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엔진 흡기관

Search Result 33, Processing Time 0.02 seconds

A study of the intake manifold design for 4-cylinder high speed gasoline engine (4기통 고속 가솔린 기관의 흡기관 설계에 관한 연구)

  • 정동수;강건용;엄종호;우세종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15 no.5
    • /
    • pp.1674-1682
    • /
    • 1991
  • 본 연구에서는 4기통 고속 가솔린 기관의 흡기관 내 유체유동이 체적효율에 미치는 동적효과를 고려하여, 흡기관에 임피던스를 이용한 음향학적 방법을 이용해서 흡기관 최적설계를 해석하고, 기관실험을 통해 그 신뢰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A Study on Fluid Flow in the Intake Manifold for an Engine (엔진 흡기관내의 유체유동에 관한 연구)

  • 성낙원;이응석;강건용;엄종호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12 no.2
    • /
    • pp.295-307
    • /
    • 1988
  • In order to predict performance of the intake manifold, which is dependent on the length and diameter of a resonance pipe, the Fluid Dynamic Model for 4-cylinder diesel engine is developed using two step Lax-Wendroff method to solve the governing equations of air flow in the intake system. Boundary conditions at the intake valve, branch at the manifolds, and pipe end are also modeled. The results of the models are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of a motored engine. The model is capable of predicting the real phenomena satisfactorily with reasonable computing time.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Charging System for 4 Stroke Turbocharged Automotive Diesel Engine (4행정 터어보과급 자동차용 디이젤 엔진의 통합과급방식의 개발)

  • Oh, S. Z.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8 no.1
    • /
    • pp.79-85
    • /
    • 1984
  • 터어보과급 디이젤 엔진의 저속 및 급가속영역에서 발생하는 매연의 배출을 억제하기 위하여 흡 입 공기량을 증가시키는 방안으로서 흡기관의 동적효과를 이용하기 위한 통합과급 시스템을 개발 하였다. 동조회전수에 있어서 음향임피던스 방법에 의하여 공명흡기관의 칫수를 결정하였고 흡입 공기 냉각기를 부착하여 전 회전영역에서의 흡입공기 밀도비를 증가시켰다. 기존 엔진을 변형한 두가지 시스템을 설계하여 성능측정을 하였으며, 이들에 대한 비교 및 실용성에 관해 자세히 언 급하였다.

Data Measurement for the Volumetric Efficiency of SI Engines (가솔린 엔진의 흡기효율 데이터 측정)

  • Jang, Hyun-Tak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05b
    • /
    • pp.1163-1165
    • /
    • 2010
  • 가솔린 기관의 체적 효율은 흡기 장치의 효율의 척도로 표현된다. 현재 체적효율은 4행정 가솔린 엔진의 흡기장치의 특성과 공연비 제어를 위한 중요한 파라미터로 사용되고 있다. 체적 효율은 이론적으로 실린더로 흡입 가능한 양에 대한 실제로 실린더로 흡인한 공기량의 비율이다. 체적효율은 엔진회전 속도와 흡기다기관 부압에 따라 결정되는 종속변수이다. 체적 효율은 정상상태와 과도상태와 같은 엔진의 모든 운전조건을 시험하는데 한계와 제약이 매우 크다. 이 논문에서는 선형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체적 효율의 파라미터를 규명하여 선형 다항식 모델을 개발한다. 그리고 실험으로 구한 체적효율 데이터와 다항식 모델을 비교하고 객관적인 타당성을 평가 하였다.

  • PDF

CFD Analysis of Engine Inlet Condition for BWB Airfoil using EDISON (EDISON을 이용한 BWB 익형 엔진흡기 유동 해석)

  • Lee, Min-U;Kim, Gi-Deok;Bang, Jun;Lee, Su-Gwan;Jeong, Yong-Su;Han, Jin-Su;Choe, Seong-Im
    • Proceeding of EDISON Challenge
    • /
    • 2012.04a
    • /
    • pp.57-6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외에서 연구 중인 Blended Wing Body(BWB) 항공기의 엔진흡기 유동을 해석하기 위해 익형과 비행조건을 변화시켜 가며 전산유체해석을 수행하였다. 엔진의 위치에 따라 엔진이 효율적으로 동작하기 위한 조건인 흡기에서의 유동 속도와 그 분산을 중심으로 해석한 결과 익형 표면에서는 경계층의 영향으로 엔진흡기에서 유동속도가 낮고, 속도분산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익형 아랫면에서는 높은 비행속도에서 속도분산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이를 통해, 해석에 사용한 익형이 BWB의 동체로 활용하기에 적합한 엔진흡기조건을 갖는지 판별하였다.

  • PDF

A study on Intake Rumble Noise and Related Intake Manifold Design (흡기럼블음 저감을 위한 다기관에 관한 연구)

  • Park Kichun;Kim Jaeheun;Kang Kutae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223-226
    • /
    • 2000
  • 흡기 럼블 소음의 발생원을 규명하고 흡배기계와 엔진을 포함한 1-D 모사 실험을 통하여 흡기럼블 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다기관의 구조를 제안하고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흡기 럼블 소음은 다기통 엔진에서 기통간 흡입 편차 외에도 쓰로틀 바디로부터 각 연소실 흡기 밸브 사이의 거리 편차를 인하여 발생하고 거리 편차를 줄여 제작된 흡기 다기관에서 Half Order 성분이 저감되어 럼블 소음이 저감되었다.

