률을 행렬로 계측할 수 있는 방법을 가지고 있어 특정 부분의 확률이 전체 시스템의 확률에 미치는 영향을 산술적으로 계산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마르코프 체인은 테스트 대상 소스를 분석하여 디바이스를 컨트롤하는 루틴과 에러를 핸들링하는 루틴, 일반적인 루틴으로 나누어 각각을 상태로 정의한다. 정의한 각 상태간의 전이는 통계적으로 측정한 디바이스 신뢰도를 확률로 표현한다. 마르코프 체인을 이용하여 임베디드 시스템의 신뢰도를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은 소스 분석기와 신뢰도 측정기로 나누어 설계한다. 소스 분석기는 테스트 대상이 되는 소스와 디바이스 드라이버 라이블러리 테이블을 입력으로 하고 소프트웨어의 마르코프 체인을 출력으로 한다 마르코프 체인은 행렬로 표현하고 연산하여 시스템의 신뢰도를 측정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의 신뢰도 측정 방법은 부분이 가지고 있는 신뢰도가 전체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을 산술적으로 측정할 수 있어 시스템이 요구하는 신뢰도에 접근할 수 있는 방법과 근거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소시키는 장점을 갖는다.것으로 조사되었으며 40대 이상의 연령층은 점심비용으로 더 많은 지출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끼니별 한식에 대한 선호도는 아침식사의 경우가 가장 높았으며, 이는 40대와 50대에서 높게 나타났다. 점심 식사로 가장 선호되는 음식은 중식, 일식이었으며 저녁 식사에서 가장 선호되는 메뉴는 전 연령층에서 일식, 분식류 이었으며, 한식에 대한 선택 정도는 전 연령층에서 매우 낮게 나타났다. 5) 각 연령층에서 선호하는 한식에 대한 조사에서는 된장찌개가 전 연령층에서 가장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었고, 김치는 40대 이상의 선호도가 30대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흥미롭게도 30세 이하의 선호도는 30대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 외에도 떡과 죽에 대한 선호도는 전 연령층에서 낮게 조사되었다. 장아찌류의 선호도는 전 연령대에서 낮았으며 특히 30세 이하에서 매우 낮게 조사되었다. 한식의 맛에 대한 만족도 조사에서는 연령이 올라갈수록 한식의 맛에 대한 만족도는 낮아지고 있었으나, 한식의 맛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양과 가격에 대한 만족도는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전반적으로 한식에 대한 선호도는 식사 때와 식사 목적에 따라 연령대 별로 다르게 나타나고 있으나, 선호도는 성별이나 세대에 관계없이 폭 넓은 선호도를 반영하고 있으며, 이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 등에서도 나타난바 같다. 주 5일 근무제의 확산과 초 중 고생들의 토요일 휴무와 더불어 여행과 엔터테인먼트산업은 더욱 더 발전을 거듭하고 있으며, 외식은 여행과 여가 활동의 필수적인 요소로써 그 역할을 일조하고 있다. 이와 같은 여가시간의 증가는 독신자들에게는 좀더 많은 여유시간을 가족을 이루고 있는 가족구성원들에게는 가족과의 유대를 강화하는 휴식과 오락의 소비 트렌드를 창출시켰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Real-Time Load Balancing Using TMO Replica Of LTMOS In Distributed Environment (분산 환경에서 LTMOS의 TMO 리플리카를 이용한 실시간 로드 밸런싱의 설계 및 구현)

