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에틸렌 생성

검색결과 192건 처리시간 0.027초

Quercetin이 보리 자엽초에서 옥신에 의해 유도되는 에틸렌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Quercetin on Auxin-induced Ethylene Production in Barley Coleoptiles)

  • 이준승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5권4호
    • /
    • pp.409-414
    • /
    • 1992
  • Quercetin(3,5,7,3'-4'-OH-flavone)이 보리(Hordeum vulgare var. hexastichon ASCHERS.) 자엽초 조직에서 옥신유발 에틸렌 생성을 현저히 촉진시켰다. $3{\times}10^{-5}\;M$의 quercetin에서 배양한 보리 자엽초 조직에서 옥신 유발 에틸렌 생성은 4시간 이후부터 증가되기 시작하여 8시간 이후에는 200%까지 증가되었다. Quercetin은 내재옥신인 indol-3-acetic acid(IAA)에 의한 에틸렌 생성은 촉진하나 합성 옥신인 2,4-dichlorophenoxyacetic acid(2,4-D)나 naphthaleneacetic acid(NAA)에 의한 에틸렌 생성에는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았다. 또한, 에틸렌 전구체인 1-aminocyclopropen-1-carboxylic acid(ACC) 유발 에틸렌 생성에도 촉진효과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에틸렌 생성에 대한 quercetin의 효과는 ACC 전단계에 작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Quercetin이 IAA 대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한 결과 조직을 quercetin에 1시간 배양시켰을 때 조직내 IAA oxidase 효소 활성이 90% 감소되었으며, IAA conjugation에는 별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옥신 유발 에틸렌 생성에 대한 quercetin의 촉진작용은 quercetin이 IAA oxidase의 활성을 억제시켜 높아진 IAA 수준이 옥신 유발 에틸렌 생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Ranunculus sceleratus 엽병의 에틸렌 매개 생장반응조절에 있어서 Spermine의 관여 (Involvement of spermine in Control of Ethylene-Mediated Growth Response in Ranunculus sceleratus Petioles)

  • 정미숙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5권4호
    • /
    • pp.425-429
    • /
    • 1992
  • Ranunculus sceleratus 엽병의 세포 신장은 에틸렌에 의하여 촉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오옥신을 처리한 엽병조직 절편에서 spermine은 세포 신장과 에틸렌의 생성을 비슷한 양상으로 억제하였다. Spermine 농도에 대한 오옥신 유도 에틸렌 생성 억제반응은 ACC에 의한 에틸렌 생성의 경우도 유사한 양상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폴리아민이 ACC가 에틸렌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억제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오옥신 유도 에틸렌 생성은 폴리아민 생합성 억제제인 DFMA아 DFMO에 의하여 각각 현저하게 촉진되었으며 DFMA에 의한 에틸렌 생성의 증가는 spermine을 고농도로 처리하므로써 완전히 소멸되는 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오옥신과 에틸렌에 대한 Ranunculus의 세포성장 반응에서 내생 폴리아민이 조절 역할을 수행한다는 가능성을 입증하는 것이다.

  • PDF

대향류 확산 화염에서 에틸렌-프로판 혼합 연료의 매연 생성 상승 효과 (Synergistic Effect of Ethylene-Propane Mixture on Soot Formation in Counterflow Diffusion Flame)

  • 황준영;정석호
    • 한국연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연소학회 1997년도 제15회 KOSCO SYMPOSIUM 논문집
    • /
    • pp.89-102
    • /
    • 1997
  • 대향류 확산 화염의 매연 생성 특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 에틸렌 ($C_2H_4$)-프로판($C_3H_8$) 혼합 연료의 경우 매연 생성 상승 효과 (synergistic effect)가 관측되었다. 프로판과 에틸렌의 PAH 생성 양상이 상이하게 나타났으며, 소량의 프로판을 에틸렌 확산 화염에 첨가할 경우 순수 연료에 비하여 매연 및 PAH (다중 고리 방향족 탄화수소;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 생성이 증대되었다. 단조적으로 변화하는 아세틸렌($C_2H_2$) 농도와 단열 화염 온도를 고려할 때, 이러한 결과는 HACA (H-abstraction-$C_2H_2$-addition) 반응만으로는 확산 화염에서의 매연 발생 및 성장을 설명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수치해석과 실험 결과의 비교로부터 초기 PAH의 생성 과정을 규명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C3 화학종의 재결합 반웅이 매우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C3 화학종과 C2 화학종의 상호 보완적인 역할에 의하여 에틸렌-프로판 혼합 연료에서 매연 생성이 증대됨을 밝혔다.

