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에티오피아

Search Result 48, Processing Time 0.048 seconds

Securing the agricultural water in Ethiopia and the appropriate technology : in case of Germany's support (에티오피아의 농업용수 확보와 적정기술 - 독일 지원 사례를 중심으로 -)

  • Shin, Sang-Joon;Park, Sung-Je;Ryu, Si-S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847-851
    • /
    • 2012
  • 에티오피아의 수자원은 풍부하지만 그 활용의 수준은 매우 저조하다. 그 중에서 에티오피아의 농업용수 활용 수준은 굉장히 낮게 나타난다. 에티오피아의 농업은 강우량에 의존하는 형태를 지니지만 매우 불규칙한데, 이러한 특징은 에티오피아의 충분한 농업용수 활용을 위해 관개설치로 극복하려고 한다. 여러 선행연구에서는 에티오피아의 경제적 활성화는 근본적으로 농업용수의 충분한 확보가 전제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왜냐하면 농업용수의 확보는 농업 경제의 활성화로 나타나며, 그 활성화로 농업 생산품이 많아지고 종류가 다양화되기 때문이다. 몇몇 실증적 연구에서는 충분한 농업용수를 갖추고 있는 지역이 농업 경제가 활성화됨에 따라 소득의 증가로 귀결되었음을 증명하였다. 이러한 사실에 입각하여 에티오피아 정부는 관개를 통한 농업용수 확보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지만, 재정적 문제와 인적자본의 결여로 어려움에 봉착하고 있다. 에티오피아의 수자원 개발은 주로 국제적 지원에 의존하고 있다. 특히 World Bank를 위시한 UNICEF, 핀란드 등은 에티오피아 농촌 지역의 수자원 개발에 많은 지원을 하였다. 반면, 대부분의 국제적 지원은 도시에 집중되어 있는데, 이러한 점은 에티오피아의 도 농간 수자원 개발이 확연한 차이로 나타나게 되었다. 우리나라 역시 에티오피아의 지원에 동참하고 있다. 이러한 국제적 지원은 에티오피아에 좋은 영향을 미치지만, 수혜자의 입장을 고려하여 지원을 펼친다면 더 좋은 성과로 나타날 것이다. 실제 독일이 볼리비아의 상황을 고려하여 농촌 지역의 빈곤감소를 위한 각종 프로그램 형성 및 지원은 국제공적개발원조가 어떠한 형태로 나타나야 할 것인지에 대해 큰 시사점을 제공해준다. 독일은 볼리비아의 수자원 지역에서 자연자원 보존과 자연을 훼손하지 않는 방식의 관개를 설치하였다. 더불어 국가 정책과 연관되도록 공무원의 역량강화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관개 교육을 통해 기술자를 양성하였다. 그 결과 농촌 지역에서는 식량 상황이 개선되었고, 소득의 증가로 귀결되었다. 이와 같이 국제원조에서는 "수원국의 필요"가 전제되어야 하고, 그 나라의 상황에 맞도록 국가 정책과 연동되어야 한다. 우리나라는 과거에 현재 에티오피아가 직면한 수자원 문제에 봉착하였었고, 이를 관개 기술의 발전으로 극복하였다. 이러한 수자원 기술을 에티오피아의 현실에 맞게 지원한다면 독일의 사례에서 살펴볼 수 있듯이 국민들의 삶의 질 향상으로 귀결될 것이다.

  • PDF

A Study on Global Aid of Development for Drinking Water & 'Self Supply': in case study of Ethiopia (국제식수개발원조 동향과 'Self Supply'에 관한 연구: 에티오피아의 사례를 중심으로)

  • Kim, Bo-Ram;Ryu, Si-Saeng;Park, Sung-J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835-840
    • /
    • 2012
  • 아프리카는 현재 극심한 식수난에 시달리며 국민들의 건강과 경제활동에 위협을 받고 있다. 에티오피아 역시 이러한 어려움에 처한 국가 중 하나이다. 우리나라는 2006년 이후 현재 아프리카의 식수개발을 확대하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를 뒷받침하고자 에티오피아 내 식수개발원조 동향이 분석하고 이에 따른 우리나라 식수개발사업의 지원 방안을 모색하였다. 에티오피아 농촌지역에서는 현재 대규모 관정 사업보다 저비용 소규모 단위 수준에서의 기술을 사용한 물의 자급(Self Supply)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고, 구체적인 사례는 가족우물(Family wells)이다. 또한 이러한 물 자급 방안 지원 시에는 수질에 대한 고려가 함께 필요하다.