  • Joo Koonho;Lim Bosub;Heu Shin;Kim Jungg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a
    • /
    • pp.829-831
    • /
    • 2005
  • 실시간 시스템이란 시간적인 제한을 가지고 작업 수행 결과의 정확도가 보장되는 시스템으로 경성 실시간 시스템과 연성 실시간 시스템으로 분류된다. 최근 분산 실시간 분야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써 폭넓게 활용되기 시작한 실시간 객체 모델인 TMO는 Kane Kim과 Kopetz에 의해 처음 제안되었다. TMO 모델은 경성 또는 연성 실시간 응용과 병렬 컴퓨팅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 될 수 있으며, 시스템의 기능적인 면과 시간 조건 수행 모두를 명확히 정의할 수 있다. TMO의 네트워크로 구성되는 실시간 분산 환경에서의 실행을 위해 몇 개의 TMO 실행 엔진이 개발 되었는데, 그 중에서 LTMOS라는 리눅스 기반의 연성 실시간 미들웨어 엔진이 한국외대 RTDCS lab.에서 개발되었다. 하지만 LTMOS의 실시간 시스템 수행 중 작업량의 과부하로 인한 deadline 위반이나, 시스템간의 분산 IPC 통신에 있어서 Channel Traffic이 빈번한 경우 실시간 시스템을 유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들을 갖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조금 더 효율적인 실시간 시스템을 유지하기 위해서, TMO 프로그램의 resource 정보를 담고 있는 ODS(Object Data Store)만을 다른 노드에 있는 자신의 TMO 프로그램 Replica로 이주해서 실시간 로드 밸런싱을 구현하는 기법을 사용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TMO 프로그램들의 deadline 위반 및 Channel Traffic 부하를 감지할 수 있는 Node Monitor와 최적의 노드를 선별할 수 있는 Migration Manager를 새롭게 추가하였고, 쓰레드들의 스케줄러인 WRMT에 이주 작업을 하기 위한 부가적인 기능을 구현하였다. 2D 이미지의 관측점을 줄여 계산량을 대폭 감소시키는 장점을 갖는다.것으로 조사되었으며 40대 이상의 연령층은 점심비용으로 더 많은 지출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끼니별 한식에 대한 선호도는 아침식사의 경우가 가장 높았으며, 이는 40대와 50대에서 높게 나타났다. 점심 식사로 가장 선호되는 음식은 중식, 일식이었으며 저녁 식사에서 가장 선호되는 메뉴는 전 연령층에서 일식, 분식류 이었으며, 한식에 대한 선택 정도는 전 연령층에서 매우 낮게 나타났다. 5) 각 연령층에서 선호하는 한식에 대한 조사에서는 된장찌개가 전 연령층에서 가장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었고, 김치는 40대 이상의 선호도가 30대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흥미롭게도 30세 이하의 선호도는 30대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 외에도 떡과 죽에 대한 선호도는 전 연령층에서 낮게 조사되었다. 장아찌류의 선호도는 전 연령대에서 낮았으며 특히 30세 이하에서 매우 낮게 조사되었다. 한식의 맛에 대한 만족도 조사에서는 연령이 올라갈수록 한식의 맛에 대한 만족도는 낮아지고 있었으나, 한식의 맛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양과 가격에 대한 만족도는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전반적으로 한식에 대한 선호도는 식사 때와 식사 목적에 따라 연령대 별로 다르게 나타나고 있으나, 선호도는 성별이나 세대에 관계없이 폭 넓은 선호도를 반영하고 있으며, 이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 등에서도 나타난바 같다. 주 5일 근무제의 확산과 초 중 고생들의 토요일 휴무와 더불어 여행과 엔터테인먼트산업은 더욱 더 발전을 거듭하고 있으며, 외식은 여행과 여가 활동의 필수적인 요소로써 그 역할을 일조하고 있다. 이와 같은 여가시간의 증가는 독신자들에게는 좀더 많은 여유시간을 가족을

  • PDF

A Study on Vocal EQ'ing Method (Vocal EQ'ing 방법에 관한 연구)

  • Kim, Minju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9 no.12
    • /
    • pp.569-573
    • /
    • 2018
  • Music is composed of the sound of many instruments. Among them, the sound of the human voice naturally stands out to us and immediately connects with the listener. However, A lot of different steps go into perfectly mixing a vocal, but I'm going to focus on the most important step, equalization. In this paper, starting with the concept and the type of EQ for the requirements associated with the EQ's work and will know about when and how to use subtractive EQ, additive EQ during the recording and mixing process. EQ is one if the most important tools for mixing, especially when dealing with vocals. The control that EQ's offer allows you work, boosting and cutting to fit the vocal perfectly into the mix. The key to get a professional sounding vocal every time is to always keep in mind what you're trying to achieve stylistically and for it, using reference track is very effective. In addition to EQing, there are a variety of complex working steps such as compression, reverb, chorus, delay, adjusted for the effects of the work and harmonies of backing vocals and that are also very important task. The work of EQing is the beginning of the mixing process, among other things, need to be a detailed work throughout the consideration of the above points to its importance is greater relationship.