  • PDF

An usefulness study on estimation and control method of EGR ratio using intake manifold pressure in an gasoline engine (가솔린엔진에서 흡기관 압력을 이용한 EGR율의 추정 및 제어 방법에 관한 유용성 연구)

  • Park, Hyeong-Seon;Yoon, Jun-Kyu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38 no.7
    • /
    • pp.806-813
    • /
    • 2014
  • The EGR system being reburned the part of the exhaust gas through intake system indicates more favorable emission characteristics to reduce NOx in a gasoline engine, but the case of inappropriate exhaust gas quantity induced from engine is fallen engine power caused by unstable combustion. In this study, we examined a method to predict EGR ratio according to various engine operation condition based by intake manifold pressure and confirmed such a prediction data through an experimental method. And after having constituted feedback EGR control algorithm in a base with such a prediction data, we acquired qualitatively similar results by having compared data provided through an EGR feedback control experiment with the data which calculated quantity of residual gas for the engine operation condition. Therefore, the applied algorithm and the system for feedback EGR control showed feasibility applied to real electronic control EGR technology.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Engine for Automobiles (자동차 기관의 최신기술)

  • 조진호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 /
    • v.9 no.4
    • /
    • pp.15-22
    • /
    • 1987
  • 이상 최근 10년 사이 현저하게 보여준 엔진관계의 신기술과 그 배경 등을 돌아 보았을 때 발전하 는 가운데 특히 4륜차용 2사이클 엔진의 몰락이나 엔진의 주요 부품인 기화기의 쇠태는 그 어느 것이나 시대의 요구에 대한 기술의 한께 혹은 신기술의 개발 템포에 추종키 여려웠던 때문인 것 으로 생각된다. 2사이클 엔진은 비출력이 높고 밸브기구가 없어서 구조가 간단한 등의 장점이 있는 반면 배출가스대책(특히 HC), 경부하시의 부정연소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어 4륜차용으로 서는 배출가스규제를 계기로 SAAB(스웨덴), DKW(서독)의 2사이클 엔진이 자취를 감추게 되었 고 현재 남아있는 것은 일본의 경트럭용 엔진에 지나지 않는다. 또 기화기에 대해서도 배출가 스규제에 대한 대응에 밀려 공연비의 제어성, 고도에 대한 보정성, 내열신뢰성, 제어성, 고도에 대한 보정성, 내열신뢰성, 운전성 등의 요구에 엄해진 반면 흡기포트내(PI), 혹은 흡기관 중양부 내(SPI) 가솔린분사방식에 눌려서 가변벤투리식 등도 미국(1982), 일본(1983)에서 발표되었으나 1985년형의 미국차 엔진에는 기화기의 정착율이 50%에 지나지 않는등승용차용 분야에서는 그 사용이 점차 줄어두는 추세에 있다.

  • PDF

A Study on Expansion of Lean Limit for Heavy-Duty DI Engine with Compressed Natural Gas (대형 직접분사식 CNG기관의 희박한계 확장에 관한 연구)

  • Quoc, Tran Dang;Lee, Kwang-Ju;Lee, Jong-Tai
    • Transactions of the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 /
    • v.22 no.5
    • /
    • pp.735-740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직접분사식 CNG기관의 희박한계를 보다 확장하여 고효율 및 저배기 공해를 실현시키고자 실린더 내에 고압의 천연가스를 직접분사함과 동시에 흡입과정 중 흡기관 내에 소량의 저압천연가스를 보조분사하는 경우의 희박한계 확장 및 제반특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그 결과, 흡기보조분사가 없을 경우 희박한계가 ${\lambda}$ = 1.4 까지였으나, 흡기보조분사율이 5~15% 정도에서는 희박한계가 ${\lambda}$ = 1.5 까지 확장되었다. 이는 흡기보조분사에 따른 혼합기의 혼합율 향상에 기인한 것으로 해석하였다. 연소기간은 줄어들었지만, 흡기보조분사의 효과는 주연소기간에서 조기연소기간보다 강하게 나타났다.

Flow Simulation of a Small Engine Carburettor (소형엔진 기화기의 유동해석)

  • Bae, Bong-Ki;Park, Sung-Youn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12a
    • /
    • pp.511-514
    • /
    • 2009
  •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300cc 소형엔진 기화기의 최적화 및 성능 향상을 위하여 유동해석을 수행하였다. 베르누이의 정리를 기본으로, 성능을 발휘하는 주요 설계인자인 기화기 내부의 벤튜리 튜브의 각도, 길이 등을 변수로 하여 유동해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분석하여 최적화된 모델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유동 해석을 바탕으로 기존 사양 대비 향상된 성능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유동해석을 통해 기화기 내부의 벤튜리관에 곡면(Rounding)처리를 적용함으로 기화기에서 소모되는 흡기저항을 줄여 펌핑로스를 저감활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펌핑로스의 저감은 엔진 연비의 향상과 엔진토크에 긍정적 효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벤튜리관의 출구 각도를 감소시킴으로 박리를 개선하여 Dead Volume을 줄임으로서 기존 모델에 대비하여 원활해진 유동의 흐름을 얻을 수 있었다. 이는 흡기유량을 증대시키고 엔진출력을 상승시키는 효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