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에스크로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3초

바이오디젤을 함유한 경유용 저온유동성 향상제의 합성: 폴리(스티렌-co-알킬 메타크릴레이트) (Synthesis of Poly(styrene-co-alkyl methacylate)s for Pour Point Depressants of Diesel containing Biodiesel)

  • 양영도;김영운;정근우;황도혁;홍민혁
    • 공업화학
    • /
    • 제19권5호
    • /
    • pp.497-503
    • /
    • 2008
  • 디젤 및 바이오디젤의 구성 성분 중에 포함된 n-파라핀과 포화 지방산 메틸에스테르가 저온에서 결정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기술들이 알려져 있다. 그 중에서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가 디젤의 유동점과 저온필터막힘점을 낮출 수 있는 효과적인 저온유동성 향상제로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C12, C18 및 C22 지방 알콜과 메타크릴산의 에스테르화 반응에 의하여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합성하여 스티렌과 30:70, 50:50 및 70:30의 몰 비율로 라디칼 공중합체를 합성하였다. 합성한 공중합체의 구조를 $^1H-NMR$ 및 FT-IR 스펙트럼으로 분석하였으며 GPC로 분자량을 측정하였다. 디젤 및 바이오디젤을 5% 함유한 경유(BD5)에 100~5000 ppm의 공중합체를 첨가하여 유동점 및 CFPP 등의 저온 유동성을 평가하였다. 저온 유동성을 평가한 결과, 스티렌-스테아릴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PStmSMAn)의 저온 유동성이 다른 공중합체에 비하여 우수하였으며 특히, PSt82SMA18 공중합체 5000 ppm을 함유한 BD5의 유동점이 첨가 전에 비해 $25^{\circ}C$, CFPP $9^{\circ}C$ 강하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에탄올아민과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에스테르 교환반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nsesterification Reaction between Ethanolamine and Methyl-methacrylate)

  • 박근호;손병청;류철모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31-38
    • /
    • 1985
  • The transesterification reaction between ethanolamine and methyl-methacrylate was kinetically investigated in the presence of various metal acetate catalysts at $110^{\circ}C$. The transesterification was found to obey first-order kinetice with respect to the concentration of ethanolamine and methyl-methacrylate, respectively. By the Arrhenius plot, the activation energy has been calculated as 11.9 Kcal with lead acetate catalyst, 14.7 Kcal without catalyst. The reactivities has highest value where the electronegativity and instability constant (Kij) values for the metal acetate catalysts are about 1.6.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디에탄올아민과의 에스테르 교환반응에 관한 연구(II) (A Study on the Transesterification Reaction between Methyl Methacrylate and Diethanolamine (II))

  • 손병청;박근호;정순욱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67-71
    • /
    • 1987
  • The transesterification reaction between diethanolamine and methyl methacrylate was kinetically investigated in the presence of various metal acetate catalysts at $120^{\circ}C$. The amount of reacted methyl methacrylate was measured by gas chromatography and liquid chromatography, and the reaction rate also measured from the amount of reaction products and reactants under each catalyst. The transesterification reaction was carried out in the first order with respect to the concentration of diethanolamine and methyl methacrylate, respectively. The over-all order is 2nd. The apparent rate constant was found to obey first-order kinetics with respect to the concentration of catalyst. The maximum reaction rate was appeared at the range of 1.4 to 1.6 of electronegativity of metal ions and instability constant of metal acetates.

바이오디젤용 저온 유동성 향상제로서의 폴리 (알킬메타크릴레이트-공-무수말레인산) 제조 연구 (A Study on The Preparation of Poly(alkyl methacrylate-co-maleic anhydride) as Cold Flow Improvers for Biodiesel Fuels)

  • 홍진숙;정근우;김영운;김남균;임대재
    • 공업화학
    • /
    • 제23권2호
    • /
    • pp.232-240
    • /
    • 2012
  • 바이오디젤(BD)은 식물성 오일 또는 동물성 지방과 같이 재생산 가능한 원료로부터 유래된 긴 사슬 지방산의 단일 알킬에스테르로, 디젤연료에 비해 낮은 온도에서 연료특성이 열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디젤연료의 경우, 많은 저온 유동성 향상제가 개발되어 있지만 바이오 디젤은 디젤연료와 주요 구성성분이 다르기 때문에 디젤연료용 저온 유동성 향상제를 바이오디젤에 사용 시 저온 유동성 향상에 한계가 따른다. 이에 본 연구는 동절기에 바이오디젤의 저온 특성을 향상시키고자 에스테르 반응으로 합성한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Stearyl methacrylate, Lauryl methacrylate)와 무수말레인산을 이용하여 저온 유동성 향상제를 합성하였고, 알킬아민을 이용한 개환 반응을 실시하였다. 이렇게 합성된 저온 유동성 향상제를 $^1H-NMR$ 및 FT-IR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GPC로 분자량을 측정한 후 SoybeanBD와 PalmBD에 1000~10000 ppm의 농도로 첨가하여 저온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SoybeanBD에 LMA2SMA6MA2-C8A 공중합체 첨가 시 유동점이 $12.5\;^{\circ}C$ 강하됨을 확인하였다.