  • PDF

Determinants of Behavioral Intention and Usage of Mobile Money Services in Ethiopia (에티오피아 모바일화폐 서비스의 채택의향과 사용행태 결정요인)

  • Bereket, Tiru Beza;Hwang, Gee-Hyu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8 no.2
    • /
    • pp.23-35
    • /
    • 2020
  • Mobile Money is a key factor of financial inclusion that can revolutionize the financial service delivery and hence enhance access to finance in emerging economies, especially the East African countries. This study therefore aims to study the determinants of individual's behavioral intention and usage of Mobile Money services in Ethiopia by usiing the UTAUT2 model. The research model was tested by sampling 200 respondents from different areas of Ethiopia. The analysis results found that Government Support, Facilitating Conditions, Performance Expectancy, Trust and Effort Expectancy are the key factors that affect the usage of Mobile Money service, while Lower Transaction Cost factors and Social Influenc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findings provide useful information that only government's active efforts and support to promote mobile money services, through appropriate policies and regulations rather than lower transaction cost, can facilitate the adoption and dissemination of such services in Ethiopia.

Occurrences of Hot Spring and Potential for Epithermal Type Mineralization in Main Ethiopian Rift Valley (주 에티오피아 열곡대 내 온천수의 산출특성 및 천열수형 광상의 부존 잠재성)

  • Moon, Dong-Hyeok;Kim, Eui-Jun;Koh, Sang-Mo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46 no.3
    • /
    • pp.267-278
    • /
    • 2013
  • The East African Rift System(EARS) is known to be hosted epithermal Au-Ag deposits, and the best-known example is Main Ethiopian Rift Valley(MER) related to Quaternary bimodal volcanism. Large horst-graben system during rifting provides open space for emplacement of bimodal magmas and flow channel of geothermal fluids. In recent, large hydrothermally altered zones(Shala, Langano, and Allalobeda) and hot spring related to deeply circulating geothermal water have been increasing their importance due to new discoveries in MER and Danakil depression. The hot springs in Shala and Allalobeda occur as boiling pool and geyser on the surface, whereas some areas didn't observe them due to decreasing ground water table. The host rocks are altered to quartz, kaolinite, illite, smectite, and chlorite due to interaction with rising geothermal water. The hot springs in MER are neutral to slightly alkaline pH(7.88~8.83) and mostly classified into $HCO_3{^-}$ type geothermal water. They are strongly depleted in Au, and Ag, but show a higher Se concentration of up to 26.7 ppm. In contrast, siliceous altered rocks around hot springs are strongly enriched in Pb(up to 33 ppm, Shala), Zn(up to 313 ppm, Shala), Cu(up to 53.1 ppm, Demaegona), and Mn(up to 0.18 wt%t, Shala). In conclusion, anomalous Se in hot spring water, Pb, Zn, Cu, and Mn in siliceous altered rocks, and new discoveries in MER have been increasing potential for epithermal gold mineralization.

Ehtiopiam Agricultural Extension System -The Past Experience, Pres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 (에티오피아 농촌지도사업의 현재와 미래)

  • Besha, Dagnachew Bekele;Park, Duk-Byeong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
    • v.21 no.1
    • /
    • pp.219-244
    • /
    • 2014
  •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 in Ethiopia was started in early 1950s with mandate of transferring local research outputs and technologies to farmers, and importing technologies and improved practices from abroad. Extension service provided in this early time was limited to areas surrounding the experiment stations. Since then, Ethiopian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 has passed through at least five stages: the land grant extension system, the Comprehensive Package Programs, the Minimum Package Projects, the Peasant Agricultural Development Program, and the Participatory Demonstration and Training Extension System (PADETS). The comprehensive package extension program was initially implemented in selected pilot areas and eventually to be scaled up to cover about 90% of the farming community within 15-20 years time. The program used demonstration plots managed by development agents and used to train farmers organized through various field days. However, since all of these programs were operational in only small areas, the vast majority of the country was out of their reach. Through Participatory Demonstration and Training Extension System, the extension service in Ethiopia has come under the spotlight and government debates and external reviews are putting additional scrutiny on the system. Despite this long history, the system is still in its infancy in terms of coverage, communication and institutional pluralism. Currently in Ethiopia the Agricultural extension is provided primarily by the public sector, operating in a decentralized manner through which extension is implemented at the district level. Therefore, the main focus of this paper is to scrutinize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Agricultural extension system in Ethiopia.