A Study on Promotion and Improvement of YouTube Music Contents Through the User Evaluation of Card Live ('명함라이브' 사용자 평가를 통한 유튜브 음악 콘텐츠 홍보 및 개선방안 연구)

  • You, Jae-Sun
    • Journal of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 /
    • v.14 no.4
    • /
    • pp.105-120
    • /
    • 2020
  • This study explores the process of the actual content production and distribution, by creating a YouTube channel to promote the popular music contents produced by the researcher, which thus reflects the reality where the production of video contents rapidly increases. A YouTube channel titled "Alida Music", of which the focus was to promote indie musicians, was created on February 2019. The contents of 10 indie musicians were produced in one-take live format. The information of the indie musicians was displayed in the form of a screen business card, with their e-mail address and SNS account at the top. Therefore, this promotional design was named "Card Live". Promotional video contents marked with the QR code in the lower right on the screen were produced, along with the promotional phrase "Communicate directly with the artist through the QR code", which allows viewers to watch other contents of the indie musician when they scan the QR code. This research conducted a study on how to improve and promote "Card Live" contents of "Alida Music", which were produced through this process. A group interview targeting five indie musicians, among whom one participant deemed significant was selected to conduct a one-to-one in-depth interview.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ollowing three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YouTube was found to be the medium with the greatest influence and highest efficiency at the lowest cost. Second, the evaluation of the participants on "Card Live" were divided into the three categories: need for one-take live, the design elements of "Card Live", and scanning issues of the QR code. Third, there is a need for promotional methods that can effectively utilize the media aspects of YouTube: the channel management issues such as raising public awareness as well as the number of subscribers of "Alida Music" should be resolved and measures to effectively use various media including other SNS should be developed. In terms of its content, it is imperative to recruit diverse performers to make various contents, as well as to come up with ways to link "Card Live" contents with offline. Based on these results, "Card Live" contents should be further revised and complemented in order to provide interesting contents to consumers, which will further develop "Alida Music" as a platform where various musicians and companies meet, thereby inducing contracts with popular music agencies and generating advertising revenues. However, since this study was carried out only with the limited number of participants, future studies should include more participants to bring forth a variety of promotional plans and improvement measures. Also, in the era of consuming contents through smart devices, the fact that some features of "Card Live" were available only on PC, did not fully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times. In the future research, various contents that smartphone users can access and view freely without PC should be produced.

The Study of Dinning-out Behavior and Preference on Korean Foods by Age Groups (외식소비자의 연령별 외식행동과 한식에 대한 선호도 조사연구 - 서울, 경기, 천안 지역을 중심으로 -)

  • Yoon, Hei-Rye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 /
    • v.20 no.5
    • /
    • pp.608-614
    • /
    • 2005
  •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and classify the dining-out behavior and preference on Korean food by age groups and to make counter proposals for better marketing and planning strategies. Major dining out motives were lack of time, the easiness of preparation, and schedule. For lunch, the schedule was the major dining-out motive. For dinner, the respondents in their 30s and below answered social gathering was their major dining-out motive (40.7% and 31.3%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for the respondents in their 40s and 50s, the family gathering was the major dining motive (50.4% and 55.3% respectively) (${\chi}^{2}=68.081,\;p<0.001$). For dining out frequency, 1-2 dining out per a week had the highest percentage, among which the respondents in their 30s was 42.9% (the highest) and the respondents in their 50s was 18% (the lowest). For the dining-out cost, the respondents in their 30s and below spent more on dinner rather than breakfast or lunch. For the menu preference of Korean foods, Doenjangjigae had the highest percentage. In case of Kimchi, the respondents in their 40s showed higher preference than the respondents in their 30s. Interestingly, the preference for Kimchi was higher in the respondents younger than 30 rather than in the respondents in their 30s. and the respondents older than 40 (p<0.05). Preference for Jangachi was considerably low in the respondents younger than 40, which implies that younger people don't incline to traditional Korean Mitbanchan. The dining-out motive was different in each age group. Now, the dining out motive is not restricted to home meal replacement. Social gatherings are increasing and the consumers of dining-out industry are being diversified. These suggest the increased need for classifying and analyzing the consumers by age groups to get more information on consumer behavior and tas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