  • PDF

당근 배양세포에서 RGD Peptide가 에틸렌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GD Peptide on Ethylene Production from Cultured Carrot Cells)

  • 이준승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6권4호
    • /
    • pp.391-398
    • /
    • 1993
  • 식물에서도 동물에서와 같이 RGD(Arg-Gly-Asp) sequence를 매개로 원형질막과 extracellular matrix(ECM)가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고 있으므로 RGD sequence가 식물세포의 생장, 분화 등의 여러 가지 생리적인 현상에 관여하리라는 가능성을 생각할 수 있다. 그래서 RGD sequence가 당근(Daucus carota L.) 배양세포에서 에틸렌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RGD sequence를 포함하는 합성 peptide는 당근 배양세포에서 에틸렌의 생성을 촉진시켰다. RGD peptide는 Indole-3-acetic acid(IAA)와 함께 처리한 경우 에틸렌 생성을 더욱 촉진시켰으며, ACC synthase의 활성도 증가시켰다. RGD sequence가 에틸렌 생성을 촉진시킬 때 어떠한 특이성이 있는가를 확인하기 위해 이와 유사한 RGE(Arg-Gly-Glu) peptide, RGK(Arg-Gly-Lys) peptide를 각각 처리하여 보았다. RGE peptide는 RGD peptide와 마찬가지로 에틸렌 생성을 촉진시켰으나 RGK peptide는 에틸렌 생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RGD peptide의 에틸렌 생성 촉진작용은 RGD dequence를 포함하는 RGD peptide가 ACC synthase의 활성을 증가시켜서 일어나는 현상이라 생각되며, 또한 특정한 아미노산 서열을 요구하는 특이적 반응이라고 생각된다.

  • PDF

녹두 하배축과 잎에서의 에틸렌 생성에 대한 Methyl Jasmonate의 효과 (Effect of Methyl Jasmonate on Ethylene Production in Mungbean Hypocotyls and Leaf Segments)

  • 이규승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7권4호
    • /
    • pp.445-452
    • /
    • 1994
  • Methyl jasmonate(MeJA)가 녹두(Phaseolus radiatus L.) 하배축과 잎에서 에틸렌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녹두 하배축 조직에서의 에틸렌 생성은 MeJA의 농도에 비례해서 감소했으며 그 억제 효과는 3시간 이후부터 현저하게 나타났다. 1-Aminocyclopropane-1-carboxylic acid (ACC) oxidase의 활성에 대한 MeJA의 억제 효과 역시 3시간 이후부터 나타났으며 ACC synthase의 활성에는 별 효과가 없었다. $450\;\mu\textrm{M}$ MeJA가 포함된 배지에서 배양시킨 녹두 하배축 조직에서 옥신 유발 에틸렌 생성은 대조구에 비하여 현저히 억제되었는데 이러한 옥신 유발 에틸렌 생성에 대한 MeJA의 억제 기작을 알아보기 위하여 ACC synthase의 활성과 ACC oxidase의 활성을 조사하였다. MeJA는 옥신이 처리된 조직내 ACC양과 ACC synthase 활성 및 ACC oxidase의 활성을 감소시켰다. 따라서 옥신 유발 에틸렌 생성에 대한 MeJA의 억제 효과는 MeJA가 ACC synthase의 활성 뿐만 아니라 ACC oxidase의 활성을 감소시킴으로써 나타난다고 볼 수 있다. 하배축과는 반대로 $4.5\;\mu\textrm{M}$로 처리한 잎 조직에서의 에틸렌 생성은 대조구에 비해 약 50% 촉진되었으며 옥신에 의해 유발된 에틸렌 생성량은 MeJA에 의해 증가되었다. 잎에서의 MeJA에 의한 에틸렌의 합성 증가는 ACC oxidase의 활성 증가에 기인하였으며 ACC synthase의 효소활성은 변화가 없어TEk. 따라서 MeJA는 녹두의 서로 다른 조직에서 에틸렌 합성에 대해 서로 상반된 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사과의 CA저장 중 에틸렌 및 이산화탄소 생성 (Production of Ethylene and Carbon Dioxide in Apples during CA Stroage)