서로 다른 측쇄 구조를 가진 폴리(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의 저온유동성 향상제 합성 (Synthesis of Poly(alkyl methacrylate)s Containing Various Side Chains for Pour Point Depressants)

  • 홍진숙;김영운;정근우;정수환
    • 공업화학
    • /
    • 제21권5호
    • /
    • pp.542-547
    • /
    • 2010
  • 디젤연료 및 바이오 디젤을 포함하는 디젤연료는 성분 내에 n-파라핀과 포화 지방산 메틸에스테르가 저온에서 결정화가 이루어져 연료의 저온 특성을 감소시키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많은 방법들이 알려져 있으며, 그 중에서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가 저온유동특성을 향상시키는 첨가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LMA (lauryl methacrylate), SMA (stearyl methacrylate)를 각각 측쇄 구조가 다른 알킬 메타크릴레이트를 사용하여 70 : 30의 몰 비율로 라디칼 공중합체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공중합체의 구조는 $^1H$-NMR 및 FT-IR 스펙트럼으로 분석하였으며, GPC로 분자량을 측정하였다. 이 공중합체를 디젤연료에 500~1000 ppm, 바이오디젤을 5%, 20% 함유한 디젤연료(BD5 및 BD20)에 1000~10000 ppm을 각각 첨가하여 유동점, 구름점 및 저온필터막힘점 등의 저온유동특성을 조사하였다. 저온유동특성을 측정한 결과 BD5에서 SMA를 포함한 공중합체 $PSMAmR_2n$에서 첨가 전 대비 유동점 $15^{\circ}C$, 구름점 $6^{\circ}C$, 저온필터막힘점 $10^{\circ}C$ 강하되어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다.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디에탄올아민과의 에스테르 교환반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nsesterification Reaction Between Methyl Methacylate and Diethanolamine)

  • 손병청;박근호;정순욱;남기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41-47
    • /
    • 1986
  • The transesterification reaction between diethanolamine and methyl-methacrylate was kinetically investigated in the presence of various metal acetate catalysts at $120^{\circ}C$. The quantity of methylmethacrylate reacted in the reaction flask was measured by gas chromatography and liquid chromatography, and the reaction rate was investigated by measuring of the quantity of products and reactnts under various catalysts. The transesterification reaction was carried out in the first order reaction kinetics with respect to the concentration of diethanolamine and methylmethacrylate, respectively. The apparent rate constant was found to obey first-order kinetics with respect to the concentration of catalyst. The linear relationship was shown between apparent rate constant and reciprocal absolute temperature, and by the Arrhenius plot, the activation energy has been calculated as 11.08 Kcal with zinc acetate catalyst, 17.99 Kcal without catalyst. The maximum reaction rate was appeared at the range of 1.4 to 1.6 of electronegativity of metal ions and instability constant of metal acetates.

디블록 공중합체와 인텅스텐산을 이용한 가교형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 (Crosslinked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Based On Diblock Copolymer and Phosphotungstic Acid)

  • 김종학;고주환;박정태;서진아;김종화;조영충
    • 멤브레인
    • /
    • 제18권2호
    • /
    • pp.116-123
    • /
    • 2008
  • 폴리스티렌-블록-폴리히드록에틸 메타크릴레이트(PS-b-PHEMA), 술포석시닉산(SA), 인텅스텐산(PWA)으로 구성된 수소 이온 전도성 나노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을 제조하였다. 폴리히드록에틸 메타크릴레이트(PHEMA) 블록의 히드록실그룹(-OH)와 술포석시닉산(SA)의 -COOH 그룹과의 에스테르 반응에 의하여 전해질막을 가교시켰다. 폴리헤테로산(PWA)을 도입했을 때, $SO_3^-$ 그룹의 신축 밴드가 $1187cm^{-1}$에서 $1158cm^{-1}$로 낮아졌으며, 이는 PWA 입자가 전해질막의 술폰산 그룹과 상호작용함을 나타낸다. PWA 함량이 30wt%가 되었을 때, 상온 전도도는 0.045에서 0.062S/cm로 증가되었으며, 이는 PWA 입자의 고유 전도도 특성과 전해질막의 술폰산기의 산도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또한 30wt%를 함유한 복합 전해질막은 $100^{\circ}C$에서는 최대 0.126 S/cm의 수소 이온 전도도를 나타내었다 PWA가 첨가됨에 따라 복합 전해질막의 열적특성 또한 증가하였다.

