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에지영역

Search Result 702,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Text Region Detection using Feature of Adaptive Character-Edge Map in Natural Images (자연영상에서 적응적 문자-에지 맵 특징을 이용한 텍스트 영역 검출)

  • Park, Jong-Cheon;Hwang, Dong-Guk;Lee, Woo-Ram;Jun, Byoung-Mi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7.05a
    • /
    • pp.181-184
    • /
    • 2007
  • 자연영상에 포함된 텍스트는 많은 중요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자연영상에서 텍스트 정보를 검출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문자 영역의 구조적인 특정을 배열문법으로 정의한 적응적 문자-에지 맵을 제안하여 텍스트 영역을 검출한다. 캐니-에지 검출기로 에지를 추출하고, 생성된 에지 이미지를 레이블링하고 그 영역의 문자구조 특징을 분석하기 위해서 적응적 문자-에지 맵을 분석한다. 적응적 문자-에지 랩의 분포 상태를 분석함으로서 텍스트 후보 영역을 검출하고, 텍스트 영역의 에지 히스토그램 프로파일을 분석함으로서 텍스트 후보 영역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여 최종적인 텍스트 영역을 검출한다. 제안한 방법은 다양한 종류의 자연영상을 대상으로 실험하였고, 기울어진 텍스트와 다양한 크기의 텍스트 구성된 자연영상에서 텍스트 영역을 효과적으로 검출하였다.

  • PDF

Content-Based Image Retrieval Using Edge Histogram Analysis Technique (내용 기반 이미지 검색을 위한 에지 히스토그램 분석기법)

  • Park Jong-Cheon;Jun Byou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a
    • /
    • pp.377-381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내용기반 이미지 검색을 위한 에지 히스토그램 분석기법을 제안하여 20종류의 다양한 에지에 대한 에지 히스토그램을 분석한다. 전체영역에 대한 수평방향 에지 히스토그램을 분석하고, 전체 영역을 몇 개의 부분영역으로 분할하고 각 부분영역에 대한 에지 히스토그램을 수행하여 영역별 특징을 추출한다. 그리고 각각의 수평방향 에지 히스토그램에서 20종류의 에지 성분의 발생 패턴을 추출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에지 히스토그램 분석기법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5종류의 에지 성분을 사용한 방법보다 다양한 형태의 에지를 분석을 가능하게 함으로서 내용 기반 이미지 검색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다양한 에지 특징을 추출함으로서 내용 기반 이미지 검색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었다.

  • PDF

Hybrid Image Segmentation Using Edge and Region Growing (에지 및 영역 확장을 통한 하이브리드 영상분할 기법)

  • 엄성은;이일로;윤갑규;안병하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3.07e
    • /
    • pp.2299-2302
    • /
    • 2003
  • 본 논문은 영상내의 중요한 특징인 에지와 영역을 동시에 고려한 상호 보완적인 영상분할 기법을 제안한다. 에지 또는 영역에 기반한 기법은 서로 상반된 관점의 접근방식으로 에지의 국부적인 특성 또는 영역의 전 역적인 특성에 기반을 두고 있는 반면에. 제안한 하이브리드 기법은 에지 및 영역의 순차적 확장을 통해 이 두 가지 특성을 동시에 고려하고 있다 에지는 에지 검출기로부터 얻은 그래디언트의 임계값을 통해 확장해가며 영역은 Watershed 변환으로부터 얻은 초기분할의 영역간 유사성 및 경계선 길이를 이용해서 확장해 간다. 실험에서, 에지와 영역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지 알은 개별적인 기법들과 비교함으로써 제안한 알고리즘의 효과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The Area Recognition for Iries Diagnosis with Edge Image Pattern Matching (에지영상 패턴매칭에 의한 홍채진단 영역인식)