  • 정헌식;최종욱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53-160
    • /
    • 1999
  • 후지 사과의 CA 저장 효과를 생리화학적으로 구명하기 위해 저장 조건에 따른 에틸렌과 이산화탄소 생성 및 이들의 연관성 그리고 과육경도와 과피색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저장 산소농도가 낮을수록 ACC oxidase 활성이 억제되어 내부 에틸렌 농도가 낮게 유지되었다. 특히 1% $O_2$+l% $CO_2$ 조건에서는 내부 에틸렌 농도가 1 ppm 이하로 유지되었으며 저장 후 2$0^{\circ}C$의 air에서도 거의 변화가 없었다. 에틸렌 생성에 고농도 이산화탄소의 영향은 구성 산소농도에 의존적이어서 1% 산소에서는 효과가 없거나 생성 증가 효과를, 3% 산소에서는 생성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내부 에틸렌 농도와 에틸렌 방출량은 밀접한 상관관계을 나타내었다. 내부 이산화탄소 농도도 이산화탄소 방출량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저장 산소농도가 가장 낮은 조건인 1% $O_2$+l% $CO_2$에서 가장 낮게 유지되었고 저장 후의 증가폭은 다른 조건들과 차이가 없었다. 저장조건에 따른 에틸렌과 이산화탄소 생성량의 연관성은 CA 저장 사과와 단기간 air 저장 사과에서는 존재하였으나 장기간 air 저장 사과에서는 보이지 않았다. 사과의 과육경도와 과피의 녹색은 에틸렌과 이산화탄소의 생성이 억제된 저장조건일수록 손실이 적었다.

  • PDF

이중동축류 화염을 이용한 혼합연료의 매연생성 특성에 관한 연구 (Soot Formation Characteristics of Concentric Diffusion Flames with Mixture Fuels)

  • 이원남;남연우
    • 한국연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연소학회 2002년도 제25회 KOSCI SYMPOSIUM 논문집
    • /
    • pp.123-128
    • /
    • 2002
  • 이중동축류 버너를 사용하여 에틸렌/프로판 및 에틸렌/메탄 혼합 연료의 매연생성 상승효과와 관련된 매연생성 메커니즘을 이해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매연체적분율, 광산란신호 및 PAH 형광신호를 측정한 결과 다음을 알 수 있었다. 에틸렌/프로판 혼합연료에서 연료공급 위치의 변화에 따른 매연생성특성의 변화는 대부분 synergistic 효과와 관련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에틸렌/메탄 혼합연료의 경우 연료공급의 위치변화가 매연생성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았다. PAH 분포는 synergistic 효과에 의한 매연 생성 특성의 변화와 일관성이 없는 것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synergistic 효과에 대한 PAH의 역할에 대한 이해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Pseudomonas syringae pv. Phaseolicola에 의한 Ethylene 생성에서의 전구물질 (Precursors for the Ethylene Evolution of Pseudornonas syringae pv. Phaseolicola)

  • 배무;권혜영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4-20
    • /
    • 1991
  • Pseudomonas syringae의 intact cell에서 에틸렌 생성을 극대화 하기 위한 전환조건은 $30^{\circ}C$. pH7.5로 조사되었고, 다양한 기질의 전환효과를 검초한 결과, Asn>Gln>Asp>Glu>$\alpha$-KG>citrate>oxalacetate의 순으로 많은양의 에틸렌을 생성하였다. 또한, arginine과 histidine을 상기 유기산과 함께 넣었을 때 에틸렌 생성에 현저한 상승효과를 나타냈다. Cell-free system 에서는 $\alpha$-KG>Glu>citrate>Gln>Ser순으로 0.5mM $\alpha$-KG에서 310.8(nl.mg $protein^[-1}.h^[-1}$)로 가장 많은 에틸렌을 생성하였고, aminotransferse 억제제인 AOA를 사용해 본 결과, Glu는 glutamate dehydrogenase에 의하여 $\alpha$-KG를 거쳐서 에틸렌으로 전환된 것이라 생각된다.

  • PDF

1-Methylcyclopropene 처리에 의한 '부유' 단감 과실의 저장 후 연회 현상과 관련된 에틸렌 작용의 억제 (Inhibition of Ethylene Action Related to Poststorage Softening by 1-Methylcyclopropene Treatment in 'Fuyu' Persimmon Fruits)

  • 김미애;안광환;이승구;최성진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9권4호
    • /
    • pp.545-549
    • /
    • 2001
  • 에틸렌의 수용체와의 결합을 방해함으로써 에틸렌의 작용을 방해하는 물질은 1-MCP의 처리를 통하여 단감 과실의 과육 연화에 대한 에틸렌의 영향을 밝히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1-MCP와 에틸렌의 처리에 따른 경도 변화의 양상은 cellulase, PG, PME, ${\beta}$-galactosidase 등의 세포벽 분해 효소의 활성 변화 양상과 유사하였으며, 이들 효소의 활성은 1-MCP의 처리에 의해 저하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에틸렌의 영향에 의한 각종 세포벽 분해 효소의 활성화가 저장 후 단감 과실의 과육 연화 현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보인다. 그러나 연화 지연 효과와는 달리 저장 후의 단감 과실에서 1-MCP는 에틸렌의 생성, 즉 ACC의 축적 및 ACC oxidase 활성을 억제하지 못하였으며, 이러한 사실은 저장 후 단감 과실에 있어서 과육의 연화 현상이 과실의 에틸렌 생성량 그 자체보다는 과실의 에틸렌에 대한 반응성에 보다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