크롬(VI)-헤테로고리 착물(2,4'-비피리디늄 클로로크로메이트)에 의한 치환 벤질 알코올류의 산화반응에서 속도론과 메카니즘 (Kinetics and Mechanism of the Oxidation of Substituted Benzyl Alcohols by Cr(VI)-Heterocyclic Complex (2,4'-Bipyridinium Chlorochromate))

  • 박영조;김영식
    • 공업화학
    • /
    • 제25권6호
    • /
    • pp.648-653
    • /
    • 2014
  • 크롬(VI)-헤테로고리 착물(2,4'-비피리디늄 클로로크로메이트)을 합성하여, 적외선 분광광도법(IR), 유도결합 플라즈마(ICP) 등으로 구조를 확인하였고, 여러 가지 용매 하에서, 2,4'-비피리디늄 클로로크로메이트를 이용하여 벤질알코올의 산화반응을 측정한 결과, 유전상수값의 증가에 따라 반응도 증가했다는 것을 보였다. 그 순서는 : N,N-디메 틸포름아미드(DMF) > 아세톤 > 클로로포름 > 시클로헥센산 촉매(HCl)를 이용한 DMF 용매 하에서, 2,4'-비피리디늄 클로로 크로메이트은 벤질 알코올(H)과 그의 유도체들(p-$CH_3$, m-Br, m-$NO_2$)을 효과적으로 산화시켰다. 전자받개 그룹들은 반응 속도가 감소한 반면에 전자주개 치환체들은 반응속도를 증가시켰고, Hammett 반응상수(${\rho}$) 값은 -0.67 (303 K)이었다. 속도결정단계에서 크로메이트 에스테르의 형성과정을 거친 후, 양성자 전이가 일어났다.

폐 PVC계 고분자 블렌드의 구조 및 물성 연구(I) -폐 PVC/PE고분자 블렌드의 모폴로지 및 물성 (Morphology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Waste PVC Blends (I) -Morphology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Waste PVC/PE Blends)

  • 박재찬;원종찬;최길영;이재흥;조성만;김명기
    • 폴리머
    • /
    • 제26권1호
    • /
    • pp.37-44
    • /
    • 2002
  • 폐폴리염화비닐수지(waste Polyvinyl chloride, RPVC)와 폐폴리에틸렌수지(waste polyethylene, RPE)의 블렌드를 용융 혼합으로 제조하였으며 상용화제로서 주쇄는 에틸렌 구조를, 측쇄는 에스터 그룹으로 이루어진 공중합체들을 첨가하여 모폴로지 및 인장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RPVC가 연속상인 조성비 85/15 wt%, 중간조성 50/50 wt%, RPE가 연속상인 조성비 15/85 wt%로 RPVC/RPE의 조성비를 변화시켜 이들 조성비에서의 상용화제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모폴로지 관찰로 볼 때 RPVC/RPE 블렌드는 $10\mu\textrm{m}$ 이상의 도메인 크기를 보여 상용성이 나쁘며 특히 중간조성에서 가장 나쁜 상용성을 나타내었다.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와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그라프트 공중합체 (ethylene ethylacrylate-graft-methyl methacrylate copolymer, EEA-MMA)가 상용화제로서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우리나라에서 확보한 해양미생물과 미세조류에 대한 기초생리활성 연구 (A Study on the Bioactivity Exploration of the Collected Marine Microorganisms and Microalgaes in Korea)

  • 배승섭;권용민;정다운;유운종;조기철;조은서;정윤희;박윤경;안혜미;이대성;박진수;이재욱;오동찬;오기봉;조은지;박상익;전유진;이효근;김근용;남상집;최혁재;판철호;최그레이스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36-149
    • /
    • 2023
  • 우리나라 여러 해양환경 지역으로부터 확보한 370주의 해양세균, 균류, 미세조류로부터 기초생리활성(항산화, 항염, 항균, 항암, 항바이러스)을 조사하여 채집지, 분리원, 종(種) 수준에서의 활성결과를 비교하였다. 해양세균의 경우, 일반적으로 유용성이 많이 알려진 Streptomyces 속과 Bacillus 속에 속하는 균주들이 두드러진 강한 효능이 관찰되었고, 주로 해양퇴적물로부터 유용한 자원을 분리할 수 있었다. 해양균류와 미세조류의 경우에도 종 특이적으로 활성이 강하게 나타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고, 효능 특이적으로 활성을 보이는 결과도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특정질병에 선택적으로 효능을 보이는 화학물질 연구 또는 자원 기반 연구 수행 시 유용성을 전제로 한 자원 확보 전략 수립과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전략소재로 우선적 접근이 용이할 수 있는 연구결과라 생각된다. 또한, 이들 결과를 해양바이오 뱅크를 통한 분양소재로 활용함으로써 학계, 산업계에서 활용하여 해양바이오산업 활성화에 좀 더 빠른 접근을 도울 수 있다고 생각한다.