Current Status and Future Collaboration on Astronomy and Space Science in Ethiopia (에티오피아 천문·우주과학 분야의 현황 및 협력방안)

  • Kim, Young-Soo;Byun, Yong-Ik;Yoon, Joh-Na;Kim, Yonggi
    • Journal of Appropriate Technology
    • /
    • v.5 no.2
    • /
    • pp.114-117
    • /
    • 2019
  • Ethiopia becomes a leading country in Africa as she possesses two 1 m telescopes which are unique in East Africa. Building the telescopes evoked people's interest on Astronomy and Space, and the passion is continued to space development and founding a large telescope. Ethiopia Space Science and Technology Institute was established, Adama Science and Technology University and other universities get in education and research & development (ERD). In this paper, status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 in Ethiopia is reviewed and collaboration prospect is studied.

A plan for introduction of energy efficient labeling system in Ethiopia (에티오피아 에너지 효율 라벨링 도입방안 설계)

  • Lee, Seung-mi;Kim, Jin-ho;Kim, In-soo;Son, Na-kyeu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465-466
    • /
    • 2015
  • 전 세계적으로 에너지 수요의 증가에 따라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해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에너지 절약과 환경보호를 위해 세계 각국에서는 에너지효율제품의 보급화를 위해 에너지 효율기준 및 라벨링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개발도상국인 에티오피아 선정하여 구체적인 사례를 적용하여 보았다.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를 위한 제도로 최저소비효율기준(MEPS : Minimum Energy Performance Standard)과 에너지소비효율등급라벨표시(이하 '라벨링')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고 국내, 해외선진국, 개발도상국 등 여러 국가의 운영 현황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에티오피아에 적용하기 위해 여러 상황을 고려한 맞춤 라벨링을 설계해 보고자 한다.

  • PDF

Geology and Geological Structure around Harar, NE Ethiopia (에티오피아 북동부 하라르 일대의 지질과 지질구조)

  • Ryoo, Chung-Ryul;Heo, Cheol-Ho;Yang, Seok-Jun;Alemu, Tadesse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4 no.2
    • /
    • pp.65-75
    • /
    • 2015
  • Around Harar in the northeastern part of the Ethiopia, the Precambrian granitic gneiss and gabbro bodies are developed with several pegmatites. The rock bodies in this area have been deformed by ductile and brittle deformations developing fold and ductile shear structure, and thrust and fault.

The Evaluation on the Quality of Life in Ethiopia (물 관련 에티오피아 주민의 "삶의 질" 평가)

  • Kim, Shang Moon;Jang, Seo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260-260
    • /
    • 2015
  • 에티오피아는 국제원조사업으로 SNNPR주 Gurage zone에 "안전한 식수 공급 사업"을 요청하였다. 이에 KOICA에서는 당해 지역내 국제원조사업 실시에 대한 성과를 평가하고자, ODA 사업 추진 전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사전 평가하였다. 본 논고는 KOICA의 에티오피아 SNNPR주 Gurage zone "삶의 질" 평가 결과이다. "삶의 질" 분석을 위한 평가기준으로는 1. 현지 지역주민의 물이용 현황, 위생 및 환경 현황, 취수활동이 교육에 미치는 영향, 취수활동이 가정 경제 활동에 미치는 영향 등을 분석하고, 2. 식수공급사업 추진 시, 지역주민이 바라는 식수개발사업의 유형을 살펴보았다. 분석을 위한 자료 조사 방법으로는 설문 방법을 선택하였으며, 설문은 물 이용 현황, 질병 및 위생 관리 현황, 취수활동이 교육 및 가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지역주민이 바라는 식수사업의 방향 및 이유 등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지 유형은 현황 관련 계량적 수치를 답하는 질문(계량적 평가)과 함께 지역주민이 현황에 관하여 인식하는 정도를 답하는 질문(비-계량적 평가, 리커트 5점 척도 이용)을 함께 구성하였다. 조사범위는 식수위생사업 범위에 있는 Gurage Zone 24개 마을, 301 가구, 400명의 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 PDF