  • 이승용;김윤호;류광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1.05a
    • /
    • pp.653-655
    • /
    • 2001
  • 본 논문은 홍채영상에 대한 에지를 검출하고 홍채진단을 위한 에지영상패턴 매칭을 이용하여 홍채의 진단영역을 인식하는 연구이다. 에지검출기법은 8방향 키어쉬-라프라시언 기법을 적용하고 진단영역인식은 진단기준패턴과 입력에지영상패턴과 오버레이 패턴매칭으로 진단영역을 인식하였다. 그 결과 적용한 에지검출영상의 PSNR이 131정도이며 패턴매칭 영역인식결과는 86%정도로 홍채에 의한 인체의 상태를 추정하는 자동진단시스템으로 환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

Character Region Detection using Edge Features of Character and Character String in Signboard Image (문자 및 문자열의 에지 특징을 이용한 표시판 이미지에서 문자영역 검출)

  • Park, Jong-Cheon;Hwang, Dong-Guk;Jun, Byoung-Mi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8.05a
    • /
    • pp.212-214
    • /
    • 2008
  • 자연이미지에 포함된 안내 표시판은 많은 유용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이를 효과적으로 검출하여 문자인식시스템과 연동될 수 있다면 다양한 응용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문자 및 문자열의 에지 특징을 이용하여 표시판이미지로부터 문자영역을 검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캐니-에지 검출기로 에지를 검출하여 에지 이미지를 생성한다. 에지 이미지를 레이블링을 하여 연결요소 성분을 추출한다. 레이블 영역에서 문자와 문자열 에지 특징을 분석하여 후보 문자영역으로 추출한다. 후보 문자영역에 대한 검증을 수행함으로서 최종적인 문자영역을 검출한다. 제안한 방법은 다양한 종류의 자연이미지를 대상으로 실험하였고, 자연이미지에서 기울어진 문자영역과 다양한 크기의 문자를 갖는 문자영역을 효과적으로 검출하였다.

  • PDF

Edge-Directed Color Interpolation on Disjointed Color Filter Array (분리된 컬러 필터 배열을 이용한 에지 방향 컬러 보간 방법)

  • Oh, Hyun-Mook;Yoo, Du-Sic;Kang, Moon-Gi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47 no.1
    • /
    • pp.53-61
    • /
    • 2010
  • In this paper, we present a color interpolation algorithm that uses novel edge direction estimator and region classifier. The proposed edge direction estimator accurately determines the edge direction bas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mages obtained by the channel separated and down-sampled Bayer color filter array(CFA) pattern. The correlation is defined based on the similarity between the edge direction in the local region of the image and the shifting direction of the images. Also, the region of an image is defined as the flat, the edge, and the pattern-edge regions, where the edges are appeared repeatedly. When all the pixels in the image are classified into the three different regions, each pixel is interpolated horizontally or vertically according to the estimated direction.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 outperforms the conventional edge-directed methods on objective and subjective criteria.

Text Region Detection using Edge and Local Minima/Maxima Transformation From Natural Scene Images (에지 및 국부 최소/최대 변환을 이용한 자연이미지로부터 텍스트 영역검출)

  • Park, Jong-Cheon;Hwang, Dong-Guk;Jun, Byoung-Mi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8.11a
    • /
    • pp.257-259
    • /
    • 2008
  • 자연이미지에 내포된 텍스트는 많은 정보를 제공함으로 이를 효과적으로 검출하여 다양한 응용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텍스트 영역의 에지 특징과 국부 최소/최대 변환을 이용하여 자연이미지로부터 텍스트 영역 검출 방법을 제안한다. 에지 검출은 캐니-에지 검출기로 추출하고, 국부 최소/최대 변환을 이용하여 텍스트 영역의 연결성분을 추출한다. 각각 추출된 에지 및 연결성분으로부터 텍스트 영역 후보를 검출하고, 각각의 결과를 결합하여 최종적인 텍스트 후보 영역을 검출하고, 후보 텍스트 영역에 대한 검증을 수행함으로서 최종적인 텍스트 영역을 검출한다. 제안한 방법은 다양한 종류의 자연이미지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에지 및 연결성분의 두 가지 특징을 결합함으로서 자연이미지에 존재하는 다양한 형태의 텍스트 영역을 효과적으로 검출하였다.

  • PDF

Hangul Text Detection using Text Corner Edge Feature Analysis in Natural Scene Images (자연영상에서 코너 에지 특징 분석방법을 이용한 한글 텍스트 검출기법에 관한 연구)

  • Park Jong-Cheon;Kwon Kyo-Hyun;Jun Byu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11a
    • /
    • pp.379-383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자연 이미지에서 한글 텍스트가 갖고 있는 에지 코너 특징을 이용한 한글 텍스트 검출방법을 제안한다. 자연영상으로부터 에지를 검출하고, 검출된 에지를 20종류의 에지 구조 성분을 갖는 에지 맵을 생성한다. 생성된 에지 맵에서 한글 텍스트 특징 갖는 특징들을 조합하여 모두 8가지의 텍스트 영역 후보 특징을 추출한다. 추출된 텍스트 영역의 특징을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검사하여 텍스트의 시작 라인과 끝라인을 검출하여 텍스트 영역의 수평좌표를 구한다. 추출된 텍스트 후보 영역에서 최종적으로 텍스트 영역을 결정한다. 제안한 방법은 다양한 종류의 자연 이미지에서 텍스트 영역을 검출에서 좋은 성능을 나타냈다.

  • PDF

Extraction of Eye Region in Consideration for Performance and Accuracy (수행 시간과 정확도를 고려한 얼굴 영상의 눈 영역 추출)

  • Jang, Chang-Hyuk;Park, An-Jin;Jung, Kee-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6.11a
    • /
    • pp.269-272
    • /
    • 2006
  • 얼굴 인식의 전처리 단계로써 얼굴의 특징 영역인 눈, 코, 입을 추출하는 방법들이 최근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얼굴 영상의 특징 영역을 추출 하는 방법에는 일반적으로 특징 점을 이용한 방법과 에지 정보를 이용한 방법이 있다. 특징 점을 이용한 방법은 높은 정확도를 보이는 반면 느린 수행시간을 보이는 문제점이 있으며, 에지 정보를 이용한 방법은 빠른 수행시간을 보이지만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확도와 수행시간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빠른 수행 시간을 위해 에지 정보와 에지의 방향성 정보를 이용하여 대략적으로 영역을 추출하여, 잡음에 의해 발생된 에지나 빛에 의해 추출되지 못한 에지에서 생긴 눈 추출의 오류는 추출된 영역의 가로, 세로 비율과 각 영역의 공간 정보를 이용하여 해결한다. 실험 결과에서 85%의 정확도와 평균 0.3초의 수행시간을 보였으며, 에지 정보를 이용한 방법의 문제점인 정확도와 특징 점을 이용한 방법의 문제점인 수행시간을 동시에 향상시킨 결과를 보였다.

  • PDF

Facial Feature Extraction and Tracking using Edge Information and Template Deformation (에지 정보와 형판 변형을 이용한 얼굴 특징 추출과 특지의 추적)

  • 박주철;최형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1998.03a
    • /
    • pp.157-160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동영상으로부터 에지 정보와 형판 변형을 통해 얼굴의 추출하고 그 특징을 기반으로 하는 추적 기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추적기법은 추출된 특징에 기반을 추적 지법으로 초기에 모자익 영상을 이용하여 얼굴 부분을 찾고 찾아진 얼굴 부분에 에지 연산자를 적용하여 에지를 추출한다. 에지 영상이 얻어지면 에지 영상에서 영역의 크기와 모양, 그리고 관계 검증을 통해 대략적인 눈 영역을 추출한다. 눈 영역이 찾아지면 이를 바탕으로 입 영역에 대한 후보 영역에 대하여 이진화를 수행하고 히스토그램 프로젝션을 통해 대략적인 입 영역을 추출한다. 추출된 눈 영역과 입 영역에 각각의 형판을 사용해 형판 변형을 하고 초기 매개변수를 추출한다. 추출된 매개변수는 다음 프레임에서 형판의 초기 값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나서 형판에 대하여 변형(deformation) 과정을 수행한다. 이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추적 과정을 수행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