Geology and Mineralization of East Africa Rift System (동아프리카 열곡대의 지질 및 광화작용)

  • Koh, Sang-Mo;Lee, Gilljae;Kim, Eui-Jun;Ryoo, Chung-Ryul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6 no.4
    • /
    • pp.331-342
    • /
    • 2013
  • 동아프리카 열곡대는 아라비아반도와 아프리카 북동부의 경계에서 부채꼴 형태로 남쪽으로 뻗은 대단층 함몰지구대이다. 아프리카 판 내부에 발달한 열곡대의 폭은 35~60 km이며 연장은 약 4,000km로 알려져 있다. 열곡대는 에티오피아에서 남서방향으로 발달하다 에티오피아 남부에서 동, 서 및 남서 열곡대로 나누어진다. 이 열곡대는 제3기초 올리고세(30~35 Ma)부터 에티오피아 북부 아파르 침강대를 중심으로 주 에티오피아 열곡대가 형성되고, 남쪽으로 확장되면서 마이오세에 활성화된다. 서부 열곡대는 동아프리카대지의 가장자리와 빅토리아 호의 서편을 따라 발달하며, 고각의 정단층에 의해 특징되는 전형적인 반지구대이다. 동부 열곡대(주 에티오피아 열곡대와 케냐 열곡대)는 30 Ma 전 화산활동과 지구조활동이 시작되었으나, 서부 열곡대는 Albert 호 북부에서 12 Ma 전에, Tanganyika 열곡에서는 7 Ma 전부터 시작되었다. 서부 열곡대의 남서 방향으로 분기된 남서 열곡대는 DR-콩고 남부와 잠비아의 Tanganyika 호에서부터 남서 방향으로 확장되어 보츠와나 Okavango 열곡대와 연결된다. 주 에티오피아 열곡대(MER)의 화산암류와 관련 퇴적암류는 지열, 소다회, 포타쉬(K), 천열수 금, 벤토나이트, 유황 및 부석자원으로 중요한 관련암으로 역할을 한다. 열곡관련 대표적인 광상으로는 Afar 열곡대에 분포하는 Danakhil K-광상과 Megenta 및 Blackrock 천열수 금광상이다. Danakhil K-광상은 제4기 화산활동과 높은 지열류에 의해 열곡대 내 분포하던 소금 선상지(salt fan)에서 증발작용에 의해 형성된 증발형 K-광상으로서 총 자원량은 약 12.6억톤으로 평가되었다. 이 광상에서는 4종의 K-광물인 실바이트, 카날라이트, 포리하라이트, 카이나이트가 산출한다. 아파르 침강대 내 분포하는 대표적인 천열수 금광상은 텐다호 지구대에 위치하는 Megenta 및 Blackrock 광상이다. 제4기에 EMR에서 산성의 과알칼리 화산활동에 의해 열수활동이 초래되어 현재까지도 활동하여 지열대가 형성되고, 저유황형금 광상들이 형성되었다. Megenta 저유황형 금 광상은 2009년 발견되었으며, 현재 영국의 Startex International사에 의해 탐사가 진행 중이다. 지금까지의 탐사 결과 옥수질 규화 변질암 분포지에서 5개의 광체가 분포하며, 그중 Hyena 광체에서는 규화 변질된 열수각력암에서 최고 16.75 g/t의 금 품위가 보고되었다. 동아프리카 열곡대의 서편인 부룬디에 분포하는 Gakara REE 광상은 카보너타이트 유형의 REE 광상이다. 이 광상은 $400km^2$ 면적 내 수 cm부터 수 m까지의 폭을 가지는 맥상 또는 망상세맥상의 광체를 형성한다. 주로 조립의 바스트너사이트와 모나자이트로 구성된다. 바스트너사이트의 형성시기는 $587{\pm}4Ma$인 신원생대로 알려져 있으며, 이 지역에 분포하는 카보너타이트와 알칼리암들이 신원생대에서 신생대까지의 광범위한 연대를 보이는 것은 동일한 구조선을 따라서 일어나는 반복되는 열곡활동으로 해석된다. 또한 REE, U, 인회석 자원의 관련암체로 생각되는 알카리 조면암(네펠린-조면암 포함)과 카보너타이트는 동아프리카 열곡대의 남동부 끝자락인 말라위와 모잠비크에 우세하게 분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